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9-08-16 16:25
[북한] 김일성의 어렸을때 삶은.!!
 글쓴이 : 돌통
조회 : 1,101  

독립운동가 오동진이 의술을 자습하도록 ‘의종 금감’의학도서책도 주고 자금 도와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가짜 졸업증과 김형직


김일성의 아버지 김형직과 어머니 강반석이 미국 선교사였던 넬슨 벨의 중매로 결혼, 김일성이 세상에 태어난 이야기와 강신희였던 김일성의 어머니의 이름이 강반석으로 개명하게 됐다.

 

그리고 김일성이 어린 시절부터 어머니의 손에 이끌려 교회에 열심히 다니면서 찬송가를 불렀다는 것은 김일성의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 소개되어 조금은 알려져 있다.

 


장일환의 심복…손정도 목사에 소개

 


김일성이 어린 시절에 만경대에서 다니던 교회는 지금 김일성군사종합대학이 위치한 곳에 있었던 송산교회당이었다.

 

김일성도 회고록 1권에서 당시 송산교회 김성호 담임목사에 대해 회고하였다. 그리고 송산교회에 다닐 때 교회에서 주는 사탕과 공책을 받았던 일들도 기억하고 있다고 증언했다.

 


김일성은 회고록에서 ‘일이 정 고달플 때면 어머니는 삼촌어머니와 함께 예배당으로 가곤하였다. 송산이라면 지금의 군사대학이 있는 곳 인데 거기에 장로교계통의 예배당이 하나 있었다.

 

남리와 그 주변에는 기독교를 믿는 신자들이 적지 않았다. 살아서 사람다운 생활을 못하니 예수의 가르침을 잘 따르다가 죽어서 천당에라도 가보자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없지 않았다’라고 기록했다.

 


재미교포 역사학자인 오순호가 쓴 ‘김일성 평전’에는 “강반석은 결혼 전 아버지 강돈욱의 영향으로 기독교인이 되었고, 결혼 뒤에는 독립운동에 나선 김형직의 아내가 되어 남편을 섬겼다.

 

그는 다른 여성들처럼 재봉도 하고, 달구지도 끌고 다니면서도 언제나 한 손에는 성경책을 들고 기도를 드리는 일을 잊어버리지 않았다”고 서술되어 있다.

 


김형직과 강반석의 결혼생활은 김일성이 7살 되던 1918년부터 자강도 중강(당시는 평안북도 중강진)을 거쳐 중국 임강, 팔도구 등으로 옮겨가면서 이어지게 된다. 강반석은 팔도구에 살면서도 압록강 건너의 양강도 후창군 읍에 있는 포평교회당에 김일성을 데리고 예배하러 다녔다.

 


김일성의 회고록을 보면 장일환이라는 이름이 언뜻 나온다. 김형직이 조선국민회를 설립할 때 함께 한 동지라고 소개되고 있다. 한마디로 말하면 김형직이 조직자이고 그는 김형직의 부하인 것처럼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또 한가지 설은?  사실은 장일환이 조선국민회를 조직하였고 김형직은 그의 심복이었다는 설이 있다.

 

김형직보다 8살이나 연상인데다가 숭실중학교 선배였던 장일환은 1913년에 안창호 선생의 도움으로 평양에 청산학교를 설립했다고 한다. 

 

1917년 3월 23일에 김형직은 강석봉, 서광조, 배민수, 백세빈, 이보식, 장일환 등 25명을 규합해 항일기독단체인 조선국민회를 결성하고 회장이 되었다. 한편 김형직을 손정도 목사에게 소개해 준 사람도 장일환이었다.

 


방 한 칸 내어 약방 겸 치료실로 꾸려

 


이를 통하여 조선국민회는 미국선교사들이 세운 숭실중학교 졸업생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기독교단체였고 설립자는 장일환,이나 김형직 이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장일환은 1918년 2월에 일제경찰에 체포되어 4월 9일에 고문으로 순국하였고 당시 가장 나이가 어렸던 김형직은 감옥에서 인차 석방되었다.

 

장일환이 사망되었다는 소식에 놀라서 또다시 체포되는 것이 두려워 중강진으로 가족을 데리고 피신했다. 장일환이 순국하기 전에 감옥에서 조선국민회 회원이었던 배민수에게 “나는 곧 죽게 될 거야.

 

주님의 곁에서 항상 널 위해 기도해 줄게. 값지게 죽는 것이 뜻 없이 사는 것보다 가치가 있을 거야. 네가 목숨을 잃지 않고도 자유를 찾을 수 있도록 주님께 기도하마”라는 말을 남겼다.

 


김일성과 북한당국이 손정도 목사에 대해 숨기지 않으면서도 손정도 목사를 비교적 비중있게 평가한다.

 

 
 


김형직은 중강진에 피신하였을 때에는 오동진의 도움을 받았다. 김일성은 자기의 '세기와 더불어' 회고록에 “오동진이 처음에는 마음씨 좋은 상인 아저씨로 알고 있었는데 훗날 무송에 가서야 그가 대단한 독립운동가라는 걸 알게 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아버지 김형직에 대한 오동진의 우애는 지극하였고 김일성의 집으로 찾아오는 독립운동가들의 식사를 오동진의 부인이 직접 할 정도로 매우 가까운 동지로 묘사했다.

 

김일성은 자신이 오동진을 이처럼 상세하게 소개하는 것은 김형직이 의원을 차리는데 필요한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 졸업증을 오동진이 돈을 주고 만들어 주었기 때문이다.

 

즉 가짜 졸업증을 사용했다 실제로 김일성의 자서전  '세기와 더불어' 회고록에도 그렇게 써져있다. 

 

그리고 김형직이 의술을 자습하도록 ‘의종 금감’이라는 의학도서책도 주었고 부족한 자금도 도와주었다고 한다.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는 1885년 미국 선교의사 알렌이 서울에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에서 시작되었다. 그 이듬해 16명의 학생으로 우리나라에 처음 세워진 의학전문학교이다.

 


1957년에 연희대학교와 통합하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발전하였다. 김일성도 회고록에서 “아버지는 방 한 칸을 내여 약방 겸 치료실로 꾸리고 바깥벽에 《순천의원》이라는 간판을 큼직하게 달아놓았다.

 

방안에는 가짜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졸업증도 하나 걸어놓았다. 아마 평양을 떠나기 전에 오동진 에게 부탁하여 얻은 졸업증이라고 생각된다”고 고백하였다.

 

 
 


김일성의 어머니인 강반석에게는 강진석, 강용석, 강창석 3명의 오빠가 있었다. 이 3명의 외삼촌 중에 김일성 회고록 ‘세기와 더불어’에는 큰 외삼촌인 강진석만 소개되고 있다.

 

회고록에는 그가 백산무사단원으로 군자금을 모금하다 일본 경찰에 붙잡혀 감옥생활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더 구체적인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김일성평전(Park정권의 압박에 의해 쓰여진 비교적 객관성이 떨어지는 책) 에는 강진석이 군자금을 마련한다며 부자들의 집을 습격하여 생긴 아편을 중강진에 살고 있던 매부인 김형직에게 주고 갔고, 김형직은 그때부터 아편장사를 시작하였다고 한다.


김일성의 외삼촌인 강진석이 1921년 4월에 평양에서 체포된 것은  사실이나, 김형직이 팔도구로 이사간 이유가 아편문제가 드러날 위험을 느끼고 이사했다는 설이 있었는데 나중에 사실이 아니라는것이 판명됐다. 

 

중강진에서 장백현 팔도구로 이사를 한 김형직은 이곳에서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졸업장을 내걸고 의원으로 정체를 숨겼다. 중강진에서는 교회에 다닐 수 없었던 강반석은 팔도구에 와서야 어느 정도 안착된 생활을 할 수 있었다.

 

당시 중국에는 일제의 영향이 덜 미쳤고 주변에 누구도 모르는 지역이다 보니 정체를 숨길 수 있었다.

강반석은 김일성을 데리고 자주 압록강을 건너 포평교회당에 다녔다.

 

 

북한에서 혁명역사시간에 강반석이 팔도구에서 포평으로 자주 김형직의 공작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드나들었다고 가르쳐 주고 있다. 

 

그리고 또 한가지설은  사실은 교회를 다니긴 했으나, 아편장사를 도와 압록강을 넘나들었다는 당시 증인들의 진술도 일부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나중에 거짓이었다고 고백되었고 판명되었다.


북한에는 강반석이 압록강을 넘나들 때 감시원들에게서 짐 수색을 당하는 미술작품이 있다. 북한당국이 강반석이 김형직의 혁명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연락쪽지를 나르던 장면을 형상화 하고 주장하지만

 

내 개인적인 생각은 혁명임무 라기 보다는 그냥 김형직 자기가 어느정도 여유가 있으니 자금을 어느정도 도와주는 정도로 생각하면 될것갔다.

 

김형직은 오동진의 도움으로 중강진에 이어 팔도구에도 의원을 차릴 수 있었고  의원직을 하면서 돈을 벌기 시작하여 큰돈을 모을 수 있었다. 1925년 당시 조사된 일본 관헌의 기록에는 김형직의 자산이 천원으로 기재되어있다.

 

당시로는 여러 채의 집을 살 수 있는 거액이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9907
1878 [한국사] 물속에..우리 역사가.. (2) 백전백패 03-27 1105
1877 [기타] [고대사tv] 스카타이 - 인도 석가족(사카족) - 신라왕… 조지아나 04-06 1105
1876 [기타] 한국 국가자부심 순위 22위 (2006년 주요국가 통계) (3) 투후 07-05 1104
1875 [한국사] 양평은 지금의 요양이 아니다 (31) 독산 03-10 1104
1874 [북한] 北북 최신 스마트폰 ‘평양 2426·2428’, 예멘 회사서 … 돌통 04-10 1104
1873 [한국사] 한일 고대사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밑져야본전 05-05 1104
1872 [중국] 추모곡 (3) 위구르 09-21 1104
1871 [한국사] 조선의 조공관계의 진실 (1) 핑골 08-23 1103
1870 [한국사] 사학과를 가야 하는가 (3) 감방친구 06-11 1103
1869 [한국사] 동아게의 현실과 Marauder님의 논의에 대해서 (4) 감방친구 09-11 1103
1868 [한국사] 연하도 문화(하북성 보정시)와 동대장자 유형 문화(… (37) 수구리 07-21 1103
1867 [한국사] 임나일본부설은 다 극복했다는 민족 반역자들의 숨… (32) 스리랑 07-29 1103
1866 [한국사] 명에 대한 종속도, 일제의 식민지 조선도 (2) Lopaet 11-02 1103
1865 [기타] 환빠의기준이 모임? (20) 스파게티 06-03 1102
1864 [세계사] 환단고기.일본서기.개독 성경. 중국사 (3) Korisent 04-03 1102
1863 [북한] 김일성의 어렸을때 삶은.!! 돌통 08-16 1102
1862 [한국사] Marauder 님 오랜만에 (4) eo987 04-20 1101
1861 [한국사] 신라의 진왕眞王과 문왕文王, 그리고 백왕白王 (4) 도배시러 02-10 1101
1860 [한국사] 삼국사기, 지진후 여진의 기록 도배시러 02-11 1101
1859 [한국사] 한국의 문루(서울, 수원, 개성, 평양, 의주,안주,영변 (2) 히스토리2 05-12 1101
1858 [기타] “정치외교 이득 따라 움직이는게 진짜 학문 맞나” … (1) 두부국 04-13 1100
1857 [북한] 왜 우리는 아직도 냉전시대를 못 벗어나는가....... (2) 코스모르 06-28 1100
1856 [한국사] 5.18에 대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몇가지ㅡ mymiky 05-18 1100
1855 [중국] 시진핑 들어 꽃피우는 찬란한 중국 문화 인정해주자.… (2) artn 11-13 1100
1854 [한국사] 한국어와 일본어 대응어휘 추가 감방친구 11-25 1099
1853 [기타] 당나라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5) 인류제국 02-07 1099
1852 [한국사] [사견] 말갈박사의 말갈이야기 (10) 지누짱 07-06 1099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