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6-07 00:03
[한국사] 연진계 물질문화상과 고조선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473  

학계에서는 기원전 5~4세기 이후 현 대릉하와 요하 일대에 현저하게 나타나는 연진한계 물질문화상을 근거로 고조선과 위만조선의 영역과 그 축소상, 한4군의 위치를 비정한다

난하를 기점으로 낙랑ㅡ요동ㅡ현도가 위치했다고 판단하는 본인으로서는 한계 문화에 대해서는 일단 수긍을 하나

연진계 문화상을 근거로 연진의 영역이 압록강 전후까지, 연진장성 역시 이곳까지 끌어오는 학계의 만행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

이미 은주 교체기에 기자로 상징되는 집단의 고조선 망명이 있었고, 전국시대에는 유입이 더 거세졌다
위만집단조차 망명집단이다

이들이 고조선에 망명하자마자 그 전의 물질문화를 모두 버렸다고 보는 게 상식적 사고인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6-07 00:33
   
     
감방친구 18-06-07 00:50
   
이후석 박사의 지도에서는 하가점상층문화 지역의 비파형동검 출토표시를 의도적으로 하지 않고 있다

의도적으로 이 지역에서의 비파형동검 문화상을 표시하지 않고 북방계 물질문화양상만을 표시하여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감방친구 18-06-07 00:53
   
BC 5세기를 전후하여 출현하는 세형동검은 비파형동검의 연장선이자 발전상으로, 학계 통설에서 설파한 서북한 집중(=진개 침입 이후 고조선 서북한 중심 발전론)과 달리 실제로는 하북성에서 남만주에 이르기까지 널리 분포하며

이 분포상은 전기 비파형동검 분포상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감방친구 18-06-07 03:34
   
염철론에서 요동(국)을 지나 조선을 쳤다고 하여서 꼭 조선이 요동의 서쪽에 있었다고 볼 수는 없다

그것은 출정 루트일 뿐이다

또한 당시 진한의 요동은 현 영정하~노룡 일대로
이는 적어도 난하 동쪽은 조선 영역이었음을 나타낸다

당시의 요수(潦水)는 영정하
감방친구 18-06-07 03:37
   
이미 전국시대 연ㆍ제로부터 망명자들이 조선으로 몰려들었고
진나라 성립시기, 진한 교체기에도 계속 고조선으로 망명자들이 몰려들었다

거듭 말하지만 위만집단 역시 망명자집단이었다

즉 난하 동쪽의 4~3세기 이후 연진 물질 문화는 이들 망명자들이 남긴 것으로 봐야 타당하다
     
그만혀 18-06-07 15:30
   
난하 동쪽의 물질문화를 그렇게 판단하면 곤란합니다. 제가 그 쪽전공은 아닙니다만, 작년 말에 있었던 고조선관련 고고학대회에 참석했을만큼 관심도 있고, 연계주조철기가 등장하는 시점부터의 물질문화는 어느정도 알고 있습니다.
 요즘 신라의 국가형성과정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는데 그와 관련된 것이 '유이민'집단입니다. 신라의 형성과정에 북쪽의 유이민들이 들어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데(고고학+사서 모두), 소수의 유이민의 위치가 어느정도인지에 대해서는 분묘의 형태와 부장품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신라의 경우 유이민들은 소수의 집단이었지만 선진문물을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기존집단의 상층부와 대등한 위치를 가지죠. 그러나 대세적인 문화가 되지 못하고, 기존집단의 문화에 흡수당합니다.
 그렇다면 난하동쪽의 연진계물질문화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죠. 사서에서 유이민들이 많이 들어왔다고 해도 상식적인 측면에서 볼 때 유이민들은 기존 거주자에 비해 많을 수는 없습니다. 설사 많다고 할지라도 유이민의 문화가 해당 지역을 지배하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그런데 연진계의 토기, 분묘, 부장품 등이 '진개'라는 사람이 있었을 때를 기준으로 급격히 동진을 합니다. 우리는 이 것에 대해 유이민의 동진때문이라고만 생각하여야 할까요? 기원전 7~5세기만 해도 지배적이던 고조선의 문화가 갑자기 동쪽으로 후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간단합니다. 고조선은 연나라에 패했습니다. 신채호 선생님이 말씀하신 정도로 대패했습니다. 그래서 단숨에 고조선의 물질문화가 쇠약해진 것입니다..
 사서만으로 연구하시는 분들은 이미 '답'을 정해놓고 그 답의 범위 내에서 다른 것들을 포함시켜서 결론을 도출할려고 하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고조선은 패하지 않았어! 라는 것을 전제에 두고 나머지를 설명하실려고 하니, 유이민들이 그 지역의 대세적 물질문화가 되었다! 란 이상한 답이 나오게 되는 겁니다.
 유이민들의 문화가 지배적인 문화가 되는 경우는 한국사에서는 정확히 한번 있습니다. 마한의 경우인데 마한세력이 백제에 쫒겨 남진하면서 나타나는 문화의 경우인데, 이 경우도 취락구조(비4주식주거지에서 4주식 주거지로)에 한정됩니다.
          
감방친구 18-06-07 15:53
   
그만혀님 반갑습니다 자주 좀 의견 내 주세요
저는 사서 중심이니까 한계가 있습니다

일단
진개 2천리를 받아들이더라도
연의 전성기는 오래가지 못 했고 조선이 이어서 영토를 회복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연 물질문화 양상은
진개 침입 이전에 난하 동쪽까지 조선 영역이었음을 고지해주는 사실이고
염철론과 사마천 진시황 본기는
진이 들어섰을 때에 조선의 영역이 발해에 인접하여 진의 동쪽에 있었음을 고지하고 있습니다

제 관심의 포인트는 그 이후 위만조선과 낙랑군이 어디였는가 하는 것입니다

고고학계에서는 진시황 본기의 기록과 달리
연나라가 강탈한 조선의 영토, 그러니까 현 요하 근역까지의 강토를 진나라와 한나라까지 계속 유지했다고 하는 것인데요

님의 견해는 어떤가요?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023
3930 [한국사] mb정부 ㅡ 친일 재산 귀속자료 허공에 날려 mymiky 10-23 1473
3929 [북한] 1947년 미국 기자가 본 김일성 위원장의 모습은? (2) 돌통 06-13 1473
3928 [한국사] 환인이라는 표기가 하느님의 가차형인가요? (10) 11학번 09-12 1472
3927 [기타] 낙사계’는 발해사람이 맞다 두부국 10-22 1472
3926 [한국사] 콩나물 팔던 여인의 죽음 (6) 레스토랑스 06-16 1472
3925 [기타] 원(元)-명(明)의 교체와 고려 (1) 관심병자 07-01 1472
3924 [기타] 일본&중국의 사찰, 전통 건축 양식.JPG 샤를마뉴 07-18 1472
3923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정동) 1..세우고 빼앗기고 되찾은 나… 히스토리2 04-19 1472
3922 [기타] 고통 속 발자취 생생…베이징서 만난 신채호 (2) 두부국 03-09 1471
3921 [기타] 중앙아시아 키르기스스탄 (Kyrgyzstan) 키르기스인 외모 하플로그룹 08-15 1471
3920 [일본] 上代日本語[고대일본어]를 재구한 영상. (2) Ichbin타냐 11-23 1471
3919 [한국사] 임란 때 조선의 국격이란? (10) 아스카라스 03-01 1471
3918 [한국사] 펌)일제강점기 일본인들의 조선인 차별 사례(2) Attender 06-25 1471
3917 [다문화] 예전에 우리나라 외국인버죄에 대한 영상을 봣는데! 쿠리하늘 02-23 1470
3916 [기타] 야스나가가 또 왔습니다. (2) 아름다움 11-10 1470
3915 [기타] 친문으로 유명한 모 싸이트.1,2년전 역사 게시판 난리… (13) 환빠식민빠 06-05 1470
3914 [중국] 어제 밤에 영웅삼국지보다가 되게 거슬리더군요 (4) Marauder 07-29 1470
3913 [한국사] 하남 감일동 굴식 돌방무덤 52기 출토품·석실 얼개 … (2) 뉴딩턴 09-17 1470
3912 [한국사] 발해 국호에 대한 이해 (3) 감방친구 03-15 1470
3911 [한국사] "세상에 버릴 사람은 없다" 세종의 유산 (1) BTSv 11-15 1470
3910 [한국사] 늙은이의 주문 (2) 위구르 03-20 1470
3909 [기타] 검정고무신 속 특이한 옛날 먹방&문화 관심병자 03-18 1470
3908 [한국사] 백촌강 전투와 일본의 고민 (3) 히스토리2 05-15 1469
3907 [세계사]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 고대 도시 (2) 레스토랑스 10-17 1469
3906 [한국사] 백제 요서경략설(百濟 遼西經略說) (11) 봉대리 01-24 1469
3905 [한국사] 미국토목학회는 ‘역사적인 토목 구조물 상’의 수… (5) 히스토리2 05-12 1468
3904 [한국사] 적석총 돌무지무덤 이 고구려 백제 초기 무덤 (2) 뉴딩턴 08-25 1468
 <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6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