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3-11-04 03:07
[한국사] 합단의 침입 경로로 살펴본 고려의 동북 영토 (지도 첨부)
 글쓴이 : 보리스진
조회 : 1,161  

해양 남경1.jpg

합단(哈丹)의 침입 경로를 살펴보면 고려의 동북 영토가 드러난다. 합단(哈丹)은 원나라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고려로 방향을 틀어 남하했다. 처음에는 해양(海陽) 지역으로 들어왔다. 이어서 남경(南京)으로 들어왔다. 여기서 알 수 있는 사실은 해양(海陽)이 남경(南京)의 북쪽에 있었다는 것이다. 위 기록이 중요한 점은 주류 학계와 외국학계도 받아드릴 수 있다는 점이다. 남경(南京)의 행정구역이 함경남도까지 내려온다는 주장과는 아무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남경(南京)의 최북단을 기준으로 한다. 

남경(南京)은 원나라에서 설치한 행정구역이다. 요양행성(遼陽行省) 개원로(開元路)에 속한다. 위치는 현재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도문시(圖們市)의 북쪽 부근에 있었다. 조선왕조실록 등에 자세한 위치가 나와있다. 

[태조실록 1, 총서 2번째기사]

알동(斡東)은 남경(南京) 동남쪽 90여 리()에 있으니, 지금의 경흥부(慶興府) 동쪽 30리에 떨어져 있다. 알동의 서북쪽 120여 리에 두문성(豆門城)이 있다. (斡東在南京東南九十餘里, 距今慶興府東三十里斡東西北百二十餘里, 有豆門城, 又其西百二十餘里)

[신증동국여지승람 제50권 함경도 종성도호부]

남경(南京): 동관보(潼關堡)에서 두만강을 건너 보청포(甫靑浦)를 경유하여 사춘천(舍春川)을 건너면 옛 성이 있는데, 명칭을 남경(南京)이라 한다. (南京自潼關堡渡豆滿江徑甫靑浦渡舍春川有古城號南京)

[연산군일기 17, 연산 287일 신사 1번째기사]

남경은 종성(鍾城)과 거리가 2() 반 길이다.(南京距鍾城, 二息半程)



그런데 서적에 따라 합단(哈丹)의 침입 기록이 조금 다르다. 조선 초기에 고려의 역사를 편찬했는데 시기가 차이가 난다. 서적마다 기록이 다른 경우도 있다. 치평요람 (1445년 세종27년), 고려사 (1451년 문종 1), 고려사절요 (1452년 문종 2)
1. 합단(哈丹)이 처음 침입한 곳은 해양(海陽)이다.(1290년 5월) 2. 원과 고려에서는 함평부에서 병력을 이동시켜 남경(南京)과 해양(海陽)으로 가려고 했다.(1290년 6월) 3. 합단(哈丹)이 남경(南京)으로 침입했다.(1290년 10월)

합단(哈丹)이 해양(海陽) 지역으로 침략해 들어온 것은 동일하다.

[고려사 권30 세가 권제30 충렬왕(忠烈王) 16] 129056()

[고려사절요 권21 충렬왕3(忠烈王三) 충렬왕(忠烈王) 16] 12905월 미상()

[치평요람 제143권 원() [세조(世祖)]

합단(哈丹)이 해양(海陽) 지역으로 침략해 들어왔다.(哈丹入海陽界)



이에 따라 원의 황제가 합단(哈丹)의 병사를 막을 목적으로 군사를 파견한다. 함평부(咸平府)에서 남경(南京)과 해양(海陽)으로 나아간 뒤 길을 차단하라 하였다. 모두 동일하게 기록했다.

[고려사 권30 세가 권제30 충렬왕(忠烈王) 16] 129067()

[고려사절요 권21 충렬왕3(忠烈王三) 충렬왕(忠烈王) 16] 12906월 미상()

[치평요람 제143권 원() [세조(世祖)]

() 황제가 조서(詔書)를 내리기를 토벌군(討伐軍)이 고려까지 가려면 도로가 돌아가야 되고 머니, 마땅히 함평부(咸平府)에서 남경(南京해양(海陽)으로 나와서 적의 길을 차단하라.”고 하였다. (帝詔曰 討賊軍, 至高麗則, 道路回遠, 宜自咸平府, 出南京·海陽 截斷賊道.”)



이 이후의 병력 이동 기록은 조금 다르다. 고려사에서는 합단(哈丹)이 해양(海陽)과 남경(南京)에 침입했다고 하였다. 고려사절요는 기록이 없다. 치평요람은 합단(哈丹)이 남경(南京)에 침입했다고 하였다. 고려사의 기록은 뭉뚱그려 표현하고 있으나, 치평요람은 명확하게 표현하고 있다. 이 기록들을 종합하면 해양(海陽)이 북쪽에 있고, 남경(南京)이 남쪽에 있으며, 서로 근처에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고려사 권30 세가 권제30 충렬왕(忠烈王) 16] 12901026

적군의 기병이 남경(南京)과 해양(海陽)의 경계까지 이르렀다(賊騎至南京海陽界)

[치평요람 제143권 원() [세조(世祖)]

적군의 기병(騎兵)이 남경(南京)으로 들이닥쳤다(賊騎至南京)



해양(海陽)은 고려의 영토였는데, 길주(吉州)의 이칭이다. 동북 9성 가운데 한 곳이다. 지도에서 보면 남경(南京)의 북쪽에 해통(海通), 홀한해(忽汗海) 처럼 바다가 들어간 지명이 있다. 고려 후기의 해양(海陽)의 위치가 저 부근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종실록지리지 함길도 길주목 경원도호부에는 공험진의 북쪽에 견주(堅州)가 있다고 하였다. 견주(堅州)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했다. 공험진은 지도상에 홀한해라고 표시한 곳 부근에 있었다. 조선시대의 기록에는 공험진 근처의 지명 이름이 모호한 게 많다. 명칭을 표기하지 않거나 전혀 알 수 없게 표기한 명칭도 많다. 견주(堅州)도 이에 하나인데, 다른 기록에서 연혁을 찾아 볼 수 없다. 아마도 동북 9성 가운데 하나였던 것으로 보인다. 추정컨대 길주(吉州)로 보인다. (기록에 따르면 소하강의 위치는 시간의 흘러감에 따라 이동된다. 현재의 목단강 부근에서 현재의 수분하로 이동되었다. 여기서는 목단강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고려사 권135 열전 권제48 우왕(禑王) 98]

우리 오읍초(吾邑草갑주(甲州해양(海陽)의 백성들을 꾀어서 유인하고 있습니다(我吾邑草·甲州·海陽之民, 以誘致之)

[태종실록 7, 태종 4519일 기미 4번째기사]

길주(吉州)해양(海陽)’이라 칭한다.(吉州稱海陽)



알동사오리는 알동의 관내에 있는 지역이다. 알동은 남경(南京)에 속해있다. 알동사오리까지는 남경(南京)의 최북단에 속한다고 봐도 좋을 것 같다.
아치랑이, 무을계, 보청은 함주(咸州)에 속했던 지명들이다. 사서와 지리지에 의거해서 지도상에 위치를 표시했다. (위에서 언급된 함평부(咸平府)도 이 곳에 있었던 함주(咸州)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확히 확인해보지 않아서 확인이 필요하다.)
쌍성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했다. 알동과 경흥이 있었던 곳 부근이다. 여기서는 논하지 않으나, 쌍성(雙城)이 있었던 곳으로 보고 있다. 또한 경흥, 알동, 쌍성이 있는 곳에 화주(和州)가 위치해 있었다고 사료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늘하늘섬 23-11-04 19:33
   
https://db.history.go.kr/KOREA/item/level.do?levelId=kr_137r_0010_0020_0160
고려사를 보면

'금(金)의 요동(遼東) 함주로(咸州路) 부근의 심주(瀋州)에 쌍성현(雙城縣)이 있다는 것을 알고서, 본국의 함주 근처 화주의 옛날에 쌓은 작은 성 2개를 모호하게 주청하여 마침내 화주를 가지고 쌍성이라고 모칭하고, 조휘를 쌍성총관(雙城摠管)으로, 탁청을 천호(千戶)로 삼아 인민을 관할하게 하였습니다'
라는 구절이 있습니다.

분명히 함주가 심주 근처에 있다고 하죠?
심양이 심주죠?
지금 심양시가 중국에 어디에 있죠?

철령(톄링시), 개원(카이위안시), 심양(선양시) 지금 구글링 해봐도 요수에 다 모여있습니다.
쌍성을 비롯하여 여러지역명의 비정이 함경북도쪽에 있다는건 납득하기 어렵네요
     
보리스진 23-11-05 00:03
   
그 지역은 고려의 동녕부와 접경했던 곳이에요.
북계에 해당하는 곳이죠.
요녕성은 고려의 북계와 접했고, 길림성은 고려의 동북계와 접했습니다.
지금 현재의 요녕성 철령시, 함주시, 개원시 위치를 동북계로 해버리면 고려의 북계의 위치가 쪼그라들어버려요.

명나라는 만주지역을 거의 점령하지 못했습니다.
직접통치를 못하고 간접통치를 했습니다.
그래서 이북5도청과 같이 행정구역을 현재 심양하고 요양 부근에 설치했습니다.
그리고 여진족이나 북방야인들에게 관직을 주면서 간접통치했습니다.
그 영향으로 지금 그 곳에 도시가 남아있었다라고 보면 될 듯 합니다.
          
하늘하늘섬 23-11-05 14:29
   
추가 의견 감사합니다
               
보리스진 23-11-05 17:46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326
1801 [기타] 나라 족보 (4) 관심병자 09-23 1105
1800 [한국사] 한글은 세종대왕이 직접 혼자 만들었다 ssak 10-09 1105
1799 [기타] ↓ 사회발전단계라.... (5) 윈도우폰 08-30 1105
1798 [기타] 한국 국가자부심 순위 22위 (2006년 주요국가 통계) (3) 투후 07-05 1104
1797 [기타] 현대 토론의 문제점을 전쟁과 게임을 통해 비교해보… (7) Marauder 04-23 1104
1796 [기타] 민족주의 글을보고 (22) 관심병자 01-13 1104
1795 [한국사] 온조는 부여씨인가? 해씨인가? 1 지수신 07-05 1104
1794 [기타] 과학으로 확인하는 내 혈통의 정체!feat.유전자검사 예왕지인 08-23 1104
1793 [한국사] 재야사학 vs 식민사학 (13) 천추옹 04-26 1104
1792 [한국사] 김정민이는 애초에 역사학 논문하나없이 (4) 하이시윤 03-03 1104
1791 [북한] 왜 우리는 아직도 냉전시대를 못 벗어나는가....... (2) 코스모르 06-28 1103
1790 [기타] 고조선 연구에 도움되는 역사서 (3) 인류제국 01-20 1103
1789 [한국사] 신라와 백제의 격전지. 침구에 대한 고찰 파스크란 01-02 1103
1788 [한국사] 《날조된 흥화진》과《진정한 흥화진》의 위치.. (1) 에피소드 03-02 1103
1787 [한국사] 중국의 입장으로 보는 서랄목륜하, 길림의 유수, 대… 현조 07-13 1102
1786 [한국사] 왜의 신라 침략의 목적이 뭔가요? (7) 밑져야본전 08-22 1102
1785 [한국사] 한국인을 찾으세요 (12) 예왕지인 11-07 1102
1784 [중국] 이제서야 문화 후진국임을 자각한 중국이 온갖 오두… (1) artn 11-08 1102
1783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1/2 (4) 위구르 08-09 1102
1782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는 9000년 전, 서요하의 농경민 (1) 아비바스 09-21 1102
1781 [한국사] 유사역사학자말대로 고구려 백제 신라가 대륙에 있… (9) 고이왕 06-09 1101
1780 [한국사] 조선총독부의 노동착취 증거문서 공개 (3) 징기스 08-09 1101
1779 [기타] 당나라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5) 인류제국 02-07 1101
1778 [북한] 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5편. 돌통 11-05 1101
1777 [한국사] 강단놈들이 얼마나 사기를 잘 치는지 알수 있는 사건 (3) 징기스 06-13 1100
1776 [한국사] 치우천왕은 부도지에 나오는 유호씨 이다 비가오랴나 04-15 1100
1775 [북한] (제 2편) 북한과 (중공) 중국과의 역사적 관계 돌통 08-16 1100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