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06 18:09
[한국사] 조선 무과 시험 과목들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2,075  

시험과목 - 무과는 활쏘기 주종목


무과는 처음에는 무예 6기와 강서 등 모두 7기예를 시험보았다.


 즉 목전(나무살 쏘기), 철전(쇠살 쏘기), 편전(애기살 쏘기), 기사(마상궁술), 기창(마상창술), 격구 등이다. 그 가운데 목전과 철전은 과락제가 있어 3발 중 1발 이상 마쳐야 다음 과목을 치룰 수 있었다. 


강서는 사서오경중 1서, 무경칠서중 1서, 통감․병요․장감박의․무경․소학 중 1서, 경국대전 등이다. 


이들 과목은 격구의 예처럼, 기초무예의 능력을 평가하는 성격이 강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간단하고도 실전적인 무예가 강조되었다.


 조총․편추(마상편곤)․관혁․유엽전 등의 새로운 무예가 추가되고, 표적을 쏘던 기사는 허수아비를 맞추는 기추로 바뀌었다. 임진왜란 이후 왜검을 비롯한 많은 검술과 창술 등이 연마되었지만, 정식 과목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 그 결과 『속대전』에는 모두 11기로 정비되었다. 식년시와 증광시가 11기를 모두 시험 본 반면에 각종 별시는 11기의 과목 중 2➰3기를 시험보았다. 무과의 11기 과목을 구분해 보면, 궁술(목전, 철전, 편전, 관혁, 유엽전), 기마무예(기창, 기추, 편추, 격구), 조총, 강서 등을 시험 본 셈이다. 무과 11과목 중 특히 활쏘기가 모두 6기(기추 포함)로 절반이 넘는다. 실제 각종 별시무과에서 채택된 2➰3 과목의 대부분은 활쏘기였다. 궁술 중심의 무과시험은 무과가 폐지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무과에서 활쏘기를 이처럼 강조한 까닭은 기본적으로 전술보다는 전략이 우선이라는 유교적 전쟁관과 함께 ‘육예(六藝)’ 의 하나로 인식한 때문이었다. 동시에 북방민족과의 투쟁에서 익혀 온 궁술이 ‘조선의 장기’ 였던 점도 작용하였다. 그리하여 ‘조선의 무예’ 하면 곧 ‘활쏘기’를 의미하였고. 동시에 ‘조선의 무사’ 라 하면 곧 ‘활을 잘 쏘는 무인’을 뜻하는 말로 인식되었다. 또한 무과에 강서를 보는 까닭은 문무를 겸비한 무장을 양성하기 위해서였다. 병서를 통해 지략을, 유교경전을 통해 관리로서의 소양을 갖추게 한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양반자제들이 무과에 쉽게 진출하는 발판이 되었다. 말을 이용한 기마무예가 많은 것도 경제력이 있는 양반에게 보다 유리한 시험과목이었다. 

http://noriyon.co.kr/bbs/board.php?bo_table=sub04_01&wr_id=212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히스토리2 18-05-06 20:36
   
무과도 양반에게 유리하게 만들었군요.... 좋은 자료 항상 감사드립니다.
6시내고환 18-05-06 23:07
   
역시 활의 민족 ㅋㅋㅋ
 
 
Total 5,29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945 [한국사] 치욕의 일제건물 사진 모음 (6) 히스토리2 05-07 2546
2944 [한국사] 만주국 과 간도청 설치운동(한국민 자치령 수립운동) (3) 히스토리2 05-06 2466
2943 [한국사] 러시아의 추위보다 추운 것(펌) (3) 고이왕 05-06 2286
2942 [한국사] 조선 무과 시험 과목들 (2) 고이왕 05-06 2076
2941 [한국사] 봉오동 전투 홍범도 장군의 ‘쓸쓸한’ 말년 (2) 히스토리2 05-06 2710
2940 [한국사] 근대 평양의 모습 (2) 히스토리2 05-06 1883
2939 [한국사] 개화기 사진들 (2) 히스토리2 05-06 1449
2938 [한국사] (최신) 거북선의 실제 원형 모습 추정되는 그림 (2) 히스토리2 05-06 3459
2937 [한국사] 백제의 명광개(황칠갑옷) (2) 히스토리2 05-06 3982
2936 [한국사] 한국의 마타하리 ...다야마 사다코 (2) 히스토리2 05-06 1735
2935 [한국사] 백제 멸망후 5도독부 명칭, 덕과 득 (5) 도배시러 05-06 1572
2934 [한국사] 경주의 왕릉은 신라 왕릉이 맞을까 ? (3) 도배시러 05-05 1879
2933 [한국사] 비사성이 현 대련시라는 근거를 알려주세요 (20) 감방친구 05-05 2724
2932 [한국사] 위성 지형도를 통한 거란/고려 접경지의 이해 (9) 감방친구 05-05 2258
2931 [한국사] 거란 동경도 실제 영역 감방친구 05-05 2532
2930 [한국사] 발해 5경의 위치 (6) 감방친구 05-05 2695
2929 [한국사]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이방인 "헐버트"[대한… (6) 히스토리2 05-04 3283
2928 [한국사] 미국공주 앨리스(미친...년) 와 한국을 진정으로 사랑… (4) 히스토리2 05-04 2341
2927 [한국사] 거란 동경도 교치상과 고려의 서북계 (3) 감방친구 05-04 1516
2926 [한국사] 개인 소장품 정리 (2) 히스토리2 05-04 817
2925 [한국사] 고구려의 금관 발견기 2 히스토리2 05-04 1803
2924 [한국사] 고구려의 금관 발견기 1 히스토리2 05-04 1279
2923 [한국사] 소소한 역사산책...헌법재판소, 황궁우, 그리고 운현… 히스토리2 05-04 848
2922 [한국사] 조선왕실의 마지막 운명과 이구씨의 삶 (1) 히스토리2 05-04 1195
2921 [한국사] 조선 정조시대 군복 (3) 고이왕 05-03 2281
2920 [한국사] 위엄찬 수문장 사진 (2) 고이왕 05-03 1856
2919 [한국사] 거란 국경수비대 배치 기록을 통한 고려 전기 서북계… (7) 감방친구 05-03 2079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