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4-02-15 01:26
[한국사] 조선 초기 북방 영토 분석: 신호수 지역
 글쓴이 : 보리스진
조회 : 1,332  

신호수 지역.jpg

조선초의 기록을 보면 흥미로운 내용들이 있다. 압록강 북쪽에 조선인이 거주하면서 농사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여기서는 신호수 지역에 대해서 다뤄보겠다. 북방 영토 지명 중에는 발음이 동일하지만 한자가 다른 경우가 많다. 신호수도 이에 해당한다. 신호수(申胡水), 신후수(申猴水), 신호수동(申胡水洞), 신호수평(新胡水平), 신후수동(辛後水洞) 등으로 기재되어 있다.

 

보통 국경지대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거주민들이 각자 집에서 거주했다. 겨울이 되면 흩어져 살던 주민들을 방어진지로 입보시켜서 머물게 하였다. 근처의 읍성, 구자 등에 모여 거주하게 하였다.

 

세조 4년에 신호수 지역은 주민들이 거주하면서 농사를 지었다. 아마 봄에서 가을까지 신호수 지역에서 거주하고, 겨울에는 읍성에서 거주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에 국경지대에 북방 야인들이 침범하면서 안전이 우려되었다. 그래서 수호군을 파견하였다. 시일이 지나면서는 경계가 더욱 엄격해졌다.

 

조선중기 이후부터는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 이 시기에는 압록강을 건너가는 것을 대체로 금지했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살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신호수 지역은 고려후기의 영토가 전해져 내려온 것이다. 명나라 주원장이 조선의 국경지대를 압록강으로 하라고 하였다. 그러다보니 조선 측이 최전방 관방시설에 대한 소유권을 잃어버린 것 같다. 그러면서 신호수 지역의 거주민 보호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시일이 흘러 점차 거주하지 않게 되었다.

 

지도에 표시된 신호수 지역은 고지도에서 위치를 참고하였다. 조선 후기의 고지도이다. 조선 초기에는 현재 위치보다 더 북쪽에 위치했을 수 있다. 다른 지명을 참고하면 의주읍에서 약 30km 북쪽에 있었던 지명도 확인된다. 조선 중기가 지나면서 지명이 전부 압록강 근처로 남하한다.

 

세조실록14, 세조 41125己酉 3번째기사 1458

창주(昌州) 양괘도(楊掛島)와 창성(昌城) 종달도(終達島), 의주(義州) 신호수평(新胡水平)은 주민(住民)들이 적에게포로될까 염려되어 각각 수호군(守護軍)을 두었는데, 그 폐단이 심히 많고, 또 세 곳은 각각 읍성(邑城)과의 거리가 멀지 않으니, 청컨대 도절제사(都節制使)로 하여금 토전(土田)이 없는 자를 조사하여 부근의 성내(城內)로 옮기게 하고, 토전을 지급하여 거주시키되, 농사철이면 망을 보아 수호(守護)하게 하소서.

慮昌州 楊掛島昌城 終達島義州 新胡水平居民或被虜, 各置守護軍, 甚爲有弊, 且三處各距邑城不遠請令都節制使刷其無土田者, 移于旁近城內, 給田居之, 農時則候望守護

 

세조실록35, 세조 11215일 임진 3번째기사 1465

1. 신호수(申胡水)에는 목책(木柵)을 설치하지 말고, 점차로 경작하며 일시(一時)에 다 개간하지 말 것. 신호수(申胡水)는 방산 만호(方山萬戶)가 수호(守護)하게 할 것.

1. 목사와 절제사는 각각 군사(軍士)를 거느리고 친히 이르러 밤이면 농인(農人)을 거두어 입보(入保)하게 하며 날이 샐 무렵에는 멀리까지 척후(斥候)하고, 해가 돋은 뒤에는 헤아려서 군사를 내어 요해처(要害處)에 분거(分據)하게 하고, 다음에 농인을 내어 농사 짓는 데에 나아가게 하였다가 날이 저물면 도로 입보하게 하며, 군사를 엄히 하여 자수(自守)하게 할 것.

, 申胡水勿設木柵, 漸次耕作, 毋得一時盡墾, 牧使節制使, 各率軍士親到, 夜則歛農人入保, 天明時遠斥候, 日出後量出軍士, 分據要害, 次出農人赴耕, 日暮還入保, 嚴兵自守。】

 

신증동국여지승람53/ 평안도(平安道) 의주목(義州牧)

신증동국여지승람 의주목 편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신호수동(申胡水洞)은 압록강 밖의 땅에 속한다.】 【老土洞以下竝係鴨綠江外之地甘昌洞孫梁洞申胡水洞

 

정조실록12, 정조 51217乙酉 1번째기사 1781

()의 북쪽에 옥강진(玉江鎭)이 있고 진의 북쪽은 곧 저들의 지역인 신후수(申猴水)입니다. 적이 신후수를 따라 나와서 압록강을 건너면 4, 50리를 지나서야 길이 성현령(城峴嶺)을 넘게 되어 있습니다.

府之北, 有玉江鎭, 而鎭之北, 卽彼地之申猴水也賊從申猴水, 而出來渡江, 則四五十里, 而路踰城峴嶺也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418
2746 [한국사] 자신을 고조선의 후예로 인식한 거란인들의 사서 거… 일서박사 02-28 1280
2745 [기타] 도종환 의원을 환빠로 모는 자들이 적폐세력입니다. (3) 바람따라0 06-07 1280
2744 [한국사] 임진왜란의 엄청난 은인이였던, 조선덕후 명나라 황… (23) 예왕지인 11-07 1280
2743 [한국사] 제3차 여몽동맹(한몽동맹) 진행중 ㄷㄷㄷ 금성신라 09-18 1280
2742 [기타] 우리가 알고있던 고려영토는 가짜 관심병자 11-26 1280
2741 [일본] [영상]수업으로 배우는 위안부 아픔의 역사 / YTN doysglmetp 07-17 1279
2740 [기타] 4천년전 에스키모의 게놈분석 (2) 하플로그룹 08-15 1279
2739 [기타] 만주에 대한 아쉬움을 만든것은 누구 때문인가? (25) history2 04-01 1279
2738 [한국사] 시대별 동일지명 기술의 차가 발생하는 이유 (7) 감방친구 04-24 1279
2737 [한국사]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니라는 수십 가지의 증거들 스리랑 02-19 1279
2736 [중국] 여진족도 한민족 만법귀일 10-04 1279
2735 [북한] 해방 전 김일성의 33년 삶 추적 <김일성 1912~1945> (4) 사랑하며 11-05 1279
2734 [한국사] 고구려의 금관 발견기 1 히스토리2 05-04 1278
2733 [한국사] 2장) 사대를 한 경우보다 받은 경우가 더 많다. 中 해달 01-30 1277
2732 [기타] 다시 시작되는 고대사 논쟁 관전법 (2) 두부국 03-21 1277
2731 [북한] 김일성은 '가짜'도, '원흉'도 아니다.? (2) 돌통 06-22 1277
2730 [한국사] [조선비즈] 뉴스 '시인 윤동주는 중국인?..서경덕… (2) 수구리 01-01 1277
2729 [한국사] 위만정권ㅡ한 전쟁 당시 발해의 위치 (3) 하이시윤 03-14 1277
2728 [한국사] [ 고조선제국(古朝鮮) ] 화북, 산동, 양쯔강까지 지배… (1) 아비바스 10-03 1277
2727 [북한] 중국 모택동과 소련 스탈린의 학살 규모 [ (4) 돌통 12-08 1276
2726 [한국사] r김해김씨와 허씨는 인도 아유타국 출신인가 배달국 … (1) 일서박사 02-20 1275
2725 [중국] 염제와 황제의 자손(炎黃子孫) 중국은 소설을 너무 … 태호복희씨 09-05 1275
2724 [기타] 독도 분쟁 음모론 (12) 관심병자 06-03 1275
2723 [한국사] 메뚜기 재난으로 보는 삼국의 위치 (4) 도배시러 02-06 1275
2722 [일본] 동조 (6) history2 02-23 1275
2721 [한국사] [영상] 복기대교수가 임둔태수장 관련 논문을 쓴 이… (1) 하이시윤 03-04 1275
2720 [한국사] 조선 번화가와 일본 번화가의 문화차이.JPG (18) 진주만 02-28 1274
 <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