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2-16 00:12
[기타] 고조선 관련
 글쓴이 : 바람노래방
조회 : 2,440  

한국에서 생활했던 미국인 학생의 동영상에 느닷없이 (고)조선 이야기가 나와서 이야기 하다보니 
점점 고조선을 부정하는 방향으로 흘러가기에 거기에 제가 달았던 댓글들만 모아봤습니다.


----------------------------------------------------------------



(고)조선은 문헌적 기록으로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다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최초 국가는 문헌적으로기원전 2200년에 건국되었다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즉, (고)조선과 중국 모두 문헌으로 역사적 기록이 있기 때문에 아무도 그 건국에 대해 부정하지 않습니다. 
다만, 그 기록을 뒷받침해줄만 이후의 다른 무언가가 발견되지 않았기에 건국 연대에 대해 의심을 가지기는 하지만 그 기록이 거짓이라고 말할수 없습니다. 
중국의 역사적 기원 역시 연도를 증명할 다른 뭔가는 없으니깐요.

비단 (고)조선과 중국뿐만 아니라 역사적 기록이 꼼꼼하고 정교하게 남아 있는것은 이집트만이 유일한 사례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조선의 건국 연도에 신빙성이 더해지는 것은 그 연도쯤에 국가가 탄생했다고 해도 이상할 것 없는 사회적 기반이 갖춰져 있었다는 점입니다. 

배달국이니 뭐니 이런저런 말이 많지만 이것은 국가라는 거대사회로 발전하기 전에 그 이전단계로 보이는 군장사회의 흔적이 곳곳에 매우 많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국가로의 발전 단계를 차례대로 모두 밟고 있다는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국가가 탄생할만한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는 사회적 토대가 있다고 보고 있고, 이런한 증거적 유물/유적들은 전세계 어느 지역보다도 압도적으로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즉, 
미세하기는 하지만 문헌적 증거, 
역사의 발전 단계를 모두 밟아왔음을 증명해줄 유물/유적의 다양성과 국토내의 일관적 출토 
역사의 발전 단계와 맞아떨어지는 사회 형태의 발전 단계가 
(고)조선의 존재 및 건국 연대를 부정할 수 없도록 만들고 있습니다.

...................................................


(고)조선사가 매우 혼란스럽고 난해해지는 이유중 하나는 이름(주로 지명) 때문이기도 합니다. 
전세계 어느 지역의 역사나 다 마찬가지지만 사람들이 이름짓기에 매우 보수적입니다. 
즉, 여기 이름과 저기 이름, 예전 이름과 그 이후의 이름이 똑같음으로 인해 후대에 엄청난 혼란과 난해함을 주고 있죠. 

예를들어, 예전에 한니발이 로마원정을 떠난 도시 이름이 "카르타헤나"인데, 한국전쟁때 콜롬비아 군이 출발한 남미의 항구 이름도 "카르타헤나"이죠. 
미국 같은 경우도 유럽의 도시이름을 그대로 가져왔거나 앞에다 "New"만 붙여서 쓰는 등이 이름이 매우 많습니다. 

(고)조선 같은 경우 전체 국가명도 "조선"이지만, "조선"이란 지명도 두곳 이상은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평양"이란 지명을 가진 지역도 두곳이 있죠. 
"고구려"도 동명성왕이 건국한 나라이지만, BC 10세기의 중국문헌에도 "고구려"란 이름이 등장합니다. 

바로 이런점 때문에 다른 두곳의 역사가 혼재되기도 하는등의 난해함이 존재합니다. 
국내 역사학계에선 소위 "대륙조선설"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고)조선의 역사성이 학계내에에서 주류로 잡혀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사실 (고)조선의 자료는 문헌만이 부족할뿐 유물/유적은 널려있으니깐요.. 

작년에 답사를 갔던 양평의 3000년된 고인돌 위에서 소풍나온 유치원 얘들이 단체로 올라가 사진을 찍고 있더군요... 

그리고 "위만조선"은 우리나라의 역사로 보지 않습니다. 
연나라의 세력 위만이 (기자의) 조선지역(고조선이란 나라가 아닌)을 찬탈했던 중국의 국가로 보지요..

.........................................................................................


고인돌도 단지 돌덩이가 아니라 그 형태나 방식의 변화 유형으로 딱 그 시대에만 존재했다가 아니라 변화의 과정중 한 시대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고인돌뿐만 아니라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들도 절대 다수가 고조선의 영역에서 출토 되고 있죠. 
고인돌 및 청동기 유물은 그 출토만으로도 군장시대로 봅니다. 
고인돌이 중요한게 아니라 고인돌 + 청동기 유물 등의 상호 교차 검증이 가능한 세트로 그 시대를 증명하고 있습니다. 
군장시대에서 통치자와 + 율령이 추가되면 국가시대로 전이 되는 거죠. 
(사회적 변화는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증거는 차고 넘치는 수준입니다. 
이렇게 군장시대의 역사가 길고 증거가 많은 지역에서 국가가 출현하지 않았다는 것은 비정상적인 겁니다. 
우리나라 국사교과서의 문제점은 우리나라 고대사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작성되었다는 점입니다. 
즉, 유물과 증거 실증주의가 아닌 관념적 고대사가 마치 사실인양 아직까지도 유지되고 있는 점입니다. 
자체적인 고대사에 대한 연구가 전혀 없이 일제시대에 완성된 고대사 자료를 아직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정작 고대사에 대한 연구는 북한이 이미 1960년대 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했기에 우리나라 학자가 고대사를 확인하려고 북한 서적을 연구했다가 빨갱이로 몰리기도 했죠.

고조선은 증거가 없는게 아니라 단지 모르고 있는겁니다.


...............................................................................................


고조선은 도읍을 총 4번 천도했습니다. 
마지막 천도는 "돌아왔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알려진 국경선 만큼의 지배력이 있었을까? 
지배력을 측정할수는 없지만, 영토내의 문화의 동질성과 사회구성의 동질성으로 분류했을때, 경상도 맨 끝트머리와 부여 맨 큰자락까지 중국과는 확연히 분류되는 일관성 있는 유물의 형태로 봤을때 단일 문명으로 분류되고 이는 지배력이 모두 미쳤다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우리의 역사라고 우리의 조상들이 스스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우리 조상들이 역사의 계승자를 자처하며 우리역사라고 말하는데, 후손이 이를 의심한다면 그 역사는 역사를 부정하는 후손의 대에서 끊기겠죠. 

..............................................................................


고조선은 점점 남하하지 않았습니다. 
최소한 고조선의 건국 초기부터 그 영토와 자리가 이미 세팅된 상태였습니다.
중원세력의 침입으로 옆으로 밀려난겁니다. 
즉, 고조선은 아주 오랜 군장시대를 거치면서 고조선의 영역이 확정된 상태로 국가가 건설된겁니다. 
(그 당시 군장시대에서 (고)조선으로 국가가 건설되었다고 해서 사회적 변화는 거의 없었을 것입니다.)

기원전 2333년에 세워진 고조선은 국가가 망한것이 아니라, 영향력을 상실하고 서서히 소멸되었습니다. 
기원전 100년경을 전후해 고조선이 망한게 아니라 분열의 시대로 접어들었다가 맞는 표현일겁니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와 같은 경우입니다.

(고)조선이 마지막 도읍으로 이동한 것이 기원전 700년경으로 보고 있고, 조선이란 이름이 역사서에 마직막으로 등장한 것은 A.D 300년입니다. 
기원전 2333년부터 A.D 300년까지 존재했던 조선을 같은 후손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진실게임 15-02-16 00:35
   
단정적으로 말 한 수 십개 문장...

위의 글을 정말 단정적으로 말하기 위해서는 그 한 문장마다 필요한 논증의 산더미...

그 산더미 증거들을 보고 그것들을 세상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때

비로서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겁니다.

그렇지 못하면 그냥 오류일 뿐.
     
바람노래방 15-02-16 08:43
   
제가 적은글들이 새삼스러운게 없습니다
이미 여기 게시판에도 관련 참고 내용들이 여러번 올라왔습니다
본문의 내용은 관심이 있는분이라면 대부분 알만한 내용이라 생각합니다
내일을위해 15-02-16 01:37
   
제가 본 고조선에 대한 일반론 중 수준급이라할수있네요. 잘읽었습니다.
     
바람노래방 15-02-16 08:46
   
감사합니다
아름다움 15-02-16 04:46
   
좋은글 잘 읽어습니다.

조선 관련 글에는 꼭 그분들이 오시죠..ㅎㅎ

세상이 엿같고 젓같에도 불쌍한 어머니를 생각해서라도 이러지 마라~~~~~~도~~~~~
밥은 댕기라~~~
     
바람노래방 15-02-16 08:46
   
감사합니다!!
니르 15-02-17 00:41
   
신석기때 국가가 있었다는게 사실입니까?
놀랍내요 고조선의 행정력은 세계제일 !
 
 
Total 82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9 [기타] 조선 관련 (7) 바람노래방 02-16 2441
658 [기타] 지금 사용하는 부산 하수로, 조선시대에 만들어졌다 shrekandy 02-15 5709
657 [기타] 조선의 힘! 중.일엔 없던 선비의 공론정치 (4) shrekandy 02-15 4520
656 [기타] 흔한 조선 임금님의 명나라 디스 (8) shrekandy 02-14 5089
655 [기타] 조선시대의 사기급 과학자 "이천" (11) shrekandy 02-13 8550
654 [기타] 조선의 과학수사 수준 (6) shrekandy 02-13 7988
653 [기타] 조선시대 초거대 저택의 위엄 (26) shrekandy 02-12 12557
652 [기타] 조선의 첨단 극장 연경당 (7) shrekandy 02-12 3223
651 [기타] 조선의 동양 최초+최고의 유량악보: 정간보 (10) shrekandy 02-12 11103
650 [기타] (올~) 조선 서당 교육 수준 (4) shrekandy 02-12 5595
649 [기타] 다시보는 일본 세키부네 vs. 조선 판옥선 (6) shrekandy 02-12 4490
648 [기타] 지수귀문도 (합77) - 300년전 조선의 수학자 최석정의 … (3) 열심히공부 02-12 7128
647 [기타] 조선시대의 고문중 하나인 압슬형..혐오 주의!!! (4) 하얀gd 02-11 5435
646 [통일] 조선 고유 문자설 (2) 굿잡스 02-11 5284
645 [기타] 조선 한양 육조거리 모습 (사진 + 모형) (5) shrekandy 02-11 4471
644 [기타] 조선시대 과거시험 문제/주제들 (6) shrekandy 02-11 7110
643 [기타] 예송논쟁 따위나 했으니 조선이 망했지... (4) shrekandy 02-11 2698
642 [기타] 조선의 막강한 권력기관 의금부 (1) 하얀gd 02-11 1873
641 [기타] 조선 스캔들 - 조선시대 생활상 개괄 정헌대부 02-10 1923
640 [기타] 조선의 명나라 견제 빌리형 02-10 2082
639 [기타] 조선사 고수분들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5) 은자의숲 02-09 1687
638 [기타] 민본주의 조선의 넘사벽 고아원 수준~ (8) shrekandy 02-09 6269
637 [기타] 뷰티 한류 열풍? 알고보면 조선 사대부 화장법! (4) shrekandy 02-08 4185
636 [기타] 유럽따위 씹어먹는 조선의 빈민구제소 수준 (12) shrekandy 02-08 9737
635 [기타] 일뽕 저격: 조선시대 술집/식당 종류들 (8) shrekandy 02-07 11471
634 [기타] 민본주의 조선의 청계천 사업 클라스 (9) shrekandy 02-07 3681
633 [기타] 조선 철기문화 (9) 대하리 02-06 577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