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2 18:19
[한국사] 아름다운 한국의 정원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370  

우리나라의 정원에서는 유럽이나 다른 여러 나라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분수가 없는 대신 자연스럽게 조성된 폭포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높은 데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거슬리지 않기 위해서이다. 또한 늘 푸른 상록수를 선호하는 일본이나 중국과는 달리 우리나라의 정원에서는 계절의 영향을 받는 낙엽활엽수가 더 많이 눈에 띄는데, 이것 역시 계절의 변화를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이는 우리의 자연친화적 성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원의 가장 큰 특징은 그렇게 정원으로 스며든 자연경관을 연못의 배치, 바위와 조각상과 같은 각종 경물(景物), 수목(樹木), 정자의 편액 또는 암각서 등 정원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인문경관으로 탈바꿈시켰다는데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정원은 단순한 감상과 휴식의 공간이 아니라 그 정원 주인의 욕망과 정신세계를 상징적 수법으로 구현한 또 다른 성격의 생활공간으로 거듭나는 것이다. 

예컨대, 궁궐 정원이나 선비들이 낙향하여 조성한 별서정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네모난 연못 한가운데 둥근 섬이 떠 있는 모습의 방지원도(方池圓島)형 연못은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는 유교적 우주론의 반영이며, 그 연못에 주로 연꽃을 심은 것도 연꽃이 유교에서 이상적 인간형으로 삼은 군자를 상징하는 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런가하면, 그런 연못에 3개의 바위들을 심어놓고 삼신산(三神山)으로 부르거나 정원 구석구석에 12개의 크고 작은 자연석을 세워 놓고 무산십이봉(巫山十二峰)이라 이름한 것은 도가 사상의 영향으로서, 당시 사람들이 유한한 인간의 수명과 속세의 현실적 제약을 벗어나 생사의 굴레에 초연한 신선과 같은 삶을 꿈꾸었음을 짐작케 한다.

아울러 정원에 심은 나무들에도 제각기 깊은 뜻이 있어서 은행나무는 공자의 학문을 가르치고 배우는 장소를 의미하는 행단(杏壇)의 상징이며 소나무, 대나무, 매화 등의 나무들은 지조와 은일의 상징으로서, 그 나무들에서 옛 사람들은 곧은 선비와 고아한 군자의 모습을 보았다.

정자(亭子)나 당(堂), 각(閣), 헌(軒), 재(齋) 등 건물의 편액과 산수정원의 큰 바위나 대(臺) 등의 암각서에 주자나 굴원 등 옛 성현의 글이나 고사(故事)에서 딴 이름을 붙인 것 역시 그들에 대한 선망과 흠모의 표시임과 동시에 자신도 그들처럼 살고자 하는 욕망과 다짐을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편액과 각서는 당대 사람들의 생활철학과 사상 또는 현실적 욕망을 고스란히 함축하고 있는 정신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이라 할 것이다.

maxresdefault.jpg

낙천정.jpg

보길도4.jpg

보길도1.jpg

rear_garden00.jpg

K2015042819743866.jpg

jbcaesar_151399_2[458570].jpg

seoul_07_02.jpg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뚜리뚜바 18-04-22 21:51
   
ㅎㅎ 제가 조경하는 입장에서 이 자료가 올라온건 대단히 반갑네요. 세계에 자신만의 사상과 정신을 가진 정원 문화를 가진 나라는 사실 몇 안된다고 하더군요. 그런면에서 신선사상, 음양오행 등의 불교, 도교, 유교의 철학적 세계관이 담겨있는 정원들의 뒷이야기들의 내용을 살펴보면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이 철학적 관념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각 계층마다의 정원도 그 시대별로 살펴보면 흥미롭습니다. 궁궐 정원, 서원 정원, 민가 정원, 전통 마을 등 현재도 남아있는 곳이 많아 볼 곳이 참많습니다. 지금은 남아 있지 않지만 고려 시대에는 정원이 정말 휘황찬란했다더군요. 조선과는 비교도 할수 없을 만큼 화려함의 극치를 보여주었다고 합니다. 특히 의종때는 나라는 말아먹었지만 건축, 정원 하나만큼은 끝장났다더라고요.
아무튼 정원쪽도 시간되시면 동양조경사 한번 보심을 추천해드립니다. 삼국시대 백제나 신라~ 지금 안압지만 봐도 신선사상이 굉장히 잘 발달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수 있죠 ㅋ
 
 
Total 20,02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795
3231 [중국] 서진의 갈석산과 진장성 (7) 도배시러 11-05 1363
3230 [한국사] 한국역사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역사1 (3) history2 04-15 1363
3229 [한국사] 유물과 상징 그리고 신화 그 두번째 ( 천부경의 고고… (5) 풍림화산투 06-07 1363
3228 [기타] 루마니아 미스터리, 신석기 청동기 거대 유적 (ft. … 조지아나 01-17 1363
3227 [한국사] 자삭 (8) 아름드리99 02-23 1362
3226 [한국사] 원효 '판비량론' 잃어버린 조각 일본서 또 나… (2) 설설설설설 06-26 1362
3225 [한국사] 의자왕과 삼천궁녀 (9) 레스토랑스 07-09 1362
3224 [한국사] 중국인들의 기자의 위키 백과 서술의 문제점 (7) 고이왕 09-25 1362
3223 [한국사] 조선조에도 자주사관과 사대사관의 대립이 있었다 (1) 케이비 11-16 1362
3222 [한국사] 일도안사님 책이 절반도 안 팔렸다는 사실은 충격입… (2) 감방친구 01-28 1362
3221 [기타] 조선족 빨갱이독과 짱깨독 으라랏차 07-22 1361
3220 [기타] 장호 두부국 06-30 1361
3219 [기타] 한일 고유 유전자 서로 대입 했을때 나오는 비율 (중… O2b1b1L682 06-10 1361
3218 [한국사] 위만조선의 위만은 서융 흉노족 이다. (5) 도배시러 09-09 1361
3217 [한국사] 후한 광무제의 낙랑 정벌은 교차검증이 불가능하다. (1) 도배시러 10-13 1361
3216 [한국사] 부흥카페 현재 상황 긴급 보도!! (19) 징기스 11-05 1361
3215 [다문화] 아동복지법 일부개정법률안- 불체자아동의 권리를 … (5) 보리스진 02-06 1361
3214 [한국사] 저는 환빠라고 욕하는 사람들이 정말 싫습니다 (15) 도수류 12-09 1361
3213 [한국사] 삼국사기 800년 논쟁 밑져야본전 12-27 1361
3212 [중국] 치파오 VS 한푸 중국전통의상 논란 (19) 투후 06-21 1360
3211 [기타] 압록강-마자수-염난수 (2) 관심병자 06-09 1360
3210 [북한] 김일성 항일무장 투쟁의 진실. 있는 사실 그대로..(1… 돌통 08-13 1360
3209 [기타] [영상] 왜 북동부 인도인들은 동아시아 인처럼 보일… 조지아나 03-03 1360
3208 [한국사] 한漢고조 유방의 흉노와의 백등산白登山 전투(구주… (1) 수구리 08-03 1360
3207 [한국사] 고수전쟁, 수나라의 요서와 회원진 (3) 도배시러 03-08 1359
3206 [기타] 2016년 제1회 동북아역사재단 상고사 토론회 두부국 04-23 1359
3205 [기타] 고구려 기병의 무기와 기병전술 관심병자 07-16 1359
 <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