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9-19 15:11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글쓴이 : 돌통
조회 : 923  

***  동녕현성 전투

 

 


1933년 9월 6일 나자구에서 이동해 온 한국독립군은 오의성 휘하에 시세영, 사충항, 김산 등의 부대 및 중국공산당의 혼춘 왕청 유격대 한인 부대와 연합하여 동녕현성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는 익일 까지 지속되었는데 한때 현성 안으로까지 진격했으나 일본군과 만주군 증원군의 도래를 우려하여 철수하였다.(참고),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364~365쪽. 이 전투에 대해서는 조경한이 집필한 1942년의 『광복』의 글이나 『백강회고록』에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 전투에 김일성이 참가했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장세윤에 의하면 북한에서는 왕청 유격대의 대장은 김일성이고 더 나아가 1500여의 반만항일군이 연합하여 전개한 이 전투 자체를 김일성이 지휘했다고 “왜곡하여 선전”하고 있다고 한다.(참고) 위의 논문, 365쪽. 북한의 논저에서는 물론 김일성이 총지휘했다는 동녕현성 전투에 한국독립군의 존재는 나오지 않을 것이다.
박환, 「항일력사문제 제3차 국제학술토론회 참관기」『한국민족운동사연구』 38, 2004, 333-334쪽 참조.
 
 
 
북한의 앞과 같은 주장은 (1989) 중국 측의 여러 기록들에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오히려 중국측의 여러 단행본에는 왕청유격대 대장이 양성룡이었고 그 규모도 겨우 40-50명에 지나지 않는 미약한 세력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참고) 장세윤, 위의 논문, 365쪽.
 
 
그러나 중국측 연구에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김일성이 참전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장세윤은 중국측의 역사 저서로 『조선족약사』나, 『연변당사 사건과 인물』, 『조선족 백년사화』제2집 등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중국 학계에서는 동북항일련군의 일개 간부로 활동했지만, 그러나 8·15후 동맹국의 수령인 김일성을 역사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 늘 고민해야 하였다.
 
『조선족약사』(1986)의 경우에는 조선족의 항일투쟁을 중국 항일투쟁의 일환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김일성을 비롯해 북한으로 8·15후 돌아간 사람들의 활동은 중국의 항일투쟁이 아닌 국제 지원활동으로 정리하였으며 따라서 그들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다루지 않고 본문이 아닌 서문에서 그 의의를 서술해두는 것으로 정리하였다.(참고)이에 대해서는 염인호, 「재만 조선인 항일투쟁사 서술과 ‘중국 조선족’의 탄생」『한국학연구』 28,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156~167쪽. 『조선족간사』 초고본(1964)에는 북한이 중시하는 보천보전투 사실은 빠져 있다.
 
 
 
한편 한국 학계의 일각에서는 조경한의 회고와 북한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여 동녕현성 전투에서 이청천의 한국독립군과 김일성의 왕청 유격대가 함께 참가한, 이념을 초월하여 단결하여 전개한 항일투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위구르 20-09-19 23:42
   
아주 김일성을 빨아제끼지 못해 안달이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260
1720 [한국사] <삼국사기>와 <송서>에 등장하는「왜」& 신… (5) 지누짱 09-18 1346
1719 [북한] 6.25전쟁은 정치적 초점에서 역사적 관점으로 변해야 … (4) 돌통 09-18 911
1718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1) 돌통 09-19 924
1717 [북한] (역사) 광복후 "조선 인민 공화국"의 좌절 돌통 09-20 762
1716 [북한] 동북항일연(련)군이란 무엇.?? 돌통 09-20 763
1715 [북한] 민생단 사건이란? 돌통 09-20 805
1714 [북한]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 진실.. 돌통 09-20 953
1713 [기타]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19) 관심병자 09-20 2177
1712 [기타] 평화전쟁 1019 ( 고려 vs 요나라 ) (3) 관심병자 09-21 1146
1711 [한국사] 말이라는 게 생각보다 변화가 더디고 적습니다 (7) 감방친구 09-21 1461
1710 [한국사] 고대 한반도 해수면 시뮬레이션 (6) 밑져야본전 09-21 2723
1709 [다문화] 국제결혼 순위 및 배우자 국가 (1) 예왕지인 09-22 1419
1708 [다문화] 한국인의 조상은 누구인가…학계 진실공방 (3) 예왕지인 09-22 1511
1707 [한국사] 석우로전을 통해 본 신라와 왜의 힘의 관계.. (8) 밑져야본전 09-22 1020
1706 [한국사] 백제 전통의상이라고 하네요. (3) 암바구룬 09-22 1715
1705 [한국사] 영화 안시성 돌궐군 말갈군 (1) 예왕지인 09-23 1011
1704 [세계사] 몽골인들이 생각하는 한국인 (몽골반응) 예왕지인 09-23 1589
1703 [기타] 어느 동남아인 유전자 결과 (11) 예왕지인 09-23 1781
1702 [한국사] 고려의 영토는 북쪽으로 장백산과 연결되고...... 보리스진 09-23 837
1701 [한국사] 아래에서 로또님이 손진기만큼 위험하다고 한 이유 (2) 감방친구 09-23 1112
1700 [기타] 나라 족보 (4) 관심병자 09-23 1103
1699 [한국사] 경혈 뚫고 정수리엔 수은 붓고..조선 청동인체상의 … (1) 빠수리 09-23 1080
1698 [기타] 한국요괴, 한국도깨비 진짜모습? 관심병자 09-23 1333
1697 [한국사] 예군 묘지명에 기록된 '일본'과 '부상 지누짱 09-23 975
1696 [기타] 최근 해외 질문사이트 Quora에서 한국인 기원에 관한 … (7) 예왕지인 09-23 1339
1695 [한국사] 철령 지명 위치: 우리측 기록에 나오는 요동반도 철… (1) 보리스진 09-24 1318
1694 [중국] 고구려 벽화를 위진남북조 시대 벽화로 설명하고 있… (4) mymiky 09-24 1173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