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9-02-01 15:42
[한국사] 전통 놀이-강강술래
 글쓴이 : BTSv
조회 : 1,148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f/fc/Ganggangsullae_jindo.jpg

국가무형문화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강강술래

대한민국의 남서부 지역에서 널리 행해지는 ‘강강술래’는 풍작과 풍요를 기원하는 풍속의 하나로, 주로 음력 8월 한가위에 연행된다. 밝은 보름달이 뜬 밤에 수십 명의 마을 처녀들이 모여서 손을 맞잡아 둥그렇게 원을 만들어 돌며, 한 사람이 ‘강강술래’의 앞부분을 선창(先唱)하면 뒷소리를 하는 여러 사람이 이어받아 노래를 부른다. 이러한 놀이는 밤새도록 춤을 추며 계속되며 원무를 도는 도중에 민속놀이를 곁들인다. 

이 민속놀이는 강강술래 노래를 부르다가 기와 밟기, 덕석몰이, 쥐잡기놀이, 청어 엮기 등 농촌이나 어촌 생활을 장난스럽게 묘사한 놀이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강강술래 춤의 이름은 노래의 후렴구에서 따왔지만, 그 정확한 뜻은 알려져 있지 않다. 옛날에 한가위를 제외하고는 농촌의 젊은 여성들이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거나 밤에 외출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는데 이 놀이를 통해 잠깐이나마 해방감을 느끼며 즐길 수 있었다고 한다. 이 풍속은 오늘날 대체로 도시의 중년 여성들에 의해 유지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음악 시간에 어린이들이 부분적으로 익히고 있다.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6/6d/Hangunhyeon_Early_CE_3rd_Century.png
강강술래의 원형은 고대 중국의 문헌에 의하면 약 2,000년 전에 존재했던 마한의 농촌 풍습에서 발견된다. 인류 역사상 무형의 문화유산이 이처럼 오래 전해지는 경우는 흔치 않다. 강강술래가 이처럼 오래 전해진 것은 사회와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기대가 그처럼 오래 지속되었음을 의미한다.

강강술래는 또 역사적인 기능을 하기도 했다. 1592년 이순신 장군은 여자들에게 밤에 모닥불을 가운데 두고 강강술래를 하도록 했다고 한다. 멀리서 보았을 때 깜박거리는 그림자 때문에 일본의 왜군은 이순신 장군의 병력을 과대평가했고, 결국 아군이 승리하게 해주었다. 그리고 가사를 귀 기울여 들어보면 거기에는 사회를 비판하는 내용이 들어 있음을 알아차릴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때 쓰인 가사에는 일제에 대한 한국인의 저항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출처:유네스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565 [한국사] 아해 아지 아기에 담긴 삼국 언어 (4) 열공화이팅 02-18 2092
3564 [한국사] 백제 가면 (1) 쿤신햄돌 02-14 3956
3563 [한국사] 어이진(禦夷鎮)과 곡염수(斛鹽戍) 감방친구 02-14 1785
3562 [한국사] [악학궤범]처용무 (2) BTSv 02-13 1669
3561 [한국사] 송형령(松陘嶺)과 영주(營州) 추적 지도 붙임 감방친구 02-12 2413
3560 [한국사] 해(奚)의 북산(北山) 위치 감방친구 02-12 1388
3559 [한국사] 뮤지컬 '영웅' - 단지동맹, 영웅, 누가 죄인인… BTSv 02-11 876
3558 [한국사] 해(奚)의 서산(西山) 위치 감방친구 02-11 1524
3557 [한국사] 527년, 두락주(杜洛周)와 송형(松硎) 감방친구 02-11 1621
3556 [한국사] 염산(炭山)과 형두(陘頭), 그리고 난하(灤河) 감방친구 02-11 1976
3555 [한국사] 무경총요의 송형령(松陘嶺) 감방친구 02-11 1858
3554 [한국사] 일제시대 때 쌀밥 먹는 게 금수저였나요? (11) 아스카라스 02-10 2261
3553 [한국사] 송형령(松陘嶺)과 영주(營州) ㅡ 02 군사활동과 해(고… (1) 감방친구 02-10 1945
3552 [한국사] [단독]일본 기쿠치성에서 발견된 백제불상과 백제성… Attender 02-09 2484
3551 [한국사] 송형령(松陘嶺)과 영주(營州) ㅡ 01 도입 감방친구 02-09 1632
3550 [한국사] [네이버 뉴스논평에서 펌]고구려의 영역은 어디까지… (3) Attender 02-07 1873
3549 [한국사] 조선시대 패션리더의 필수 아이템, 장신구 (1) BTSv 02-06 2475
3548 [한국사] 고대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중국 은나라에서 왔다 (펌 (5) Korisent 02-06 3393
3547 [한국사] 『청구영언(1728)』 BTSv 02-04 1165
3546 [한국사] 전통 놀이-강강술래 BTSv 02-01 1149
3545 [한국사] 전통무-검무(칼춤) (2) BTSv 02-01 1573
3544 [한국사] 뮤지컬 '명성황후' (2) BTSv 02-01 1266
3543 [한국사] 1900년 조선 영상 (2) BTSv 01-31 2205
3542 [한국사] 완주 상림리 유적으로 본 동아시아 동검문화 뉴딩턴 01-31 1352
3541 [한국사] 염수(鹽水)와 염난수(鹽難水) 추적 3부 (10) 감방친구 01-30 2419
3540 [한국사] 백제은 중국 남조국가 진나라 양나라까지 어떤 물건… (14) 뉴딩턴 01-30 2225
3539 [한국사] 고구려와 선비족랑 어떤 관계인가요? (1) 뉴딩턴 01-28 2189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