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4-02 00:32
[기타] 삼국시대부터 지진이 잦았던 영남 지방
 글쓴이 : 흑요석
조회 : 1,369  

'경상도 경주와 울산에 지진이 일어났는데, 그 소리가 우레와 같았다.'

조선 500여년의 역사를 담은 조선왕조실록에 담긴 글이다. 인조실록 39권(1639년)에 이 같은 지진이 발생했다고 기록돼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지진(地震) 관련 내용은 1,899건이 검색된다. KBS 디지털뉴스팀이 국사편찬위원회의 조선왕조실록 온라인 사이트에서 한자로 '地震'(지진)을 검색한 결과, 중종 때 지진 기록이 464건으로 가장 많았고 명종 343건, 숙종 221건, 세종 141건 등의 순으로 나왔다.

◆ 실록이 말하길... '경상도에 지진이 많으니...'

오늘(6일) 기상청에 따르면, 2010년부터 어제까지 한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은 총 372건(북한 53건 포함)이다.

이 가운데 30.6%인 114건이 경상도에서 발생했다. 충청도(65건), 전라도(40건)보다 2~3배 많은 수치다.

경상도의 잦은 지진이 최근에 두드러진 현상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경상도에서 발생한 지진이 350건 이상 적혀 있다. 전라도나 충청도, 평안도, 강원도 등 다른 지역의 지진 관련 내용보다 100건 이상 웃도는 수치다.

세종실록 56권(1432년)을 보면, 세종은 "우리나라에는 지진이 없는 해가 없고 경상도에 더욱 많다"며 "지진이 하삼도(下三道)에 매우 많으니 오랑캐의 변란이 있지나 않을까 의심된다"고 걱정하기도 했다.

2000년 이후 경남에서 발생한 지진은 모두 44건에 달한다. 이런 가운데 조선시대에는 전체 지진 3건 가운데 1건꼴로 경남을 비롯한 영남지역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454년 12월 28일에는 큰 지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기록에는 '경상도 초계(草溪·지금의 합천군)…에 지진이 일어나 담과 가옥이 무너지고 허물어졌으며, 사람이 많이 깔려 죽었으므로, 향과 축문을 내려 해괴제를 행하였다'고 나와 있다.

또한, 1432년 세종은 "지진은 천재지변 중의 큰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지진이 없는 해가 없고, 경상도에 더욱 많다.

그 중 현대 과학의 기준으로 볼 대 가장 강력했던 지진으로 꼽을 수 있는 사례는 1643년(인조 21년) 6월 9일에 일어난 지진이다. 그날 ‘인조실록’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경상도의 대구ㆍ안동ㆍ김해ㆍ영덕 등 고을에 지진이 있어 봉화대와 성첩(성가퀴 ;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이 많이 무너졌다. 울산부에서는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구쳐 나왔다.

지진학자인 이기화 전 서울대 교수는 그날 울산 근처에서 일어난 지진을 진도 10으로 추정한 바 있다. 진도 10이면 돌로 지은 건물조차 파괴되며, 땅의 갈라짐이 심하고 철도가 휘어지기도 하는 지진 등급이다.





신라 혜공왕 때 100여명 사망, 석가탑 수리도 '지진' 탓

경북 경주에서 12일 규모 5.8 강진이 발생한 가운데 역사 속 경주지역 지진 사례가 새삼 관심을 끈다.
삼국시대 이후 최근까지 역사에 기록되거나 지진 관측으로 보고된 한반도 지진 발생 횟수는 2천600여회다.

이런 사실은 이기화 전 서울대 교수가 삼국사기와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 사서와 1905년 이후 지진 기록을 분석한 '한국의 지진'이라는 논문에 나온다.

이 논문에 따르면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서기 2년∼935년)까지 발생한 지진은 모두 102회로 각 왕조 수도이며 인구가 밀집한 경주, 평양, 부여, 공주 등에서 주로 관측됐다.

이 시기 지진 중에서 가옥 파괴 등 피해를 초래할 정도의 진도를 보인 것은 모두 16회였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혜공왕 15년(779년) 3월에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많은 집이 무너지고 100여명이 사망했다.

전문가들은 피해 규모 등으로 미뤄 당시 진도가 6.0 이상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태종무열왕 4년(657년) 기록에도 "7월에 (경주) 동쪽 토함산 땅이 불타더니 3년 만에 꺼지고 흥륜사 문이 저절로 무너졌는가 하면 ○○○ 북쪽 바위가 무너졌다"고 돼 있다.

경주지역 지진은 11세기 들어 빈발하는 모습을 보인다.

고려 현종 3년(1012년) 3월과 12월, 이듬해 2월 등 1년사이 3차례나 경주에 지진이 난 데 이어 지진이 그친 뒤 13년 뒤인 1025년 4월에도 영남도(嶺南道) 10현(縣)에 지진이 일어났다.

경주가 10현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 의견이다.

그 뒤 또 10년이 지난 고려 정종 원년(1035) 9월에는 지진이 경주를 비롯한 19개 현을 덮쳤다는 기록도 있다.

이처럼 경주지역에 지진이 잦은 이유는 토함산을 포함한 경주-울산에 걸쳐 있는 '울산단층'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활성단층' 지대이기 때문이다.

지질역사학적으로 보면 대체로 200년 단위로 이 일대에서 지진활동이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 지질학자는 "경주 일대가 지진 활동이 활발해지기 시작하는 시기에 접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경상도가 삼국시대부터 지진이 유난히 잦았군요;; ㄷㄷ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깡통의전설 17-04-04 00:09
   
원자력 발전소 -_-... 아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697
3232 [일본] 日사민당수 경선에 커밍아웃한 동성애운동가 출마 doysglmetp 09-28 1376
3231 [기타] Indians & Koreans are brothers. Traditional games are the same (5) 조지아나 09-28 1376
3230 [다문화] 한국과 일본정부의 불법체류자 정책 비교[펌] (1) doysglmetp 05-03 1375
3229 [기타] 열의가 대단하신 여러분을 칭송합니다. 만법귀일 10-02 1375
3228 [한국사] 기록 관점으로 보는 북지(北地)의 위치.. [ 고조선(古… (4) 현조 07-21 1375
3227 [기타] 누란의 위기에 빠진 조선을 구한 명나라 여인 (1) 응룡 04-25 1375
3226 [한국사] 낙랑군 패수의 위치와 사서조작 도배시러 09-16 1375
3225 [세계사] 기원전 2,300년 전 유적, 혹 고조선 문명? (7) 마리치 08-23 1375
3224 [기타] 1905년 맥시코 이민자 후손들 한국방문 이야기 조지아나 12-12 1375
3223 [기타] 충북 올해 범죄 저지른 외국인 470명 doysglmetp 12-09 1374
3222 [기타] 위서 편찬 메뉴얼... (10) 마라도 12-28 1374
3221 [한국사] 한국고대사 분야의 선구자 '신의 손'들 (1) 징기스 08-22 1374
3220 [한국사] 새해특집 [이성계 집안 2] (1) mymiky 01-02 1374
3219 [한국사] 한국역사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역사1 (3) history2 04-15 1374
3218 [한국사] 역사를 탐구하면서 경계해야 할 정서논리 (7) 감방친구 12-14 1374
3217 [한국사] (5-2-1) 후한서 군국지(장백산과 압록수 연구 일부 발… 감방친구 05-08 1374
3216 [기타] 동아시아 게시판 역사 게시판 맞죠? (3) 해달 05-25 1373
3215 [기타] 통전(通典) 변방문(邊防門) 백제전(百濟傳) 원문과 번… (1) 두부국 07-17 1373
3214 [기타] 역사 천문 기록을 통해 살펴본 고구려 관측지 - 양홍… 두부국 10-23 1373
3213 [한국사] 동양대 김운회교수님 말씀 요약 스리랑 06-05 1373
3212 [한국사] 8) 환단고기에서 밝혀주는 역사 (3) 스리랑 03-13 1373
3211 [한국사] 5호 16국 시대에 고구려나 부여가 강성했다면 중국에 … (2) 미먀미며 10-17 1373
3210 [한국사] 이덕일 역사tv- 국내교과서 정말 문제많다는 생각이 … (3) 조지아나 08-18 1373
3209 [한국사] 대한민국 역사학계의 문제점을 잘 말해 줍니다. 스리랑 12-06 1373
3208 [한국사] 요즘 여러 역사 유튜버들 방송을 보고있는데 스파게티 05-14 1373
3207 [기타] 일본 초기 도래계의 하플로 그룹 예상 하플로그룹 08-14 1372
3206 [한국사] 당나라 한원서, 백제 6도성의 위치 (7) 도배시러 04-11 1372
 <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