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30 06:20
[한국사] 연행록에 “조선과 명·청 사이 책문은 압록강 북쪽 봉황성”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514  

연행록에 “조선과 명·청 사이 책문은 압록강 북쪽 봉황성” 

봉황성은 단둥서 40㎞
조선 사신들이 북경에 오간 기록인 ‘연행록’(燕行錄)을 보면 조선과 명·청 사이의 국경선, 즉 세관인 책문(柵門)은 압록강 북쪽 봉황성에 있었다. 지금 봉성(鳳城)시 경내에 있는 봉황성은 신의주 대안의 국경도시 단둥(丹東)에서 약 40km 떨어진 곳이다. 숙종 46년(1720) 이의현(李宜顯)이 쓴 ‘경자연행잡지’(庚子燕行雜識)는 “(책문이) 옛날에는 압록강에서 130여리 거리였는데 수십년 전부터는 20리 밖으로 옮겨 놓았다…당초에 책문을 설치한 본의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계비를 설치한 숙종 무렵부터 조청(朝淸) 국경이 점점 압록강 쪽으로 가까이 왔다는 뜻이다.

byunmoon-3.jpg

km_003_215_01 (1).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촐라롱콘 18-05-30 10:37
   
[[조선과 명·청 사이의 국경선, 즉 세관인 책문(柵門)은 압록강 북쪽 봉황성에 있었다.]].......???
.
.
.
'봉황성 책문'이라는 것은 강희제 시기 청나라가 만주족의 발상지인 만주를 한족의 유입으로부터
보호하고, 몽골인들의 유목지역을 보호할(통제의 의도도 있지요) 목적으로...

대체로 오늘날의 요녕성 경계의 안쪽지역을 빙둘러(일치하지는 않지만) 산해관에 이르는...
얼추 잡아도 길이가 무려 1,000 km 이상에 달하는
[유조변-(흙으로 제방을 쌓고 위에다 버드나무 울타리를 두른....)]의 일부에 불과했습니다.

유조변의 길이가 대략 1,000km 이상에 달하다보니 변내와 변외를 통제하고 감시할 목적의
'변문' 또한 대략 20여 개소에 달했는데.... 20여개의 변문 가운데 가장 남쪽에 위치한 변문이
우리가 책문이라고 부르는 '봉황성변문'인 것입니다.

엄밀히 말해 책문은 조-청 간에 세관-출입국사무소 기능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조-청간의 국경으로 인식하는 것은 커다란 비약입니다.
책문 안쪽은 청나라 민간인이 거주하는 청나라의 유인지대,
책문 바깥쪽은 민간인이 함부로 출입할 수 없는 청나라의 무인지대의 구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조선시기 대부분 울릉도-독도에 공도정책을 실시하여 섬을 비워놨는데.... 여기에 일본인들이 들어와
벌목-수산자원 채취는 물론 임시거처까지 마련해서 거주하기도 했는데... 그렇다고 울릉도-독도가
일본령이 되는 것은 아니듯이...

만약 책문이 국경선이라면.... 유조변 밖의 지역인 오늘날의 길림성대부분, 흑룡강성, 내몽골,
(그리고 오늘날은 러시아령이지만 당시에는 청나라령이었던 연해주와 스타노보이산맥 이남~흑룡강이북)의
한반도 몇 배 이상에 달하는 광활한 영토 또한 청나라영토가 아니라는 말도 안되는 논리가 성립합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713
3961 [한국사] 감방친구님이 오린 아래글에 대한 본인의 소견 (1) 독산 05-29 861
3960 [한국사] '진개의 침입' 당시 양평의 위치에 대하여(지… 히스토리2 05-29 1292
3959 [한국사] 근초고왕이라는 드라마 보면요. (6) 코스모르 05-29 1326
3958 [한국사] 남북 역사학 체제 경쟁 (3) 히스토리2 05-29 1010
3957 [한국사] 1125년 봉사행정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교차 검… (10) 감방친구 05-30 2334
3956 [한국사] 연행록에 “조선과 명·청 사이 책문은 압록강 북쪽 … (1) 히스토리2 05-30 1515
3955 [기타] 최후의 유목제국 준가르부 (3) 히스토리2 05-30 2517
3954 [한국사]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원인 (4) 히스토리2 05-30 1151
3953 [한국사] 신라왕릉의 다양한 모습들 히스토리2 05-30 1730
3952 [한국사] 고려의 수도 개성 (3) 히스토리2 05-30 2041
3951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 히스토리2 05-30 1638
3950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2 히스토리2 05-30 1965
3949 [대만] 정씨왕조의 대만경략3 히스토리2 05-30 1686
3948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207
3947 [한국사] 가야나 부여왕의 칭호에 대해아시는분 계신가요? (2) 대한국 05-31 979
3946 [기타] 김유신이 찬양한 수수께끼의 화랑 문노 관심병자 05-31 1407
3945 [기타] 맹자가 알려준 단군조선의 강역은 어디인가? (9) 관심병자 05-31 2399
3944 [기타] 몽골 騎馬 軍團의 기동성 관심병자 05-31 1263
3943 [기타] 매초성의 신라 승전과 발해의 등주공격 (1) 관심병자 05-31 1767
3942 [기타] 부여성 전투 (2) 관심병자 05-31 1879
3941 [한국사] 기사 펌, [단독] 삼한시대 역사 앞당길 '국보급 청… (9) 가남 06-01 1434
3940 [기타] 온달과 온군해는 중앙아시아에서 왔다 (17) 관심병자 06-01 2715
3939 [한국사] 서기 1~3세기 요동/한반도 정세의 재구성 (8) 감방친구 06-01 2377
3938 [한국사] 근초고왕의 한성 위치는 ? 한성vs남평양 (9) 도배시러 06-01 1901
3937 [기타] 스키타이 문화 연관성 관련 (6) 관심병자 06-02 1661
3936 [한국사] 산서지집요-치우성-기산-수양산-규수 (15) 영종햇살 06-02 1527
3935 [세계사] 자금성에 버금가는 궁궐을 세운 나라가 있나요? (4) 아스카라스 06-02 2175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