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9-20 01:44
[북한]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 진실..
 글쓴이 : 돌통
조회 : 952  

***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

 

 

 

동북지방에서 9·18이후 중국공산당의 영도 하에 조직되고 활동한 무장 부대의 공식 명칭은 처음에는 홍군, 나중에는 동북인민혁명군 그리고 동북항일연합군이었다. 북한에서는 재만 조선인들의 항일무장투쟁을 김일성 중심으로 파악하고 있으며 부대의 명칭을 대체로 조선인민혁군이라 부르고 있다.
 
 
임춘추는 일찍이 1960년에 발표한 회고록에서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은 그 구성이 대부분 조선인이었고 그래서 중국 사람들은 이 부대를 조선인민혁명군 혹은 조선홍군 등으로 불렀으며 자신들을 그 후 동북에서 활동할 때에는 동북인민혁명군이라 하였고 조선에 나와서 활동할 때에는 조선인민혁명군이라 불렀다고 하였다.(참고) 임춘추, 『항일무장투쟁시기를 회상하여』, 조선노동당출판사, 1960, 63-64쪽(金成鎬(김성호), 앞의 논문, 235쪽에서 재인용).
 
 
한편 1961년에 간행된 북한의 사서에 의하면, 김일성과 그의 동료들은 1934년 3월에 항일유격대를 조선인민혁명군으로 편성했다고 하였다. 각 지방의 유격대를 조선인민혁명군으로 편성함으로써 통일적인 지도와 대규모작전에 유리한 조건이 형성되었다고 하였다.(참고) 과학원 력사연구소 근세 및 최근세사연구실 편, 『조선근대혁명운동사』, 과학원출판사, 1961, 311쪽.
 
 
그런가하면 1968년에 발간된 북한의 김일성 전기에서는 1936년 2월의 南湖頭(남호두) 회의 이후, 김일성은 유격부대의 명칭을 ‘조선인민혁명군’으로 부르도록 했다고 하였다.(참고) 백봉, 『민족의 태양 김일성장군』, 조선신보사, 1968, 194쪽,
 
 
북한 내에서도 이처럼 호칭 개시 연대와 호칭 개명을 주도한 주체에 대한 서술이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어 혼란을 주고 있다.
 
북한이 사용하는 이 호칭에 대해서 외부에서는 여러 해석이 있다. 일부의 연구자들은 조선인민혁명군은 ‘날조’된 것이라고 보았다.(참고), 「조선혁명군 연구」『한국독립운동사연구』 4, 1990, 340쪽.
 
 
한편 동북인민혁명군 혹은 동북항일련군 내 조선인 대오의 독자성을 인정하는 학자들 가운데서도 일부는 그 명칭에 대해서만큼은 자의적으로 붙인 것으로 주장하였다. 한 예로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에 대하여 비교적 객관적 연구 자세를 견지하고 있는 和田春樹(화전추수)는 ‘조선인민혁명군’은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 제2독립사의 성립이라는 사실을 기초로 해서 만들어진 ‘神話’(신화)로 보고 있다.(참고) 張世胤(장세윤), 위의 논문, 340쪽.
 
 
장세윤은 ‘조선인민혁명군’ 명칭이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당대에도 특히 중국인들 사이에서도 불렸다는 사실을 문헌 사료 발굴을 통해 확인하였다. 장세윤은 상해에서 1935년에 발간된 『東方雜誌』(동방잡지)의 한 기고문에서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명칭이 나온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조선인민혁명군은 북한에서 단순히 날조한 것만은 아니라고 보았다.(참고) 張世胤(장세윤), 「조선혁명군 연구」『한국독립운동사연구』 4, 1990, 340~342쪽.
 
 
이때의 조선인민혁명군이란 300여명 규모로 창건된 동북인민혁명군 독립사를 지칭함이 분명하다고 하였다.(참고)張世胤(장세윤), 위의 논문, 341쪽.
 
 
‘조선인민혁명군’ 호칭 문제는 연변대학 교수 金成鎬(김성호)가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그는 북한 역사학계에서는 동북인민혁명군 제2군과 그 후에 개편된 동북항일련군 제1로군 제2군을, 특히는 제2군 산하의 한 개 주력 대오인 ‘김일성 부대’를 가리켜 ‘조선인민혁명군’이라 부르고 있다고 하였다.(참고)金成鎬(김성호), 앞의 논문, 216쪽.
 
 
金成鎬(김성호)는 당시 동북 한민족 공산주의자들은 주어진 객관 환경 조건에 기초한 한- 중, 두 나라 인민의 연합항일투쟁과 한국혁명의 실제 수요에 따라 형식상에서 민족독립적인 무장조직 명칭을 따로 가지지는 않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지금에 와서는 ‘조선인민혁명군’이라는 자기 본연의 이름을 반드시 찾는 것은 민족역사의 한 개 순리라고도 할 수 있다고 하였다.(참고)金成鎬(김성호), 위의 논문, 241쪽.
 
 
당대에 공식적 명칭으로는 조선인민혁명군은 없었지만, 조선 인민의 혁명군 성격을 지닌 부대는 존재했고 당시에도 비공식적으로 그렇게 불린 적도 있으며 특히 오늘날 북한의 역사 진행 과정에서의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북한 역사학계가 그렇게 호칭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해될 부분이 있다고 본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3238
1720 [한국사] <삼국사기>와 <송서>에 등장하는「왜」& 신… (5) 지누짱 09-18 1345
1719 [북한] 6.25전쟁은 정치적 초점에서 역사적 관점으로 변해야 … (4) 돌통 09-18 911
1718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1) 돌통 09-19 923
1717 [북한] (역사) 광복후 "조선 인민 공화국"의 좌절 돌통 09-20 760
1716 [북한] 동북항일연(련)군이란 무엇.?? 돌통 09-20 763
1715 [북한] 민생단 사건이란? 돌통 09-20 803
1714 [북한] 조선인민혁명군의 존재 진실.. 돌통 09-20 953
1713 [기타] 과거로 가도 말이 통할까? - 한중일 언어의 변화 (19) 관심병자 09-20 2177
1712 [기타] 평화전쟁 1019 ( 고려 vs 요나라 ) (3) 관심병자 09-21 1144
1711 [한국사] 말이라는 게 생각보다 변화가 더디고 적습니다 (7) 감방친구 09-21 1461
1710 [한국사] 고대 한반도 해수면 시뮬레이션 (6) 밑져야본전 09-21 2723
1709 [다문화] 국제결혼 순위 및 배우자 국가 (1) 예왕지인 09-22 1419
1708 [다문화] 한국인의 조상은 누구인가…학계 진실공방 (3) 예왕지인 09-22 1511
1707 [한국사] 석우로전을 통해 본 신라와 왜의 힘의 관계.. (8) 밑져야본전 09-22 1020
1706 [한국사] 백제 전통의상이라고 하네요. (3) 암바구룬 09-22 1715
1705 [한국사] 영화 안시성 돌궐군 말갈군 (1) 예왕지인 09-23 1011
1704 [세계사] 몽골인들이 생각하는 한국인 (몽골반응) 예왕지인 09-23 1589
1703 [기타] 어느 동남아인 유전자 결과 (11) 예왕지인 09-23 1780
1702 [한국사] 고려의 영토는 북쪽으로 장백산과 연결되고...... 보리스진 09-23 837
1701 [한국사] 아래에서 로또님이 손진기만큼 위험하다고 한 이유 (2) 감방친구 09-23 1112
1700 [기타] 나라 족보 (4) 관심병자 09-23 1103
1699 [한국사] 경혈 뚫고 정수리엔 수은 붓고..조선 청동인체상의 … (1) 빠수리 09-23 1080
1698 [기타] 한국요괴, 한국도깨비 진짜모습? 관심병자 09-23 1332
1697 [한국사] 예군 묘지명에 기록된 '일본'과 '부상 지누짱 09-23 975
1696 [기타] 최근 해외 질문사이트 Quora에서 한국인 기원에 관한 … (7) 예왕지인 09-23 1338
1695 [한국사] 철령 지명 위치: 우리측 기록에 나오는 요동반도 철… (1) 보리스진 09-24 1318
1694 [중국] 고구려 벽화를 위진남북조 시대 벽화로 설명하고 있… (4) mymiky 09-24 1173
 <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