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1-10 15:33
[한국사] 누구의 눈으로 역사를 보는가에따라 시야가 달라진다.
 글쓴이 : 스리랑
조회 : 940  



이덕일소장님 글 요약 


역사관은 그 종류가 많아 보이지만 크게 나누면 둘이다. 나의 눈으로 보는 역사관과 남의 눈으로 보는 역사관이 그것이다. 누구의 눈으로 보느냐에 따라 그 의미가 크게 달라진다. 팔레스타인을 유대인의 시각으로 보느냐, 아니면 아랍인의 시각으로 보느냐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는 것이다.

역사를 보는 관점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이규보(李奎報·1168~1241)와 김부식(金富軾·1075~1151)의 눈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둘 다 고려인이고, 유학자였다. 김부식은 ‘삼국사기’(三國史記)를 남겼고, 이규보는 ‘동명왕편’(東明王篇)을 남겼는데, 김부식은 유학자의 관점으로 ‘삼국사기’를 썼다.


공자가 ‘춘추’(春秋)에서 천명한 역사관이 유학의 역사관이다. 공자는 주(周)나라를 임금의 나라로 보고 나머지는 신하의 나라인 제후국이나 오랑캐로 보는 역사서술이다. 여기에서 중국 한족(漢族)을 세계의 중심으로 보는 중화(中華) 춘추사관이 나왔다.

그런데 김부식·이규보처럼 몸은 한족(漢族)이 아니지만 유학자의 시각으로 역사를 보는 경우이다. 이족(夷族)의 몸에 한족(漢族)의 눈을 가진 유학자들이 탄생한 것이다. 김부식은 사마천의 ‘사기’를 본뜬 기전체(紀傳體)로 ‘삼국사기’를 썼는데, 기전체가 바로 춘추필법의 역사서다.




황제의 사적인 ‘본기’(本紀), 제후의 사적인 ‘세가’(世家), 신하의 사적인 ‘열전’(列傳) 등으로 나누어 쓰는데 이민족의 역사는 열전에 서술하기 때문이다. 김부식은 ‘삼국사기’에서 고구려,백제,신라, 삼국 임금들의 사적을 ‘본기’(本紀)라고 불렀지만 실제 내용은 제후들의 사적인 ‘세가’(世家)에 준해 편찬했다.


이규보도 공자의 제자를 자처한 유학자였다. 이규보는 고구려 시조 추모왕의 이야기를 담은 ‘동명왕편’을 썼다. 공자는 “괴력난신(괴이한 것과 용력과 패란과 귀신)에 관한 것은 말하지 않았다(논어 ‘술이(述而)’)”라고 말했는데, 이를 따라 이규보는 “동명왕의 이야기는 실로 황당하고 기괴한 이야기라서 우리들(유학자들)이 이야기할 바가 아니다”라고 믿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던 이규보는 명종 23년(1193) ‘구삼국사’(舊三國史)를 읽어 보게 되었다.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구삼국사’는 “(동명성왕의) 신이한 사적이 세상에서 말하는 것보다 더해서 처음에는 믿지 못하고 귀(鬼·도깨비)나 환(幻·허깨비)의 이야기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규보는 “세 번을 반복해서 탐미해 점점 그 근원에 들어가니, 그제야 고구려 시조사를 바라보는 역사의 눈이 달라졌다는 뜻이다. 그러자 도깨비, 허깨비의 이야기가 아니라 거룩한 사적이고 신령한 이야기로 보였다는 것이다. 그래서 ‘동명왕편’을 썼다는 것이다. 이규보는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이런 내용들을 빼놓은 것을 비평했다.




유학자의 눈에는 중국 개국군주들의 사적만 성인(聖人)의 사적이었는데, 고구려인의 눈으로 보자 동명왕의 이야기도 나라를 개창한 성인의 사적으로 보인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 ‘고조 본기’에서 한 고조 유방(劉邦)의 모친 유온(劉?)이 대택(大澤) 언덕에서 잠잘 때 꿈에 신을 만났고, 교룡(蛟龍)이 그 몸 위에 올라와 유방을 낳았으며, 적제(赤帝)의 아들이라고 썼다. 유방 부모의 신분이 낮은 것을 감추려 한 것이다.


또 유방이 있는 곳의 하늘에는 늘 운기(雲氣)가 서려 있었다는 등의 황탄한 이야기를 잔뜩 써 놓았지만 중국의 역대 주석가들은 그 의미를 분석하고 덧붙였지 황탄하다고 비판하지 않았다. 유독 우리나라 학자들만 자국사에 가혹한 잣대를 들이대 깎아내리는데 그 근본 이유가 남의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바라보기 때문이다.


바로 이 때문에 이 나라는 역사학자들과 역사에 관심이 있는 일반 국민들 사이의 괴리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나라가 되었다. 때로는 중국인의 시각으로, 때로는 일본인의 시각으로 우리 역사를 본다.


모두 자국사를 환(幻)과 귀(鬼)로 보는 것이다. 그러니 국조(國祖) 단군(檀君)의 사적을 신화라고 깎아내리기 바쁘다. 우리 사회가 중심이 없고 혼란스러운 가장 큰 이유는 역사관이 바로 서지 못했기 때문이다. 신체는 세계 10위권 경제로 성장했지만 정신은 유아 수준을 벗어나지 못했다. 이제 성(聖)과 신(神)의 역사관으로 나 자신을 찾을 때가 되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스카라스 18-01-10 20:29
   
무엇하나 토씨하나도 틀린 게 없는 글이네요
가난한서민 18-01-11 02:40
   
제목부터 잘 지었다 샹각했는데 높은 식견을 가진 교수님의 좋은 말씀입니다.
 
 
Total 20,02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2626
1180 [한국사] 역사스페셜 다시 해줄까요? (4) 코스모르 12-24 953
1179 [한국사] 요동군에 대한 소고 (6) 독산 03-10 953
1178 [한국사] 노다대감 후손의 추악한 재산찾기(시사IN기사 첨부) (1) history2 04-14 953
1177 [한국사] 조선총독부 조선사 번역서 출간 막는 교육부 (4) 하이시윤 05-06 953
1176 [중국] 지나의 역사를 보면 참 신기한게... (5) Hiryu 03-05 952
1175 [한국사] 속국 타령과 관련해서 생각해볼 문제..(2) (1) Centurion 08-31 952
1174 [한국사] 한사군 대륙설이 주장하는 중국 사서에 대한 반박 (10) 고이왕 06-11 952
1173 [기타] 한국 주류 실증 사학의 오류 (1) 관심병자 06-20 952
1172 [한국사] 히스토리님 평양성관련 (11) 스파게티 05-23 952
1171 [한국사] 단일 민족이 문제가 된 이유가 무엇인가? 한국인은 … (9) 보리스진 09-11 952
1170 [기타] 이난향이 회고하는 1900년대 기생 시절 관심병자 11-14 952
1169 [기타] 세계인들이 주목하는, 감미로운 모지혜(다니엘) - 인… 아비바스 03-08 952
1168 [한국사] 대륙설 북한 단군릉 다 가짜입니다... (1) 고이왕 06-11 951
1167 [한국사] 올리기도 숨이차네요. (3) 스리랑 09-12 950
1166 [북한] 6.25는 북한의 남침이맞습니다.이승만정권의 무능함.… 돌통 10-29 949
1165 [한국사] 화교출신 625 영웅들 mymiky 06-25 949
1164 [한국사] 예쁘고 고급스런 아동용 한복 mymiky 11-13 949
1163 [기타] 개천절의 주인공은 단군보다 환웅이다 관심병자 03-09 949
1162 [한국사] 낙랑군 관련 물질문화 문제 (1) 감방친구 04-27 949
1161 [한국사] 일본의 손자병법에 당한 대한제국 (1) 국산아몬드 02-27 948
1160 [한국사] 박창범교수의 일식도 해석. (6) 북명 06-09 948
1159 [중국] [습유장초]상고한어를 재구한 영상. Ichbin타냐 11-22 948
1158 [기타] 한(韓) 명칭 잡생각 관심병자 03-12 948
1157 [중국]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2 (1) 히스토리2 05-13 948
1156 [한국사] 일왕에게 작위받은 조선의 귀족들 mymiky 01-14 948
1155 [기타] 동아시아에 있어 해양민족이라고 한다면... (11) 윈도우폰 08-12 948
1154 [기타] 일종의 해학 위구르 08-16 948
 <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