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3 11:34
[베트남] 베트남 역사 정리 2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322  

1000년 만에 독립 회복한 응오왕조


베트남이 중국에서 독립한 것은 응오(吳)왕조(939~968) 때이다. 중국에서 당(唐)이 망하고, 오대십국(五代十國)으로 분열되어 있던 시기였다. 고구려가 한사군 중에서 마지막 남아 있던 낙랑군을 축출한 것이 313년이니, 중국의 베트남 지배가 얼마나 길었는지 알 수 있다.

당시 베트남은 오대십국 중 하나인 남한(南漢)의 지배하에 있었다. 베트남은 바익당강(江)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남한을 물리쳐 1000년 넘게 이어져 왔던 북속의 사슬을 끊었다.

〈베트남군은 강바닥에 쇠와 나무 기둥을 박아놓고 작은 배를 이용하여 남한군을 유인했다. 남한군이 강을 따라 내륙으로 깊숙이 들어오고 조수가 밀물에서 썰물로 바뀌자 그동안 거짓 도망하던 베트남군은 강가 풀숲에 염초와 마른 건초를 준비하고 매복해 있던 군사들과 함께 일제히 화공으로 남한군을 공격했다.


2.png


기둥에 걸려 옴짝달싹 못 하던 남한의 전함들은 전소되고, 남한국의 수장을 포함한 태반의 군사들은 전사하고 말았다.〉

이후의 역사를 베트남에서는 ‘독립왕조시대’라고 한다. 이 기간에 중국의 베트남 침략은 일곱 차례 있었다. 그중 세 차례는 후술할 몽골의 침략이다.

응오왕조를 비롯하여 딩(丁)왕조(968~980), 띠엔레(前黎)왕조(980~1009) 등은 중국으로부터 갓 독립한 상황에서 왕권의 약화, 왕위 계승의 불안정, 중앙집권제의 미확립 등으로 오래 버티지 못했다.

자신들로부터 벗어났음에도 중국은 베트남을 독립국가로 인정하지 않았다. 국제질서의 소용돌이 속에서 중국이 어쩔 수 없이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였을 경우에도, 중국은 베트남의 독립을 위협하였다.

이를 알고 있는 베트남은 독립왕조 내내 중국과의 관계에 심혈을 기울였다. 베트남도 1000년 중국의 지배 속에서 정치 등 여러 부문에서 중국화되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독립했다고 해서 중국과 모든 것을 단절할 수는 없었다.

때문에 베트남은 독립의 보존과 국가의 발전을 위해 응오왕조 시절부터 중국과 스스로 종주-종속의 관계를 택해야 했다. 중국 황제들은 베트남의 수장들에게 정해절도사, 안남도호, 교지군왕 등의 벼슬을 내려주면서 책봉, 형식상 자신의 지배하에 두었다.

리왕조와 花山 李씨

띠엔레왕조는 독립왕조에서 처음 있었던 중국의 침략을 막아냈고, 이웃한 점성(참파·지금의 캄보디아)을 최초로 침략했다. 두 사건을 통하여 짐작할 수 있듯이 띠엔레왕조는 이전의 두 왕조보다는 발전하였다. 그러나 후계자를 확고히 세우지 못해, 왕자들 간의 반목으로 단명(短命)했다.

왕조의 멸망에는 불교계도 한몫했다. 띠엔레왕조는 최고의 지식인으로서 오랫동안 정치·사회 전반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승려들을 박대했다. 이후에 세워진 리(李)왕조(1009~1225)가 숭불(崇佛)정책을 강하게 추진했던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오랜 기간의 병합과 독립왕조 이후 책봉조공관계를 통한 중국과의 교류는 베트남의 문명과 문화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중국인들은 자사, 태수, 도위, 현령 등 벼슬아치나 군인 등으로, 또는 경제적·종교적 목적에서 베트남으로 들어왔다. 베트남에 정착하는 유형도 단기, 장기, 영구 정착 등으로 다양했다.

때문에 베트남은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여 인도적인 요소는 적고 중국적 요소가 강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례로 베트남어 명사(名辭)의 80%가 중국어에서 왔다. 불교는 인도에서 해로(海路)로 직접 전래되었지만, 중국의 지배를 받으면서 중국 불교의 영향도 많이 받았다. 또 중국에서 도교·유교도 건너왔다.

유학(儒學)이 베트남 역사에서 표면화되기 시작한 때는 리왕조 시대였다. 천년의 수도 하노이 시대를 연 리왕조는 베트남 최초의 장기(長期) 왕조이다. 이때부터 공자(孔子)와 유학의 성현(聖賢)들을 제사하는 문묘(文廟)와 국립대학인 국자감(國子監)이 세워지고 과거제도가 시행되었다.

베트남이 과거제도를 처음 도입한 것은 1075년이다. 고려가 과거제를 도입한 것이 958년이니 77년 늦은 셈이다. 이후 베트남의 과거제도는 1919년까지 유지되었다. 따라서 베트남도 중국이나 한국처럼 문(文)이 무(武)를 지배하는 나라가 되었다.

오늘날 베트남의 교육열이 높은 것도 여기에 뿌리가 있다. 이는 사(私)교육으로 이어져 오늘날 베트남의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유교는 지금까지 베트남 사회와는 전혀 다른 사회, 즉 사대부(士大夫)가 중심이 된 사인사회(士人社會)를 출현시켰다.

베트남의 리왕조를 언급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우리나라의 화산 이씨(花山李氏)이다. 리왕조가 멸망할 무렵 황족 리롱 뜨엉(이용상·李龍祥)은 뱃길로 망명길에 올라 고려의 강화도에 표류하였다.

이후 그가 대몽항전(對蒙抗戰)에 공을 세우자 고종은 그에게 화산이라는 본관을 내려주었다. 아쉽게도 베트남이나 한국의 공식 사서(史書)에는 리롱 뜨엉과 관련한 기록이 없다. 화산 이씨의 족보에만 그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958
2936 [기타] 나도 에스프리즘에 낚임 덤벨스윙 09-16 1325
2935 [기타] 에스프리즘님 (3) 투우 09-16 1325
2934 [중국] 중국이라는 이름을 남용하는 사람들이 많네요 (1) 갈루아 05-11 1325
2933 [한국사] 한민족 역사 중 어느 역사가 가장 궁금합니까? (5) 흑요석 02-08 1325
2932 [기타] 日150억 내라.."백제미소보살" 환수 결국 무산, 韓은 42… (3) 스쿨즈건0 10-12 1325
2931 [한국사] 당唐의 기미주로 보는 고구려의 강역, 영주·평주(營… (9) 파스크란 07-03 1325
2930 [한국사] 역사만화 바람따라 물따라 <고려-거란 전쟁편> (1) 설민석 05-25 1324
2929 [한국사] 「동북아역사지도」 제작 회의록을 보니…… (1) 마누시아 07-03 1324
2928 [한국사] 진나라 이후 동이족은 고대 동이족과 관련이 있습니… (26) 예왕지인 10-11 1324
2927 [한국사] 수구리님의 주장, 그리고 여러분께 (15) 감방친구 08-21 1324
2926 [다문화] 너무 늦은건가요... (6) 백발마귀 02-02 1323
2925 [일본] 반드시 알아야 할 신라의 왜 정벌(유례왕, 진평왕, 성… (1) history2 03-20 1323
2924 [베트남] 베트남 역사 정리 2 히스토리2 05-03 1323
2923 [한국사] 한국은 세계를지배한나라엿습니다 세계사는모두 조… (5) 한민족만세 01-20 1323
2922 [한국사] 시대별 한사군 현과 인구수의 변화 위구르 08-19 1323
2921 [한국사] 춘추 전국 진 서한시대 요수의 위치 (6) 하이시윤 03-14 1323
2920 [기타] 중국에서 본 고구려가 중국사라는 안내판 (3) 인류제국 06-07 1322
2919 [한국사] 고대사는 판타지 조선 근현대사는 헬조선.... (19) 고이왕 06-15 1322
2918 [한국사] 과거 미국인이 본 한중일 하수도 솔루나 06-25 1322
2917 [한국사] 중국 문헌의 백제강역 정리 5개소 도배시러 10-22 1322
2916 [한국사] 소위 대륙 고구려 및 삼국설에 인용되는 요사 지리지… (14) 고이왕 03-16 1322
2915 [한국사] 낙랑군 교치 문제 (15) 감방친구 05-28 1322
2914 [다문화] [‘다문화 사회’의 뿌리는 교육] 학교에선 놀림 받… 개혁 05-14 1321
2913 [기타] 고대사에 대해 관심병자 02-22 1321
2912 [한국사] 백제의 금동관과 금동신발 (4) 감방친구 04-14 1321
2911 [한국사] [ 고조선제국(古朝鮮) ] 화북, 산동, 양쯔강까지 지배… (1) 아비바스 10-03 1321
2910 [일본] "다른 수단 있어도 집단 자위권 행사" 블루하와이 03-11 1320
 <  631  632  633  634  635  636  637  638  639  6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