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9-19 15:11
[북한] 동녕현성 전투란.??
 글쓴이 : 돌통
조회 : 916  

***  동녕현성 전투

 

 


1933년 9월 6일 나자구에서 이동해 온 한국독립군은 오의성 휘하에 시세영, 사충항, 김산 등의 부대 및 중국공산당의 혼춘 왕청 유격대 한인 부대와 연합하여 동녕현성을 공격하였다. 이 전투는 익일 까지 지속되었는데 한때 현성 안으로까지 진격했으나 일본군과 만주군 증원군의 도래를 우려하여 철수하였다.(참고),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 연구」, 364~365쪽. 이 전투에 대해서는 조경한이 집필한 1942년의 『광복』의 글이나 『백강회고록』에서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이 전투에 김일성이 참가했는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장세윤에 의하면 북한에서는 왕청 유격대의 대장은 김일성이고 더 나아가 1500여의 반만항일군이 연합하여 전개한 이 전투 자체를 김일성이 지휘했다고 “왜곡하여 선전”하고 있다고 한다.(참고) 위의 논문, 365쪽. 북한의 논저에서는 물론 김일성이 총지휘했다는 동녕현성 전투에 한국독립군의 존재는 나오지 않을 것이다.
박환, 「항일력사문제 제3차 국제학술토론회 참관기」『한국민족운동사연구』 38, 2004, 333-334쪽 참조.
 
 
 
북한의 앞과 같은 주장은 (1989) 중국 측의 여러 기록들에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하였다. 오히려 중국측의 여러 단행본에는 왕청유격대 대장이 양성룡이었고 그 규모도 겨우 40-50명에 지나지 않는 미약한 세력이었다고 기록하고 있다.(참고) 장세윤, 위의 논문, 365쪽.
 
 
그러나 중국측 연구에 나오지 않는다고 해서 김일성이 참전하지 않았다고 보는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장세윤은 중국측의 역사 저서로 『조선족약사』나, 『연변당사 사건과 인물』, 『조선족 백년사화』제2집 등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다. 중국 학계에서는 동북항일련군의 일개 간부로 활동했지만, 그러나 8·15후 동맹국의 수령인 김일성을 역사서에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 늘 고민해야 하였다.
 
『조선족약사』(1986)의 경우에는 조선족의 항일투쟁을 중국 항일투쟁의 일환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김일성을 비롯해 북한으로 8·15후 돌아간 사람들의 활동은 중국의 항일투쟁이 아닌 국제 지원활동으로 정리하였으며 따라서 그들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다루지 않고 본문이 아닌 서문에서 그 의의를 서술해두는 것으로 정리하였다.(참고)이에 대해서는 염인호, 「재만 조선인 항일투쟁사 서술과 ‘중국 조선족’의 탄생」『한국학연구』 28,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156~167쪽. 『조선족간사』 초고본(1964)에는 북한이 중시하는 보천보전투 사실은 빠져 있다.
 
 
 
한편 한국 학계의 일각에서는 조경한의 회고와 북한의 주장을 모두 받아들여 동녕현성 전투에서 이청천의 한국독립군과 김일성의 왕청 유격대가 함께 참가한, 이념을 초월하여 단결하여 전개한 항일투쟁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위구르 20-09-19 23:42
   
아주 김일성을 빨아제끼지 못해 안달이네
 
 
Total 20,02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90576
1070 [기타] 개인적인 역사공부의 역사 (2) Marauder 08-29 916
1069 [한국사] 박노자 "한국인들 식민지컴플렉스 극복해야" (10) 성길사한 08-17 916
1068 [한국사] 발해에 대한 역사자료가 특히 일본 역사학계에 많은 … (1) 인류제국 10-24 915
1067 [한국사] 당나라 시기 거란 본거지 (3) 감방친구 04-18 915
1066 [북한] (최용건 시리즈).03편(영웅호색) 최용건 돌통 08-28 915
1065 [한국사] 60여명이 8년동안 47억의 국민 혈세를 쓰면서 만들었… (1) 스리랑 02-27 914
1064 [세계사] 영국, 아일랜드의 선주민과 도래계 하플로 그룹을 알… 하플로그룹 08-15 914
1063 [세계사] 유럽 하플로그룹 R1b와 R1a 분포도 하플로그룹 08-15 914
1062 [기타] 한국의 식민사학 (9) 관심병자 06-18 914
1061 [한국사] 유사역사학의 황당한 주장 '고고학은 조작이다�… (6) 고이왕 06-19 914
1060 [기타] 해동역사지리고의 현재의 해석과정 관심병자 07-05 914
1059 [기타] 가생이에 일뽕들이 특근나왔나 보네요 (59) 남북통일 02-21 914
1058 [북한] $***중요.(석학의 토론)이승만*김일성모두'침공… 돌통 01-03 914
1057 [북한] 일제때 오중흡은 누구인가 ? 돌통 05-29 914
1056 [한국사] 영남과 호남을 삼킨 임나일본부설 (2) 스리랑 07-28 914
1055 [한국사] 수경주 백랑수 상류 껍데기 1 (6) 삼바 10-01 914
1054 [한국사] 식민사학과 언론카르텔 마누시아 06-23 913
1053 [기타] 웅산의 전설 (2) 응룡 05-10 913
1052 [북한] 6.25의 모든것. 진실,사실,팩트.04편 돌통 08-04 913
1051 [한국사] Who Are You? 뉴욕에서의 역사특강입니다. (1) 스리랑 02-16 913
1050 [한국사] 『고조선과 21세기』저자: 김상태 -책을 추천해드립… (10) 보리스진 07-11 913
1049 [한국사] 秥蟬平山君神祠碑(점선평산군신사비) 하이시윤 03-18 913
1048 [기타] 의문이든다 (3) 바토 06-26 912
1047 [기타] 호공(瓠公)이 마한(馬韓)에 사신으로 다녀오다 관심병자 07-28 912
1046 [기타] 기타 운석들과 구리(금) 슬러지 (키덜트식 수집품) history2 04-14 912
1045 [한국사] 한국 역사 지도 변화 AD 57- AD 668 (8) 고이왕 04-15 911
1044 [한국사] 중국 혐한작가들 행태 예왕지인 07-05 911
 <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