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9-23 21:49
[기타] 낙랑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126  


한서()》 지리지()에는 "은나라가 쇠하매 기자가 조선에 가서 예의()와 전잠()과 직조()를 가르쳐 주었더니, 낙랑조선민() 사회에는 팔조금법()란 법금()이 행하여졌다"고 기록 되어 있다.



고구려에서는 매년 봄 3월 3일마다 낙랑(樂浪)의 언덕에 모여 사냥을 하였는데, 잡은 돼지와 사슴으로 하늘과 산천(山川)에 제사를 지냈다. 그 날이 되자 왕이 사냥을 나갔고, 여러 신료와 5부(五部)의 병사가 모두 [왕을] 따랐다. 이때 온달(溫達)도 그 동안 기른 말을 가지고 따라갔다.

高句麗常以春三月三日, 㑹獵樂浪之丘, 以所獲猪鹿, 祭天及山川神. 至其日, 王出獵, 群臣及五部兵士皆從. 於是, 溫達以所養之馬, 隨行.

-『삼국사기(三國史記)』「온달열전(溫達列傳)」



낙랑왕 최리()의 딸이다. 서기32년 옥저로 놀이를 왔다가 최리를 따라 낙랑에 온 고구려 호동왕자()와 혼인하였다.



태조의 맏딸이며, 고려에 항복한 신라 경순왕의 처이다. 일명 신란궁부인()이라고도 하며, 혼인 전에는 안정숙의공주()라 불렸다.

어머니는 충주지방의 호족 긍달()의 딸인 신명태후 유씨()이다. 『삼국사기』와 『고려사』에 의하면 935년(태조 18) 11월에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 김부()가 백관을 이끌고 고려에 항복하자, 태조는 자신의 맏딸인 낙랑공주를 경순왕의 아내로 삼게 했다고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낙랑공주 [樂浪公主]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낙랑이라고 적힌 물건이 발견된다고 그게 한나라 낙랑군의 증거가 되진 않습니다.

낙랑이란 단어, 지명등은 고조선 시대때부터 조상들이 자주 써왔던 지명이라 추정할수 있습니다.

고구려에서 매년 왕이 낙랑에서 사냥대회를 열고, 제사를 지냈다는 기록으로 봐서 고구려때 낙랑은 고구려안에 포함된 지명이었다고 생각해볼수 있습니다.

호동왕자 이야기의 낙랑공주가 낙랑태수의 딸이라는 말도 있지만 태수의 딸을 공주라고 칭하지 않는게 상식입니다.

도지사나 시장 부인을 영부인이라 하지 않는것과 같은이치죠.

그외에 고려에서 공신에게 내린 칭호에서도 낙랑공이란 호칭이 발견됩니다.

이는 낙랑이란 단어를 무조건 한나라 식민지와 연관지으려 했던 일제사학자들의 학설이 잘못되었다게 되는거죠.

한국 주류사학의 기초를 마련한 일본사학자들이 그리 대단한 학자들이 아닙니다.

일제시대 당시 사학자들중에 일본군부의 맘에 드는 주장을 하던 사학자들을 뽑아 조선에 보내 조선사를 연구하도록 지원해준겁니다.

왜 일제시대때 일본정부가 한국 고대사를 연구하라고 일본학자들을 지원했을까요?

'일본최고'가 기반에 깔린 일본사람들이 원활한 식민통치를 위해 한국사의 기초를 마련해냈으니 그게 제대로된 연구일까요?

사서와도 맞지않는 일제시대 국가에 고용된 일본인 학자들의 연구내용을 계승시켜 나가고 있는게 현재 한국 주류사학의 현실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배시러 17-09-23 22:33
   
위만조선, 기자조선의 당대 명칭은 낙랑조선이죠.
꼬마러브 17-09-23 22:40
   
북한 학계에서는 낙랑국의 존재를 인정하지만 .. 한국 고대 주류 사학계에서는 아예 부정하거나 함흥 지역에 있었던 소국이라고 하지요. 뭐.. 둘 다 말이 안 되는 것은 매한가지입니다.
징기스 17-09-24 08:23
   
저는 개인적으로 저 지역을 굳이 '낙랑국'이라고 못을 박는건 반대입니다.
자칫하다가는 동북공정에 또다른 빌미를 제공하는 꼴이 될까 걱정되더라구요.
한사군이 아닌건 확실하지만
흉노의 좌현왕 우현왕 체제처럼 고조선의 또다른 한 축 삼한의 일부라고도 볼 수 있지 않을까요?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258
1936 [한국사] 거리 감각에 대한 접근 (1) 감방친구 01-11 1135
1935 [기타] 지금 부활하면 개이득인 조선시대 꿀복지 TOP4 관심병자 12-04 1135
1934 [한국사] 1500명 vs 2000명 이치전투 (2) 레스토랑스 11-10 1134
1933 [한국사] 한(漢)나라는 황하 주변의 크지 않은 나라였다(하북… 수구리 12-10 1134
1932 [한국사] [ KBS 다큐 ] - 제 5 의 문명, 요하문명(遼河文明) (1) 아비바스 10-08 1134
1931 [한국사] 가생이 회원분들, 발해역사에 관해 질문드립니다 (9) Attender 03-31 1133
1930 [한국사] 경제성장이 박정희의 공로? 위험한 착각입니다 (1) mymiky 01-04 1133
1929 [한국사] 동아게의 현실과 Marauder님의 논의에 대해서 (4) 감방친구 09-11 1133
1928 [한국사] 러시아 극동 캄차가반도 관한 영상인데. (6) 예왕지인 09-25 1133
1927 [한국사] 예전부터 궁금했던게 몽골이랑 동북아 지방 칠해놓… (1) Marauder 10-12 1133
1926 [기타] 흑요석님 (10) 하플로그룹 08-15 1132
1925 [한국사] 이참에 학계 요구대로 사상검증 제대로 해야 될듯 (11) 목련존자 06-07 1132
1924 [기타] 형혹수심, 도절의 망명 (1) 관심병자 09-07 1132
1923 [한국사] 사서 비교보다 역사관 정립이 중요한가? (6) 감방친구 11-29 1132
1922 [한국사] 늘 반복되는 일 (5) 감방친구 02-11 1132
1921 [한국사] 살수와 평양에 대한 북한측 입장(살수:초자하, 북평… (9) history2 03-11 1132
1920 [중국] 원말~ 명초 고려양 한푸 (1) mymiky 11-06 1132
1919 [세계사] 고려와 몽고의 강화협정이 남송정벌의 도화선? (1) 국산아몬드 02-16 1132
1918 [한국사] 연하도 문화(하북성 보정시)와 동대장자 유형 문화(… (37) 수구리 07-21 1132
1917 [한국사] 시진핑 망언은 왜 나왔나? (6) 마누시아 06-12 1131
1916 [한국사] [블로그]임둔태수장 관련 블로그소개 (2) 하이시윤 03-04 1131
1915 [한국사] 조선시대 맛 칼럼니스트 설민석 05-26 1130
1914 [한국사] 저도 환빠는 정말 싫지만 기존 사학계도 편견 선입견… (4) 잠깐만요 02-14 1130
1913 [일본] 蘇我가문과 木滿致, 蘇我滿知 (2) (1) history2 03-19 1130
1912 [중국] 쑨원에게 도전한 광동상단의 단장, 첸렌보 4 히스토리2 06-03 1130
1911 [한국사] 삼족오의 어원 고구려와 연관성 (4) 보리스진 01-16 1130
1910 [기타] 땜남님의 글을에 대해서... (4) 철부지 06-04 1128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