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3-08-15 09:51
[일본] 내년에도 똑같이 낮은 수준의 논쟁들이 오가겠죠?
 글쓴이 : 메탈
조회 : 1,476  

1930년대 공업화에 대한 당시 인식인 산업혁명론과 병참기지론
해방이후 수탈론
1980년대 후반 한국의 고도성장의 이유는 1930년대 공업화와 자본주의화에 기인한다는 근대화론..

지금 크게는 조선 후기, 일제강점기 제국주의 식민지 지배가 식민지를 

"개발"했는가? 혹은 "수탈"했는가로 논쟁을 하고 있지만 
수탈을 강조한다든가 혹은 개발을 강조한다든가 하는 방식으로 개발의 측면과 수탈의 측면을 양적으로 비교하여 
개발의 측면이 더 많으면 식민지 지배가 "근대적"인 것으로, 수탈의 측면이 더 많으면 "약탈적"인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저급하고 수준낮은 논쟁은 더이상 하고 있지 않습니다. 
개발과 수탈은 늘 같이 존재했습니다. 제국주의의 식민지 지배는 자본주의화를 가져오고 
자본주의화는 언제 어느 곳에서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개발과 수탈을 동시에 낳습니다. 
철도의 건설은 사람 물자의 수송을 원활하게 했다는 점에서 개발이지만 
쌀의 수집과 일본으로의 수출을 원활하게 했다는 점에서 수탈입니다. 
근대적인 자동기계를 채용한 공장, 밑에 글 댓글처럼 북한에 많이 설립된 것은 종래의 수공업적 방식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우수한 상품을 대량으로 생산한다는 점에서 개발이지만 
농촌의 수공업을 구축하고 노동자의 노동강도를 강화시키는 점에서 수탈입니다. 

더군다나 더욱 곤란한 것은 이러한 영향들을 양적으로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통계가 가능한 몇몇 부분은 계량화할 수 있겠지만 
철도 공장 건설이 다른 부분에 미치는 영향력이나 인간생활이나 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개량화 할 수 없습니다. 
문화나 생활방식의 보급이 전통적 가치관을 가진 인간에게 미치는 여러가지 영향력을 평가해야 하는데 
그 방법론적인 문제를 차치하고서라도 그 영향력이 개량화 될 수 있겠습니까? 

현재2013년을 돌아보더라도 약탈이라고 하기에는 적합지 않지만 
개발과 훼손 개발과 박탈 개발로 이득일 얻는 기득권과 개발로 피해를 보는 피기득권의 갈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현재는 제국주의 식민지지배를 분석하기 위해 제국주의 본국 즉 일본과 식민지를 연결하는 
종속구조가 어떻게 형성 변화하며 그 구조의 모순이 어떻게 발현 강화되는 가를 연구하는 단계이지 
어제부터 계속 올라오는 개발이냐 수탈이냐를 놓고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로 
해석되는 수준은 아닙니다. 


광복절이라 그르려니...하고 넘어가려 했지만 
한자 적어놓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밍구 13-08-15 10:06
   
아무래도 일반 게시판이다 보니 수준이 낮을 수도 있겠지만 좀 더 아시는 분들이 많은 글들을 적어 주면 좋겠습니다. 쓰신 내용 중에
"1980년대 후반 한국의 고도성장의 이유는 1930년대 공업화와 자본주의화에 기인한다는 근대화론" 이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저 문장을 보다 명확히 하면
"1930년대 공헙화와 자본주의화"는 "1980년대 후반 한국의 고도성장"을 위해 필수적 이라는 주장 인가요?
별개의 또 다른 질문을 드리자면 과거의 사실들을 보았을 때
식민지배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산업화/공업화가 달성된 국가나 예가 있는지요.
     
메탈 13-08-15 10:11
   
식민지배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산업화/공업화가 달성된 국가나 예가 있는지요.
-------------------------------
당신의 문장을 명확히 해보면
식민지배를 받아야만 산업화 공업화가 이루어집니까?
아니죠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 각국으로 세계로 산업화와 공업화가 퍼져가고
자본주의가 생기게된 것이죠

식민지배는 본국의 필요에 의해서 산업화 공업화 자본주의가 전파되는 또다른 방법이지
식민지배를 받아야 산업화 공업화가 이뤄지는 것은 아니죠

식민지배를 받지 않고 독자적으로 산업화/공업화가 달성된 국가나 예가 있는지요.
----------------------------------------------------------
내가 왜 이런 글을 쓰기 싫은 이유중에 하나예요
짜증이 나거든요. 마치 산업화 공업화가 식민지배때문에 발생된 것이라
여전히 생각하는 사람이 있거든요
정확히 말해서 산업화 공업화 자본주의가 전파되는 여러 경로중에 식민지 자본주의가 있는겁니다.
          
도밍구 13-08-15 10:17
   
제 생각도 식민지배 라는 단어와 산업화라는 것은 봄날에 돈을 주었다 처럼 아무 관계가 없는 것 같은데 왜 같이 쓰이는지 궁금해서 였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자본주의와 식민시장 이라든지 자본에 의한 종속이라는 주제가 더 관련되는 이유가 명확해 지는 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메탈 13-08-15 10:15
   
"1930년대 공헙화와 자본주의화"는 "1980년대 후반 한국의 고도성장"을 위해 필수적 이라는 주장 인가요?
---------------------------------------------------------
근대화론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하는 말이지 맞다는 소리가 아니죠?
식민지근대화론의 비판은 수탈이냐 개발이냐라는 낮은 단계의 수준은 넘어선지 오래다
그러므로 근대화론에서 주장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라고 은연중에 쓴 것 같은데..
     
메탈 13-08-15 10:23
   
길게 할 만한 것이 아니기에 짧게 쓰자면
식민지 근대화론은 수탈론으로 비판하는 사람들이 보지못했던 개발, 자본주의화라는 근대적인
측면을 드러내주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70년대 경제성장의 배경을 1930년대 공업화 자본주의화에서 찾으려 하는 근대화론자들의 문제의식이 정당한 것인가라는 문제는 반드시 지적해야 합니다.

단선적인 발전전망 속에서 자본주의의 발전적 측면만을 특권화하는 근대화론은
자본주의가 가지는 착취의 측면을 무시했을 뿐만 아니라, 위에 이미 설명했듯이,
수탈론과 똑같은 실수를, 수탈론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자본주의의 특수한 형성과 모순점을
철저하게 숨기고 있습니다.

식민지 자본주의는 보통의 자본주의가 아니며 본국의 의도대로 시장경제와는 다른
특수한 경제와 구조를 가진다는 것을 모른 척해버렸습니다.

제국주의 동시대의 영국경제학자 웨이크필드는 식민지자본주의 식민지이론은
한마디로 식민지는 저렴하고 값싼 임금노동자를 육성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라고 한 것은 조직적 식민이라고 부른 가장 결정적 이유입니다.
          
도밍구 13-08-15 10:38
   
답변 감사드립니다.
 
 
Total 20,02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193
3985 [기타] 도깨비를 찾아라 (1) 두부국 05-04 1484
3984 [기타] 미래로 가는 바른역사 협의회 출범 (2) 두부국 06-26 1484
3983 [한국사] 국회 동북아특위에서 있었던 일 (4) 마누시아 07-01 1484
3982 [한국사] 이 그림에서 신기한걸 발견했네요... (15) 북명 04-21 1484
3981 [세계사] 2020년 세계 언론 자유지수 (2020 World press freedom index map (7) 예왕지인 10-14 1484
3980 [중국] 베트남 아오자이는 사실 중국의 옷 (1) 즈비즈다 11-13 1484
3979 [기타]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1915~1925 조선의 영상) 관심병자 02-15 1483
3978 [한국사] 고구려시대의 압록강은 어디 ? (강원대 사학과 남의… (2) 고독한늑대 08-15 1483
3977 [다문화] 인천은 빨리 아시안게임 개최권 반납하길 (1) 내셔널헬쓰 11-24 1482
3976 [기타] 1차 사료 배척한 채 떼쓰는 강단사학자들 (1) 두부국 07-23 1482
3975 [한국사] 기원전 3세기 고조선의 강역 (사마천 사기/독산님의 … (4) 감방친구 06-06 1482
3974 [기타] '낙랑' 이라고 써놓은 유물은 한사군과는 관… (2) 관심병자 10-22 1482
3973 [다문화] 어느 아시아계 러시아인의 정서 이쉬타 06-08 1482
3972 [다문화] 요즘 다문화 광풍을 보니까.. 답답합니다. (6) 필립J프라… 05-04 1481
3971 [일본] 일본, 미국 위안부 기림비 저지하려 `이메일 테러` doysglmetp 07-26 1481
3970 [기타] 직지심체요절이 귀한 이유 (4) 레스토랑스 08-20 1481
3969 [한국사] (업글버젼) 탕수육으로 본 조선 붕당의 이해 (2) 러키가이 12-18 1481
3968 [한국사] 공인기관의 국역이라 하여도 그대로 믿으면 안 됩니… (12) 감방친구 12-30 1481
3967 [한국사] 나. 여진·만주어의 금(金) - 안춘(桉春)과 애신(愛… (1) 감방친구 03-27 1481
3966 [기타] 실증사학은 한국사의 올가미 두부국 08-27 1480
3965 [한국사] 한국사에서 고구려 종족 구성 서술 의문 (8) 솔루나 02-25 1480
3964 [기타] 민족의 개념이라는게 어떤건지.. (4) 타샤 10-31 1480
3963 [중국] 하룻 강아지 중국 범 한국 무서운줄 모른다 (5) artn 11-09 1480
3962 [일본] 쪽국..신용등급 한단계 추가 강등 (1) 노홍철2 04-27 1479
3961 [한국사] 조선시대 육아 (2) 설민석 05-26 1479
3960 [한국사] 강단의 "유사사학자"들의 가장 큰 착각 (59) 목련존자 06-03 1479
3959 [한국사] 강단 '유사사학자'들이 도종환이 환빠라서 반… (19) 목련존자 06-06 1479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