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11-05 19:59
[한국사] 호복(胡服)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마세요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281  

이 용어가 나올 때 됐는데 하고 있었는데
아니나 다를까
어김 없이 나오는군요

중국(지역적 개념)에서 북방 제민족의 복식을 비하하여
칭한 것이 이른 바 胡服입니다

그리고 우리 의복사학계에서도
사대주의, 중국중심주의적 세계관을 벗지 못 하고
우리 민족의 복식을 범주한 게 胡服이고요

우리가 오랑캐입니까?

엄밀히 써야지요
그냥 胡服 할 것이 아니라
"고대 중국에서 胡服이라 칭한"이라고 두서를 달아야죠

중국의 본래 복식은
동남아 및 일본의 전통복식과 마찬가지로
남자도 치마를 입거나
여미는 원피스 형태의 복식이었습니다

인류사적으로 보면
치마나 원피스 형태의 옷을 입는 지역이 훨씬 광범위했습니다

그리고
한나라 때의 혈통적 족속도
본래 중국 중심지의 족속이 아니라
초, 오, 월 지방의 이른 바 남만이
한나라 건국에 대거 용병으로서 참여하면서
뒤섞이며 물갈이 됐습니다

그리고 그 이전의 이른 바 고중국인은
지금의 중국인과 많이 다른데
이들은 고아시아 족속으로서
유전적 특화가 흉노나 고조선 계통의 족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된 인족입니다

요서와 만주(연해주), 한반도의 인족적 특질은
이미 BC 4천 년 경부터 나타납니다

# BC7세기 전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ymiky 20-11-05 20:04
   
어쨎든ㅡ 한복이랑 한푸는 (근본)이 다르다는 말씀!
섬나라호빗 20-11-05 20:06
   
역시 잘 아십니다. 중국넘들 것은 원피스가 기본이죠. 우리는 투피스.

저도 오랑캐 호가 들어가면 싫어했는데, 요즘 아주 타문화를 자기것으로 만들려고 안달난 거 보면

호자가 아주 나쁘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어쨌든 그건 구별을 뜻하니깐요.
윈도우폰 20-11-05 20:30
   
중국 옷이나 왜의 옷은 재단 개념이 없이 천을 잘라서 봉제한 것임
그에 반해 한복은 입체재단까지는 아니지만 재단개념이 들어간다는 점에서 중공이나 왜 등 이웃 나라와는 차이가 큼

재단개념이 없다 보니 그냥 염색이나 자수 등으로 화려하게 표현하는게 다인 것이 기모노나 중국 옷인데...이들 복식은 아무리 멋있게 보여도 의상학적으로 낮은 수준의 옷임...

그 이유는 무엇보다 피팅이 잘 안 된 옷이라는 점... 그나마 청나라 들어서 북방복식의 영향을 받아 나름 제대로 된 재단개념이 접목된 옷이 생긴 것임...뭐...치파오라는 것을 보면 피팅감이 엄첨 뛰어난데...베트남 아오자이랑 함께근19세기 중엽 이후 서구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변형된 전통복식이기 때문임

재단이 개념이 약한 옷들은 염색과 자수를 포함한 장식적인 부분으로 치장하는데...그러다 보니 몇 미터 떨어져서 보면 화려함...하지만 옷감이 안 좋거나 염색 수준이 떨어지면...왜의 목욕가운(오후로)과 같은 옷이 되버림...그런게 왜의 대표적인 복식이고...지금 일반화된 화려한 기모노는 게이샤 옷일 뿐임

같은 패턴으로 대량생산하기 위해서는  현대의 복식처럼 같은 패턴을 만들거나(marking) 사이즈별 grading을 할 수 있도록 소위 입체재단으로 가야하는데...동양3국 그 어디도 여기 수준까지는 못감....그 나마 우리 한복의 평면재단은 왜의 복식이나 짱개 복식과는 같이 비교할 급이 아님.

한 복은 grading으로 여러 사이즈를 같은 패턴으로 만드는 현대식 입체재단까지는 못 갔지만 동아시아 복식 중 거의 유일하게 평면재단을 적용하여 맵시를 잡았다는 점에서 중국이나 왜와는 비교하기 어려운 것임.

고구려나 백제의 의복을 보면 하프코트 같이 긴 겉옷이 바로 평면재단을 적용한 옷의 특징... 반면 중공인들이 되살리고 싶어하는 한푸라는 것은 각 부위에 적합하게 재단하는 부분이 최소화되어 있음...전체적으로 보면 그냥 잘라서 바느질한 단순 봉제 수준

중국의 한푸랍시고 올라오는 사진 중 선녀옷 같다고 좋게 얘기되는 것들 보면 재단적 요소 때문에 예쁜게 아나라  플라넬과 같은 소재를 통해 하늘하늘 거리게 해서 그런건데...일반적인 면포나 비단으로 그런 느낌을 못냄

재단개념이 없다 보니 그냥 염색이나 자수로 화려하게 표현하는게 기모노나 중국 옷은 고대 희랍이나 로마시대
튜닉과 마찬가지로 원시적인 옷에 불과함...의상학적으로 보면^^
     
감방친구 20-11-05 20:36
   
한복이 입체적이라고 하신 것은 아주 탁견이십니다

예전에 (아마도 이어령 선생) 누군가 저명한 사람이
한복을 평면의 미학이라고 평했는데
어린 시절 그걸 읽고 동의하기 어려웠습니다

저고리의 여밈도
우리와 쭝궈는 여밈의 정도가 대대로 분명히 있었습니다
쭝궈는 상체를 휘감는 방식으로 여몄죠

이런 걸 구분하지 못 하고 한복 디자이너들이
자꾸 중국식 미감으로 우리옷을 디자인해냅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626
2692 [기타] 독도 분쟁 음모론 (12) 관심병자 06-03 1278
2691 [한국사] 지금까지 유물조작있던거 다 사실인줄 알았는데 (4) Marauder 06-14 1278
2690 [한국사] 영류왕 고건무를 위한 변명 2) (1) history2 03-15 1278
2689 [기타] 한국의 전통민요를 연상케 하는 인도 전통 노래 공… (7) 조지아나 03-14 1278
2688 [한국사] 비극을 불러온 세종대왕의 가장 큰 실수 폭커 10-03 1278
2687 [기타] 다시 시작되는 고대사 논쟁 관전법 (2) 두부국 03-21 1277
2686 [중국] 염제와 황제의 자손(炎黃子孫) 중국은 소설을 너무 … 태호복희씨 09-05 1277
2685 [한국사] '우리 역사 해석의 문제라고 한다면'을 읽고 (12) 감방친구 11-28 1277
2684 [한국사] 메뚜기 재난으로 보는 삼국의 위치 (4) 도배시러 02-06 1277
2683 [한국사] 캐쉰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 (18) 감방친구 05-17 1277
2682 [중국] 제국의 상점 -13행의 성립과 발전 (2) 히스토리2 05-25 1277
2681 [한국사] 이승만과 박정희 (1) 감방친구 08-16 1277
2680 [한국사] 임진왜란 총 정리. 1~18편 (1) 밑져야본전 11-22 1277
2679 [한국사] 강단 친일파들의 딜레마 (6) 징기스 06-12 1276
2678 [기타] 도와주세요!! (1) 새벽감성 06-28 1276
2677 [기타] [무니티비] 고구려어 신라어 타밀어 언어비교(2003… (1) 조지아나 03-15 1276
2676 [기타] 진국왕-징기칸-징기즈칸으로 (1) 관심병자 10-10 1276
2675 [한국사] 역사교과서 국정화 관련해서 한마디 해 봅니다. (3) 칼리 11-04 1275
2674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문제점 (3) 스리랑 02-26 1275
2673 [한국사] 강단 사학과 재야 사학 둘다 별로... (4) 배스킬러 04-28 1275
2672 [기타] 역사학 53개 학회 "역사학계 블랙리스트 진상 규명돼… (7) 인류제국 11-10 1275
2671 [북한] (제 1편) 대한제국의 일본육사 출신 김경천 (김현충=… 돌통 08-15 1275
2670 [북한] 김정은이 받은 선물 목록을 보니...금술잔,비단,낙타… (1) 돌통 05-14 1275
2669 [한국사] 요동에서 철령까지 70참은 무엇인가? (3부) , (8) 보리스진 09-14 1275
2668 [한국사] 영류왕 고건무를 위한 변명 1) history2 03-15 1274
2667 [기타] 가쓰라-테프트 밀약2 (조선과 필리핀은 교환가능한 … (8) history2 03-27 1274
2666 [기타] 기묘한 토종 괴물과 더 기묘한 조상님들의 생각들 관심병자 06-17 1274
 <  641  642  643  644  645  646  647  648  649  6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