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2-09-30 23:23
[기타] 진본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천자의 기록
 글쓴이 : 마고우르
조회 : 3,022  

아래내용은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천자 관련 내용입니다

이내용은
중국 정사 사마천 사기 본기에 일부내용이 기록되어있는데
규원사화는 자세하게 기록하고 있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규원사화는 진본이 국립중앙도서관에 보관되어 있습니다
조선조 숙종때 진본입니다

‘20세기 조작, 위서 운운’하는 자들은 한마디로 정보부재에 따른 무지의 결과일 뿐입니다
여러분들이 정보를 나누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천자의 기록)

(중 략)

우리 치우씨는 백성의 무리와 함께 황하의 이북 땅에 할거하고 앉아서 안으로 용맹스러운 병사를 기르고 밖으로 시대의 변화를 지켜보다가 유망의 정치가 쇠잔하였음을 보고 이내 병사를 일으켜 출정하였다.

형제와 종실의 무리 가운데 장군으로 삼을 만한 사람 81명을 선발하여 부장(部將)으로써 모든 군사를 통솔케하고, 갈로산(葛盧山)의 쇠를 캐내어 칼이며 갑옷과 중기창과 가닥창을 비롯하여 큰 활과 호목나무 화살 등을 많이 만들어 모두 가지런히 하고는 탁록( 鹿)으로 출발하여 구혼(九渾)에 올라 연전연승하니, 그 형세가 마치 비바람과 같아서 세상의 만민은 두려워 엎드리고 그 위세는 천하에 떨치게 되었다.

한 해 만에 무릇 아홉 제후의 땅을 빼앗고, 다시 옹호산(雍狐山)에 나아가 수금(水金)을 캐어 끈 달린 방패와 가지창 및 옹호창을 제작하여, 새로 병사를 정비하고 양수(洋水)를 떠나 파죽지세로 공상(空桑)에 이르렀다.

공상은 지금의 진류(陳留)로서 유망이 도읍하던 곳이다.

한 해 만에 다시 열두 제후의 나라를 합치니, 죽어 엎어진 시체는 들녘에 가득하기에 중토의 백성들은 간담이 서늘하여 달아나 숨지 않은 자가 없었다.

이때에 유망이 소호(少顥)로 하여금 막아 싸우게 하니, 치우씨는 옹호창을 휘두르며 소호와 크게 싸우면서 또한 큰 안개를 일으켜 적병으로 하여금 혼미한 가운데 스스로 혼란케함에 소호는 크게 패하고 황망히 물러나 공상으로 들어가더니 유망과 함께 도망 나와서 되돌아 탁록으로 들어갔다.

치우씨는 이에 공상에서 제위에 오르고 병사를 되돌려 탁록의 들판을 에워싸고 공격하여 또 크게 패퇴시켰다.《관자(管子)》에 이른바 [천하의 임금이 창을 들고 한번 크게 노하니 엎어진 시체는 들판에 가득하였다]라고 한 것은 바로 이를 두고 한 말이다.


이때에 헌원(軒轅)이란 자가 있어 유망은 패하여 달아나고 치우씨가 제위에 올랐다는 소식을 듣고, 대신 임금이 되고자 크게 군사를 일으켜 치우씨에게 대항하여 싸웠다.

치우씨는 탁록에서 헌원과 크게 싸우며 병사를 풀어 사방에서 내려치니 참살시킨 자는 수도 없었으며, 다시 큰 안개를 일으켜 적군으로 하여금 마음이 흐려지고 손발이 떨리게 하니 (헌원은) 급히 달아나 겨우 목숨을 건지게 되었다.

이리하여 회대(淮岱)와 기연(冀 )의 땅을 모두 점거하였으며, 탁록에 성을 쌓고 회대에 자리잡아서 옮겨 왕래하며 천하를 호령하게 되었다.

대개 이때의 중토 사람들은 단지 화살과 돌의 힘에 만 의지할 뿐 갑옷의 쓰임이나 가치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였으며, 치우씨의 법력이 높고도 강함에 놀라 간담이 서늘해져 매번의 싸움마다 번번이 패하였다.

《운급헌원기(雲 軒轅記)》에 [치우씨가 처음으로 갑옷과 투구를 만들었는데 이때의 사람들은 이를 알지 못하고 구리 머리에 쇠로 된 이마로 여겼다]라고 한 것을 보면 그 낭패가 매우 심하였음을 상상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치우씨가 더욱 군대의 위용을 가다듬고 사방을 쳐나가며 십년동안 헌원과의 싸움을 칠십여 차례나 하였으나 장수는 피로한 기색이 없고 병사는 물러서지 않았다.

후에 헌원이 이미 여러 번 패하더니 이에 다시 병사와 군마를 크게 일으키고 치우씨를 흉내내어 군사들의 갑옷을 널리 제작하였으며, 또한 지남(指南) 수레를 만들어 놓고 더불어 싸울 날을 기다렸다.

이때 치우씨가 우러러 천체의 형상을 관찰하고 굽어 민심을 살펴보니 중토에 왕성한 기운이 점차 번성해지고 또한 염제의 백성들이 곳곳에서 굳게 단결하여 가볍게 모두 죽여 버릴 수 없으며, 더욱이 각각의 백성들이 그들의 군주를 섬기는데 무고하게 함부로 죽일 수 없음을 깊이 인식하게 되었다.

이에 물러나 돌아갈 것을 마음먹고 형제와 종실의 무리에게 힘써 크게 싸워 위세를 세움으로서 적이 감히 추격하여 습격할 마음을 먹지 못하도록 하게 한 뒤, 다시 헌원과 크게 싸워 한 무리를 도륙한 후에 비로소 물러나왔다.

이때 부장 가운데 불행히도 서둘러 공을 세우려다 진중에서 전사한 자가 있었는데,《사기(史記)》에서 이른바 [마침내 치우씨를 사로잡아 죽였다]라고 한 것은 아마 이를 두고 한 말일 것이다.

치우씨는 이에 동쪽으로 회대의 땅에 할거하고 있으면서 이로서 헌원이 동쪽으로 나오는 길을 막고 있었으나, 그가 죽자 점차 물러서기에 이르렀다.

지금《한서.지리지(漢書.地理誌)》에 의하면 그의 묘가 동평군(東平郡) 수장현(壽張縣)의 감향성( 鄕城) 안에 있다 하며 그 높이가 다섯 장(丈)이라 한다.

진(秦)나라와 한(漢)나라 때의 주민들이 한결같이 10월에 제사를 지내면 반드시 붉은 기운이 있어 한 폭의 진홍빛 비단과도 같이 솟아오른다고 하니, 백성들이 이를 일컬어 '치우기(蚩尤旗)'라 이름하였다.

이 어찌 영웅의 혼백이 범상한 사람들과 사뭇 달라 천년이 지나고도 오히려 사라지지 않음이 아니겠는가.


치우씨가 비록 물러나 돌아왔지만 중토는 이로서 쓸쓸해지고 유망 또한 다시 그 제위(帝位)를 회복하지 못하여 염제의 유업은 이로서 영원히 무너지게 되었다.

이때부터 헌원이 대신 중토의 주인이 되었으니, 곧 황제(黃帝)이다.
그러나 치우씨의 형제들이 모두 유청(幽靑)의 땅에 영원히 거처하며 그 명성과 위세가 계속되었기에 황제는 세상을 다 할 때까지 편안하게 베개를 높여 베고 누운 적이 없었다.

《사기》에 이른바 [산을 헤쳐서 길을 내어도 편안하게 기거하지 못하고, 탁록에 도읍만 정하고서 이리저리 옮겨 다니니 항상 거처하는 곳은 없었으며, 군사와 병졸들로 진영을 호위하게 하였다]고 한 것은 그 전전긍긍해 하는 마음을 역력히 볼 수 있다.

《상서(尙書)》의 <여형편(呂刑編)>에 또한 [예로부터 내려오는 교훈에 '치우씨가 오직 처음으로 난을 일으켰다'고 하였으니……]라고 말한 것은 그 위세를 두려워하여 대대로 그 교훈을 전하고자 함이 분명하다.


그 후 삼백여 년은 아무일 없이 단지 소호씨(少昊氏)와 더불어 싸워 이를 격파하였을 뿐이니, 단군 원년에 이르기까지 전후하여 무릇 궐천년(闕千歲)이 된다.

'궐(闕)'이란 '만(萬)'을 가리키는 것이다.
요즘 아주 오래 되었음을 말할 때는 반드시 '궐천년'이라 말한다. '궐천년'이란 아마도 신시씨가 세상을 다스리기 시작한 이후로 1만 1천년이 흘렀다는 것이니, 진실로 우리나라가 가장 긴 연대를 지녔다 함이 그러한 까닭에서이다.

혹은 신시씨의 뒤로 고시씨가 치우씨와 더불어 서로 계속하여 임금이 되었으니 그 앞뒤를 합하여 보면 1만 1백년이 되고 단군이 또 다시 나라를 일으킨 때문이라고 말하는데, 이러한 얘기 또한 이치에 가까우나 대저 오랜 옛적의 일은 너무 오래고 멀어서 상세하게 알 수 없을 따름이다.

(중략)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대나무향 12-10-01 11:39
   
소설은 소설로 끝냅시다.
===================
20세기 조작, 위서 운운’하는 자들은 한마디로 정보부재에 따른 무지의 결과일 뿐입니다
여러분들이 정보를 나누어 주시기 바랍니다
========================
우리나라 역사학자들 몇명인지나 아시는지...
그사람들은 정보가없어서 이러한 자료를 정사로 인정안하고있을까요
증거가 명확햇다면 아니조금이라도있었다면 검증,학술회를 열었겟죠
이를 정사로 믿고계시다면 중국의 동북공정과,일본의 근현대사 조작과 크게다르지않습니다.

여기서 하나 물어보죠.
우리민족의 고대사에대해 자료 몇장 퍼와서 읽어본 님이 빠삭할까요
우리민족의 역사를 한평생 연구해오신 수백 수천명의 역사학자들이 빠삭할까요..
그냥 이런글은 일고 유쾌하고 주먹한번 불끈쥐고 이얍~
하고 뒤돌아서서 잊으면 되는 환타지소설입니다
대나무향 12-10-01 11:47
   
그런대 이떡밥은 20년을 넘게 봐온지라 읽고 싶은 생각도 들지않네요.
 
참..그리고 한단고기나.치우에 대한 서적은 제가 못해도 전문서적및 몇몇소설등을 포함해 20여권은 읽었습니다.

결론은 무협지보다 재미없으면서 뻥은 무협지 저리가라 하는 글입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확실치 않은 정보를가지고 ..

정보를 나누어 주세요 란말 함부러 붙이지 마세요

보기불편합니다
     
마고우르 12-10-01 17:09
   
<증거 자료들은 많다.>
자신들이 끈임 없이 주장하는 과학적 검증이나 라는 절차는 정작 해야 할 때에는
외면하면서 증거가 있어도 믿지 않고 다른 증거만 대라는 [맹목적이며 궤변망상적인
강단사학자]의 말 돌리기는 이제 지겹다.

논쟁이 없이 모든 학자가 100% 수긍해야 수정이 됩니까?
중국 고고학계의 일반적 견해다. 궤변망상적인 말 돌리기는 이제 지겹다.
일본 고고학계의 일반적 견해다. 궤변망상적인 말 돌리기는 이제 지겹다.

역사학자 위에 역사가 있소.
그대들이 없어도 역사는 존재했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요.
그대들은 그저 있던 것도 제대로 검증해 내지 못하는 우매한 인간들임을
인정해야 할 것이요?
 
역사학자로서의 호기심과 검증하고자 하는 의지도 없는 것이 무슨
역사를 운운해...    당신! 진실을 알기위해 얼마나 발로 뛰었소?
부끄러운 인간!!

귀하의 조상은 몇 대까지나 고고학적으로 실증 할 수 있습니까?
족보로 증명 한다 고요? 
그 족보가 중국이나 일본에서 간행 안 되었는데 어떻게 증명 합니까?
중국 일본 이 인정 안 해주면 그 족보는 소설 입니까,,

진정한 역사학자라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겸손한 마음으로 임해야 합니다.
이는 학자 이전에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져야 할 기본적인 양심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고대사 사료가 일제에 의해 대부분 사라져 버린 것을 정녕 모른단 말인가요,

소설인 것처럼 초점을 흐리지나마세요.
          
대나무향 12-10-01 17:31
   
네네,,님이 계속 연구해보세요

관련된 사항 허구라고 결론난게 20여년전이고

이떡밥들이 돌아다니는이유가 10여년전 망해가던 출판사에서 판매부수

올리려고 픽션에 픽션을 더첨가해가면서 애국심운운하며 출간해냇죠

저도 애국자입니다.

그러나 허무맹랑한 자료는 사양입니다

그리고 증명하지못하는 과거는 인정받지못합니다

역사에 대한 정의는 알고계십니까?

이미 알만한 사람들은 다아는사실을..ㅋ

댓글단 제실수네요

열심히 전파하고 연구해보세요
도우너 12-10-01 14:14
   
이 떡밥은 진짜 우리나라가 (덩치가)커지지않는 이상 사람들이 계속 빠져들듯 하네요..
슬러잼 12-10-01 15:48
   
좋은글입니다
pooekrert 12-10-01 16:36
   
연구해볼가치가 있다...
대나무향 12-10-01 17:52
   
환단고기와 규원사화가 국수주의와 민족주의에 치우친 주관적역사관이란건 알고계시나요

제가 관련 자료 링크라도 걸어드려요?

글쓴분 네이버에 주관적한국사 카페 들어가보세요

자신의 무식함에 얼굴이 뻘게질테니..

자기가 처음들은 혹 하는 얘기라고 남도 혹 할거라면 어리석은 생각이죠

자신이 관심이가고 남에게도 알려주고싶은게 생겻다면

알리기앞서 조금이라도 그것에대한 자료를 숙지한다음 전파하세요

허무맹랑한 30년도 더된 떡밥을 가지고..논리를 운운하시네

제대로 한번 논파 해드릴까요 모든부분에서 논리 반박해드릴자신있는데요?

저도 한 20여년전에는 환단고기에 흥분햇엇죠 님은

그것에 관심을 가진게 최근인가봅니다..?그럼 한달정도 더 좋아하세요

환단고기가 먼줄 아십니까

라면받침대입니다,,

제가 소개해드린 카페에서 글 몇자 읽어보고 오시길
     
pooekrert 12-10-01 19:34
   
이사람은 왜이렇게 흥분하지?
          
대나무향 12-10-01 21:57
   
음?.흥분하지않았습니다``
단지..난데없는 저희 조상님,족보를 운운하시길래 기분이상한건 인정하죠
환단고기와 규원사화와같은 허구가 30년동안 거짓되게 퍼지면서
그릇된 생각을 유발시키고있죠
자기민족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과 존경은 칭찬받아야겟지만
국수주의와 주관적 해석은 멀리해야죠
대나무향 12-10-01 18:01
   
참..그리고 왠 족보타령입니까?

님댁은 족보로 조상이 실존했는지 증명도 못하는 집안입니까?
     
도우너 12-10-01 19:25
   
참으세요. 환교는 사실 어느 나라나 다 있는거라..(유럽이나 중동쪽 사람들 중에도 '옛날 우린 세계정복- 지금 가르치는 지도는 매우 잘못된거임. 우린 더 위대했음'하는 각자의 환교가 있죠.) 그냥 무시하는 게 상책입니다. 앵간한 분들은 머리 굵어지면서 자연스럽게 멀어지죠.
C알럽 12-10-01 22:32
   
대빵이 12-10-27 10:38
   
잘고고갑니다.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382
4040 [중국] 119 구조대원들이 말하는 조선족 (6) 엑스퍼트 10-03 3416
4039 [기타] ~~맨유에 전범기 반입 금지 항의서한 보내기 (14) doysglmetp 10-03 3085
4038 [중국] 중국이 문제가 아니고 진짜 더 큰 문제는 (12) 디투푸쉬케 10-03 2252
4037 [기타] 방숭이들이 맨날 떠들어대는 O.D.A 란 무엇인가? (2) 불꽃 10-03 2283
4036 [기타] 한국사와 현 한국의 지정학적 입장을 고찰하면 (3) 다다다다다 10-03 1512
4035 [기타] 윤봉길의사 폭탄 투척 당시 동영상 (6) 푸른하늘vx 10-03 1920
4034 [중국] 사실 일본보다 중국이 더 죽이고 싶은건.. (12) 용호상박 10-02 2963
4033 [다문화] 동남아 친척에 외노자 우선권을 주라 요구하는 다문… (8) 내셔널헬쓰 10-02 2324
4032 [다문화] 아래 글에 이어 쓰는데요..그 김문학이... 대배달인 10-02 1615
4031 [다문화] 가생이 글 읽다가.. 김문학 이라는 조선족 이름이 나… (1) 대배달인 10-02 1962
4030 [중국] 중국인의 분노는 만주트라우마. (2) 휘투라총통 10-02 2595
4029 [중국] 문화대혁명때 인육문화.jpg (8) 한시우 10-02 2733
4028 [다문화] 다무놔의 열린 마음이 싸이 강남스퇄을 만들었다는 … (5) 내셔널헬쓰 10-02 1827
4027 [다문화] 우리나라 족보 대량위조시기는 18세기랍니다. (1) 내셔널헬쓰 10-02 2159
4026 [일본] 명동에서 자기 부인을 때리는 일본인 체포 ㅡ.ㅡ (3) jacktherip 10-02 2813
4025 [중국] 삼국지연의에서 가장 억울한 캐릭터 ㅋ (22) 오빠거기헉 10-02 2973
4024 [기타] 삼국지에 얽힌 불편한 진실들.... (26) toshake 10-02 3423
4023 [일본] [독도] 국제사법재판소에 나와라. (2) 독설가 10-02 2460
4022 [통일] K-POP과 세계 주류 음악의 대전환 (5) 굿잡스 10-01 2553
4021 [기타] 이상한 한국인들 (10) 신이다잉 10-01 3484
4020 [다문화] 중국인들이 외노자로 한국,일본에 러쉬하는 이유.JPG (6) 바람의점심 10-01 2736
4019 [기타] 세계 4대도시 경주 (17) pooekrert 10-01 5173
4018 [기타] 明 태조 주원장 도 단군께 존칭 썼는데,, '단군… (8) 마고우르 10-01 3264
4017 [다문화] 최대의 다무놔 명절 한가위 (3) 내셔널헬쓰 10-01 1929
4016 [기타] 진본 '규원사화'에 나오는 치우천자의 기록 (14) 마고우르 09-30 3023
4015 [기타] (어떤대화) 1675년 작성 “규원사화” 진본은 국립중… 마고우르 09-30 2050
4014 [기타] (어떤대화) “규원사화” 진본은 국립중앙도서관에 … 마고우르 09-30 3999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