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6-08-23 20:33
[한국사] 조선과 중국의 관계! 조선은 중국의 종속국
 글쓴이 : 핑골
조회 : 1,105  


태종 때, 그러니깐 명나라가 한창 원나라를 만리장성 이북으로 쫓아보낸 영락제 때는 조선에 대한 무리한 요구가 이어지자 조선에서 사신을 보내 사소한 트집도 잡을 수 없게 최대한 예의를 갖추면서도 할말은 다해가며 읍소를 가장한 항의를 했고, 세종 때에는 명나라 사신 해수가 인삼값 때문에 시비가 붙고 여기에 개입하려는 우리 조선의 지역관리를 때리자 세종이 열받아서 명나라에 문책사를 보내려다가 신하들이 뜯어말려서 관두기도 하고, 명나라 사신 윤봉이 귀하디 귀한 해동청을 달라고 끈덕지게 요구할 때는 거절하다가도 가죽이나 놋쇠주전자 같은 걸 달라고 할 때는 챙겨서 주기도 하는 등 그때 그때 사신들의 요구와 상황을 봐가며 대처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 세워진 대국의 수탈은 병자호란 이후에도 되풀이 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조선이 청나라에 패한 직후에는 청으로부터 심하게 부담스러울 정도의 물품을 요구받았다. 추세를 보면 명, 청 모두 건국 초기 조선을 경계하던 시절에는 조선으로부터 많은 물품을 짜내려 했고 조선이 완전히 자신들의 질서에 편입되었다고 판단한 후에는 조선과의 관계를 관리하는 측면에서 조공의 내용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패턴이었다.
다만 임진왜란 직후에는 조공이 아니라 사신으로 온 명나라 환관들의 조선에 대한 '개인적인' 착취가 극에 달하는데, 이때는 명나라가 조선을 구해 준 '재조지은'의 은혜에다 임금인 광해군 개인의 정통성에 대한 약점 때문에 환관들의 갈취에 손을 쓸 수가 없었다. 게다가 환관들의 탐욕과 횡포는 명나라 본국에서도 손을 쓰지 못하는 판이니. 이것은 '조공'이 아니라 사신 개인의 갈취이니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다.
조선과 중국의 조공관계를 보여주는 기록
황엄이 군마 1만 필을 요구한 태종 9년에도 그런 일이 있었다. 이때에 최종적으로 선발된 사람은 정씨라는 처녀였다. 그는 11월 13일 태평관을 떠나는 황엄을 따라 명나라로 갔다. 그런데 황엄의 눈에는 그의 외모가 만족스럽지 않았던 모양이다.

“정씨의 외모가 별로니까, 다른 사람을 구해 두어야 합니다.”

태종 이방원에게 하는 당부였다. 이번에는 이렇게 돌아가지만, 다음에는 제대로 하라는 압박이었다. 그러자 이방원 왈(曰):

“나라가 작고 힘이 약해 군마를 겨우 1만 필 밖에 못 드리지만, 미인들이야 어찌 다시 구할 수 없겠습니까?”
다시 처녀 선발 이야기로 돌아간다. 위의 정씨 처녀 ‘조공’이 있기 1년 전인 태종 8년(1408) 7월 2일에는 좀 더 황당하고도 서글픈 장면이 있었다. <태종실록>에 따르면, 이 날 경복궁에서 황엄이 의정부 관헌들과 함께 조선 처녀들의 외모를 심사하고 있었다. 그런데 황엄의 마음에 드는 여자가 없었던 모양이다. 화가 난 황엄이 경상도 경차내관 박유를 포박하고는 호통을 쳐댄다
“경상도에 이렇게 미인이 없더냐? 네가 혹시 딴 맘을 먹고 이런 여자들만 데려온 게 아니냐?”

금방이라도 박유에게 곤장을 칠 것 같던 황엄은 갑작스레 마음을 바꿔 곤장을 거두더니, 이번에는 조선 정승에게 한바탕 망신을 주고는 태평관으로 돌아가 버린다.

황엄의 돌발 행동에 당황한 국왕 이방원은 사태를 무마하기 위해 지신사(지금의 대통령비서실장) 황희를 급파한다. 이방원이 황희를 통해 전달한 말은 다음과 같다.

“그 아이들이 부모 곁을 떠날 생각에 밥을 제대로 먹지 못해 수척해진 탓이오. 중국제 화장품을 바르게 한 뒤에 다시 한 번 보십시오.”

중국제 화장품을 발라 보면 좀 더 예쁘게 보일 것이니, 너무 노여워말라는 말이었다.

“좋습니다.”

마음을 돌린 황엄은 다시 처녀 선발에 나섰다. 11월 12일 명나라로 돌아가기 전까지 황엄은 300명의 조선 처녀들을 1차로 선발한 뒤에 5명의 여자를 최종적으로 선발했다.

그 과정에서 태종 이방원은 별다른 이의 제기 없이 황엄의 ‘미스 조선 선발’을 지원하고 있었다. 심지어 그는 ‘심사위원’ 황엄을 따라다니면서 이런 저런 조언을 하기도 했다.

한번은 이런 일도 있었다. 황엄과 함께 처녀들을 심사하고 나서 그를 돌려보낸 뒤였다. 황엄이 여자를 제대로 볼 줄 모른다면서 이방원은 이렇게 말했다.

“황엄이 매긴 등수는 틀렸어. 임씨 처녀는 꼭 부처님 같이 생겨서 애교가 없잖아. 또 여씨 처녀는 입술이 넓고 이마가 좁으니, 그게 무슨 미인이야?”
위 기록을 볼수 있듯이 조선같은 경우는 중국의 사신이 조공으로 바친 공녀를 마음에 안든다고 마음대로 바꿀정도 조선은 사실상 중국의 속국과 같은 관계였음.
그리고 광해군 시절같은 경우는 광해군이 개인의 정통성을 문제받아 중국의 사신들이 칙서로 와서 마음대로 조선의 물건들을 뇌물로 수탈해 갔는데도 그때당시 조선은 중국한테 아무런 항의도 못했음.
그리고 임진왜란 당시에는 군사지희권과 외교권도 전부다 중국이 가지고 있어서 그때당시 병마절도사인 박홍이 중국의 하급관리한테 맞아 죽었는데도 조선은 중국한테 아무런 항의도 일절 못했음.
그뿐만 아니라 병자호란이 끝나고 청나라의 황제가 조선한테 명나라를 치기위해 군사파병을 요구했고 그때당시 조선같은 경우는 명나라를 배신할수 없었기 때문에 반대했지만 청나라의 강압적인 요구에 의해서 억지로 군사를 청나라에 파병할수 밖에 없었고 그때당시 조선은 자신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자신들이 참전하기도 싫은 전쟁에 군사를 파병하면서 청나라가 하라는 대로 따를수밖에없었음
또한 인조시절에는 중국의 장수 모문룡이 마음대로 조선의 영토인 가도를 점령했고 그때당시 조선왕 인조가 가도에 있는 모문룡한테 바쳤는 쌀이 조선전체 쌀생산량에 무려 3분에 1에 달했고 또한 가도에 있는 모문룡이 조선왕 인조가 더이상 쌀을 바치지 않자 조선의 영토를 침략해 조선인 1만명을 살해했는데도 그때당시 조선은 자국의 백성들이 도륙당했는데도 중국한테 아무런 항의도 못함.
자국의 영토가 중국군한테 자신의 영토가 점령당하고 자국의 백성들이 중국군한테 도육당했는데도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 중국한테 아무런 항의도 못했는 중국의 종주국 조선.
이처럼 조선과 중국의 관계는 그야말로 종주국(중국)과 종속국(조선)의 관계였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141
1905 [한국사] 1차 평양성 전투 (1) 레스토랑스 11-09 1112
1904 [한국사] 알영(閼英)부인은 마고할매인가? (1) 보리스진 07-19 1112
1903 [기타]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환빠식민빠 01-03 1111
1902 [기타] 청나라의 치욕적인 패배 - 호톤노르 전투 (1) 응룡 04-14 1111
1901 [한국사] 경제성장이 박정희의 공로? 위험한 착각입니다 (1) mymiky 01-04 1111
1900 [한국사] 왜 개신교인이 개신교계의 친일행적을 비난하나? 꼬꼼둥 03-24 1110
1899 [한국사] 한국역사에서 가르쳐주지 않는 역사2 (4) history2 04-15 1110
1898 [중국] 만주 옷이 싫다고, 되려 몽골과 고려 옷으로 회귀중… mymiky 11-08 1110
1897 [한국사] 늘 반복되는 일 (5) 감방친구 02-11 1109
1896 [한국사] 辰에 대한 자연적인 추론 (4) Player 07-02 1109
1895 [한국사] 한(漢)나라는 황하 주변의 크지 않은 나라였다(하북… 수구리 12-10 1109
1894 [기타] [인도] 타밀 도부호 100개 site 모두 디지탈 DB 추진-심… 조지아나 07-12 1109
1893 [중국] 국제결혼 감소 추세 (6) 투후 07-11 1108
1892 [기타] 고조선땅 남한 제외… 식민사학, 한사군 한반도설 짜… 관심병자 06-10 1108
1891 [세계사] 초기 기독교와 이집트 종교에 관한 자료 옐로우황 07-15 1108
1890 [한국사] 교토대 교수 "일왕은 백제계" (3) 가난한서민 02-22 1108
1889 [일본] 蘇我가문과 木滿致, 蘇我滿知 (2) (1) history2 03-19 1108
1888 [한국사] 가탐도리기의 진왕석교는 현 잉커우 다스차오 (12) 감방친구 03-29 1108
1887 [한국사] 백제 건국 과정의 재구성 2 (3) 지수신 07-14 1108
1886 [한국사] 낙랑군이 313년에 멸망했다는 근거가 뭐죠? (10) 징기스 07-29 1107
1885 [한국사] 구루메(久留米)는 압록강(鴨淥江)과 어원이 같다. (3) 보리스진 12-27 1107
1884 [한국사] 왜계백제관료 인명 (3) 호랭이해 07-17 1107
1883 [중국] 추모곡 (3) 위구르 09-21 1107
1882 [일본] 그냥 잡설입니다. 환빠식민빠 09-30 1106
1881 [한국사] 조선과 중국의 관계! 조선은 중국의 종속국 핑골 08-23 1106
1880 [한국사] 중국은 동북공정 절대 포기하지 않는다 징기스 08-26 1106
1879 [한국사] 정안국과 올야국의 상관성과 위치 비정 (1) 고이왕 09-12 1106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