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5 22:12
[한국사] 경주의 왕릉은 신라 왕릉이 맞을까 ?
 글쓴이 : 도배시러
조회 : 1,880  

● 삼국사기 신라 왕릉 위치 문헌 자료

혁거세 61년(서기 4) 봄 3월 사릉(蛇陵)에 장사 지냈으니, 담암사(曇巖寺) 북쪽에 있다.

남해 21년(서기 24), 가을 9월, 사릉원(蛇陵園)에 장사 지냈다.

유리 34년(서기 57) 겨울 10월, 사릉원(蛇陵園)에 장사 지냈다.

탈해 24년(서기 80) 가을 8월, 성의 북쪽 양정(壤井) 언덕에 장사 지냈다.

파사 33년(서기 112) 겨울 10월, 사릉원(蛇陵園)에 장사 지냈다.

미추 23년(서기 284) 겨울 10월, 대릉(大陵)[또는 죽장릉(竹長陵)이라고도 한다.]에 장사 지냈다.

법흥 27년(서기 540) 가을 7월, 시호를 법흥(法興)이라 하고, 애공사(哀公寺) 북쪽 봉우리에 장사 지냈다.

진흥 37년 가을 8월, 시호를 진흥(眞興)이라 하고 애공사(哀公寺) 북쪽 봉우리에 장사 지냈다. 

진지 4년(서기 579) 가을 7월, 시호를 진지(眞智)라 하고 영경사(永敬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진평 54년(서기 632) 봄 정월, 시호를 진평(眞平)이라 하고, 한지(漢只)에 장사 지냈다.

선덕 16년(서기 647) 8월, 시호를 선덕(善德)이라 하고 낭산(狼山)에 장사 지냈다.

진덕 8년(서기 654) 봄 3월, 시호를 진덕(眞德)이라 하고 사량부(沙梁部)에 장사 지냈다.

태종무열왕 8년 6월 시호를 무열(武烈)이라 하고, 영경사(永敬寺)의 북쪽에 장사 지냈다.

문무 21년 가을 7월 시호를 문무(文武)라 하고 여러 신하들이 유언에 따라 동해 어귀의 큰 바위에 장사 지냈다. 

                  ... 그 바위를 가리켜 대왕석(大王石)이라 불렀다. 

신문 12년 가을 7월, 시호를 신문(神文)이라 하고 낭산(狼山) 동쪽에 장사 하였다.

효소 11년(서기 702) 가을 7월, 시호를 효소(孝昭)라 하고 망덕사(望德寺) 동쪽에 장사 지냈다

성덕 36년(서기 737) 봄 2월, 시호를 성덕(聖德)이라 하고 이거사(移車寺) 남쪽에 장사 지냈다.

효성 6년(서기 742) 여름 5월 시호를 효성(孝成)이라 하였다. 관을 법류사(法流寺) 남쪽에서 불에 태우고 유골을 동해에 뿌렸다.

경덕 24년(서기 765) 6월, 시호를 경덕(景德)이라 하고 모지사(毛祇寺) 서쪽 언덕에 장사 지냈다

원성 14년(서기 798) 겨울 12월 29일, 시호를 원성(元聖)이라 하고, 봉덕사(奉德寺) 남쪽에서 화장하였다.

헌덕 18년(서기 826) 겨울 10월, 시호를 헌덕(憲德)이라 하고, 천림사(泉林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흥덕 11년(서기 836) 겨울 12월, 시호를 흥덕(興德)이라 하였다. 조정에서는 임금의 유언에 따라 장화왕비(章和王妃)의 능에 합장하였다.

희강 3년(서기 838) 봄 정월, 자결하였다. 시호를 희강(僖康)이라 하고 소산(蘇山)에 장사 지냈다.

신무왕 839 시호를 신무(神武)라 하고, 제형산(弟兄山) 서북쪽에 장사 지냈다.

문성 19년  시호를 문성(文聖)이라 하고, 공작지(孔雀趾)에 장사 지냈다.

헌안 5년(서기 861)  시호를 헌안(憲安)이라 하고, 공작지(孔雀趾)에 장사 지냈다.

헌강 12년 가을 7월  시호를 헌강(憲康)이라 하고, 보리사(菩提寺) 동남쪽에 장사 지냈다.

정강 2년(서기 887) 가을 7월 시호를 정강(定康)이라 하고, 보리사(菩提寺) 동남쪽에 장사 지냈다.

진성 11년(서기 897) 겨울 12월  시호를 진성(眞聖)이라 하고, 황산(黃山)에 장사 지냈다.

효공 16년(서기 912) 여름 4월, 시호를 효공(孝恭)이라 하고, 사자사(師子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신덕 6년(서기 917) 가을 7월, 시호를 신덕(神德)이라 하고, 죽성(竹城)에 장사 지냈다.

경명 8년(서기 924) 가을 8월, 시호를 경명(景明)이라 하고, 황복사(黃福寺) 북쪽에 장사 지냈다.



■ 삼국사기 신라 왕릉의 위치 ■


● 산 묘지 5
낭산(狼山) 2, 소산(蘇山) 1, 제형산(弟兄山) 1, 황산(黃山) 1

○ 절터 부근의 묘지 13
애공사(哀公寺) 2, 영경사(永敬寺) 2, 망덕사(望德寺) 1, 이거사(移車寺) 1, 
모지사(毛祇寺) 1, 봉덕사(奉德寺) 1, 천림사(泉林寺) 1, 보리사(菩提寺) 2
사자사(師子寺) 1, 황복사(黃福寺) 1

● 공동 묘지 5
사릉(蛇陵) 4, 대릉(大陵)/죽장릉(竹長陵) 1

○ 기타 묘지 9
한지(漢只) 1, 사량부(沙梁部) 1, 공작지(孔雀趾) 2, 죽성(竹城) 1, 
성의 북쪽 양정(壤井) 1, 동해 바다 2, 부부합장 1

※ 매장지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는 제외합니다.

암튼 여기저기 골고루 왕의 시신을 매장한게 아닌가 싶네요.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집정관 18-05-06 00:55
   
그럼 경주에 있는 왕릉은 어느 나라의 왕릉인가요?
     
도배시러 18-05-06 00:58
   
유물 위치와 기록 위치가 다르면 ? 신라 왕릉은 아니다.... 라고 해도 됩니다.
그냥 신라 고분군이 되는것이죠.

고구려 집안 피라미드 고분군도 모두 왕릉은 아닙니다.
고구려 왕의 무덤도 여기저기에 매장한 기록이 있습니다.

경주 고분군을 경주 왕릉이라 오해하는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북명 18-05-09 22:48
   
의문이 나면 처음부터 새로 조사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그게 안됨.
도대체 삼국은 어디에 있었길래... 특히 신라는 전세계와 다 관련이 있는나라임
신라 너 도대체 정체가 뭐냐?
 
 
Total 5,29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45 [한국사] 치욕의 일제건물 사진 모음 (6) 히스토리2 05-07 2546
2944 [한국사] 만주국 과 간도청 설치운동(한국민 자치령 수립운동) (3) 히스토리2 05-06 2466
2943 [한국사] 러시아의 추위보다 추운 것(펌) (3) 고이왕 05-06 2286
2942 [한국사] 조선 무과 시험 과목들 (2) 고이왕 05-06 2076
2941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10
2940 [한국사] 근대 평양의 모습 (2) 히스토리2 05-06 1883
2939 [한국사] 개화기 사진들 (2) 히스토리2 05-06 1449
2938 [한국사] (최신) 거북선의 실제 원형 모습 추정되는 그림 (2) 히스토리2 05-06 3459
2937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82
2936 [한국사] 한국의 마타하리 ...다야마 사다코 (2) 히스토리2 05-06 1735
2935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72
2934 [한국사] 경주의 왕릉은 신라 왕릉이 맞을까 ? (3) 도배시러 05-05 1881
2933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24
2932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9) 감방친구 05-05 2258
2931 [한국사] 거란 동경도 실제 영역 감방친구 05-05 2532
2930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95
2929 [한국사]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이방인 "헐버트"[대한… (6) 히스토리2 05-04 3283
2928 [한국사] 미국공주 앨리스(미친...년) 와 한국을 진정으로 사랑… (4) 히스토리2 05-04 2341
2927 [한국사] 거란 동경도 교치상과 고려의 서북계 (3) 감방친구 05-04 1516
2926 [한국사] 개인 소장품 정리 (2) 히스토리2 05-04 818
2925 [한국사] 고구려의 금관 발견기 2 히스토리2 05-04 1803
2924 [한국사] 고구려의 금관 발견기 1 히스토리2 05-04 1279
2923 [한국사] 소소한 역사산책...헌법재판소, 황궁우, 그리고 운현… 히스토리2 05-04 848
2922 [한국사] 조선왕실의 마지막 운명과 이구씨의 삶 (1) 히스토리2 05-04 1195
2921 [한국사] 조선 정조시대 군복 (3) 고이왕 05-03 2281
2920 [한국사] 위엄찬 수문장 사진 (2) 고이왕 05-03 1856
2919 [한국사] 거란 국경수비대 배치 기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7) 감방친구 05-03 2079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