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5-25 20:58
[기타] 백제 대성팔족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2,335  

정의

삼국시대 백제 후기의 대표적 귀족가문의 8개 성씨.


개설

‘8개의 큰 성씨()’라는 뜻으로서, 삼국시대 백제 후기의 대표적인 귀족가문 8개를 아울러 가리키는 말이다. ‘대성팔족’은 원래 고유명사가 아니고 『수서()』 등을 비롯한 중국 역사서의 “(백제) 나라 안에 큰 성씨로서 8개 집안이 있으니[]…”라는 문장에서 비롯된 말이며, 『삼국사기()』 등의 국내 역사서에는 전혀 나오지 않는다.


연원 및 변천

백제의 대성 8족에 대해 기록한 중국역사서는 『수서()』, 『북사()』, 『신당서()』, 『통전()』, 그리고 「괄지지()」를 인용한 『한원()』 등이다. 그런데 8개 성씨에 대한 내용이 저마다 조금씩 다르다. 『수서』와 『신당서』에는 사씨()․연씨()․협씨()․해씨()․정씨()․국씨()․목씨()․백씨()라고 적혀 있으며, 『북사』에는 사씨()․연씨()․협씨()․해씨()․진씨()․국씨()․목씨()․묘씨()로 나온다. 또한, 『통전』에는 사씨()․연씨()․협씨()․해씨()․진씨()․국씨()․목씨()․백씨()라고 적혀 있으며, 『한원』에 인용된 「괄지지」에는 사씨()․연씨()․협씨()․해씨()․진씨()․목씨()․수씨()로 나온다.

한편, 『삼국사기』 등의 국내기록에는 정씨()․묘씨()․수씨()가 전혀 보이지 않으며, 대신 진씨()와 백씨()가 자주 나온다. 이에 중국기록 가운데 『통전』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내용

중국기록에서는 대성 8족이 모두 단성()인 것처럼 소개되었지만, 백제 귀족들 중에는 복성()이 많았다. 사씨는 본래 사택(·)씨이고, 협씨와 목씨는 목협()씨에서 나왔다. 진씨는 진모(), 조미(), 저미() 등 다양하게 표기되었으며, 국씨는 고이()씨, 연씨는 연비()씨와 같을 성씨일 개연성이 높다. 이는 마치 백제왕실 성씨인 부여씨()를 중국사람들이 흔히 여씨()로 기록한 것과 같다.

대성 8족 가운데 가장 일찍부터 중앙귀족으로 성장한 것은 해씨와 진씨였다. 그들은 왕실인 부여씨와 함께 북방에서 남하한 세력으로서, 백제 건국 무렵부터 군사력을 바탕으로 말갈()․낙랑()․고구려() 등 북쪽의 강적들과 대적하며 두각을 나타내더니 4세기 무렵부터는 번갈아 왕실의 외척으로 자리잡았다.

협씨와 목씨는 원래 목협씨에서 나왔다. 목협()은 ‘목리’ 혹은 ‘목례’로도 읽는데, 『일본서기()』에 나오는 목라근자()도 목협씨의 한사람이다. 목협씨가 언제 목씨와 협씨로 분리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5세기 무렵 목협씨의 중앙 진출을 선도한 목협만치(滿)의 경우 『일본서기』에는 목만치(滿)로도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때 이미 목씨로 단성화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같은 책에는 6세기경의 백제인물로 목협매순()․목협마나()․목협금돈()․목협문차() 등이 소개되고 있어 단언하기 어렵다. 또, 목씨는 비교적 사례가 많으나, 협씨는 구체적인 사례를 찾을 수 없다는 점에 주목하면, 같은 목협씨를 중국사람들이 경우에 따라 목씨, 협씨 등으로 다르게 적어놓았을 개연성도 있다. 일본 고대의 호족 가운데 기()씨를 목협씨에서 갈라져 나온 집안으로 보기도 한다. 여하튼 목협씨는 한성()도읍기 후반인 5세기에 중앙으로 진출하였으며, 서기 475년 웅진()천도를 주도하면서 중앙귀족으로서의 입지를 굳혔다. 이러한 성장과정은 목협씨가 한성 남쪽지역에 기반을 둔 세력임을 시사한다.

사씨와 연씨는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뒤에 급성장한 세력이다. 따라서 사씨와 연씨의 근거지는 웅진(충남 공주), 사비( ; 충남 부여)에서 가까운 금강유역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사씨는 사비로 천도한 뒤 왕비를 배출하고 사택지적()이 대좌평()에 오르는 등 최고의 귀족가문으로 성장하였다.


의의와 평가

백제의 대성8족이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정립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수 없다. 다만, 이른바 대성 8족을 처음 소개한 것이 7세기 중엽에 편찬된 『수서』「백제전」이라는 점, 한성()도읍기의 유력 귀족들 중 우씨()를 비롯한 일부 성씨가 빠지고 대신 웅진()도읍기 이후에 새로이 귀족가문으로 발돋움한 사씨()․연씨() 등이 포함된 점, 한성~웅진도읍기에 왕실의 외척으로서 정권을 좌우하던 해씨와 진씨의 나열순서가 중간으로 밀려나고 사비()도읍기에 왕실 외척으로 급부상한 사씨가 가장 먼저 적힌 점 등을 감안하면 사비 천도 이후에 성립했을 개연성이 가장 높다.


[네이버 지식백과] 대성팔족 [大姓八族]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99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03 [기타] 백제 대성팔족 관심병자 05-25 2336
802 [기타] 당나라 최강의 번진을 세운 고구려 유민 (5) 관심병자 07-06 2330
801 [기타] 고조선과 동시대의 진국(辰國) ? (1) 관심병자 05-17 2314
800 [기타] 현 중국의 조상은 동이(東夷) 구족(九族) 중 사이 (四… (3) 관심병자 06-16 2312
799 [기타] 고구려 고씨 관심병자 05-25 2309
798 [기타] 선비족 (4) 관심병자 05-28 2309
797 [기타] 중-올림픽 앞두고 선수들에게 자국산 고기금지령 (4) 관심병자 04-16 2303
796 [기타] 황룡사 9층탑에서 엿보는 신라인의 사고 관심병자 03-30 2296
795 [기타] 유목민, 고구려 기병이 강했던 이유 (4) 관심병자 09-05 2291
794 [기타] 역사를 새로 쓰게 한 발견-대동여지도 목판 (1) 관심병자 03-12 2286
793 [기타] 화투 속 그림들의 진짜 정체 (1) 관심병자 12-22 2272
792 [기타] 임진왜란 평양성 전투 (2) 관심병자 05-15 2264
791 [기타] 일본이 팔아먹은 한국영토 빼앗길까 전전긍긍 거짓… (2) 관심병자 10-03 2262
790 [기타] 몽골에 대해 (4) 관심병자 02-21 2249
789 [기타]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패전사-유재흥 (3) 관심병자 06-10 2248
788 [기타] 해동역사 세기 동이총기 (2) 관심병자 01-05 2248
787 [기타] 홍산문화-7층짜리 거대 피라미드는 ‘판도라 상자’ (1) 관심병자 08-30 2246
786 [기타] 낙랑에 대한 현재 강단의 입장(통설) (5) 관심병자 02-03 2241
785 [기타] 삼조선 분립의 시작 - 조선상고사 (2) 관심병자 07-08 2240
784 [기타] 고구려, 몽골, 청나라의 유사한 신화 (5) 관심병자 03-12 2240
783 [기타] 미국에 처음 방문한 조선 선비들이 겪은 일 (1) 관심병자 12-14 2236
782 [기타] 몽골의 '메르겐'과 '활 잘 쏘는 사람' 관심병자 07-14 2235
781 [기타] 구한말 인구폭증 (4) 관심병자 10-29 2233
780 [기타] 영화 '장사리 : 잊혀진 영웅들' 배경지식 총정… (1) 관심병자 09-29 2231
779 [기타] "Tengri"[텡리], '"波乃留"[하늘]을 알면 "환국(桓國)"… (2) 관심병자 08-10 2229
778 [기타] 고조선은 멸망이 아니라 와해 되었다 (8) 관심병자 10-27 2226
777 [기타] 1965 한일 청구권 협정 (전문) 관심병자 08-08 221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