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1-30 13:04
[한국사] 역사퍼즐과 고려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2,187  

고려의 북계 영토와 그 지명이 혼탁해진 것은
금ㆍ원 시대 200여 년을 거치면서로 보여집니다

고려사와 그 후대의 조선왕조실록, 동국통감 등의 사서는 왕건의 평양이 고구려의 평양이요 선인왕검의 왕험성이라 적고 있으나
1) 삼국사기 근거, 신라는 고구려의 평양을 신라 영토로 편입한 사실이 없으며
2) 고구려 평양에 설치하고자 한 당나라 안동도호부는 실제 평양에 설치되지 못 했으며
3) 고구려 평양 지역은 곧 발해의 영토가 되었으며
4) 평양이라는 지명이 고구려 평양을 제하고도 여러 곳 등장하며
5) 현 평양의 기자사당과 무덤은 금ㆍ원 시대와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 등의 사실 교차로서

현 평양은 고려 서경이 맞으나 고구려 평양이 아님을 고찰한 바 있습니다

압록강의 경우
1) 10세기 중반에 고려가 요동까지 진출했으며
2) 10세기 후반에 압록강 안팎에 거주한 여진족을 고려가 소개시켜 일부는 복속하고 일부는 백두산 (길림합달령) 북쪽으로 내쫓았으며
3) 그 압록강을 따라 고려가 성보를 구축했으며
4) 요가 993에 대침략하였을 시에 강화협정을 통하여 이렇게 조성된 고려 서북계에 더하여 요나라의 요심지역과 여진의 경계로서의 압록강 동쪽, 이른 바 강동6주를 고려에 할양했으며
5) 그 압록강이 요나라 요심지역과 인접하는 등의

사서 기록 교차 검증을 통하여
지금의 압록강이 저 시대 압록강이 아니라
저 시대 압록강은 혼하~태자하라는 것을 고찰한 바 있습니다

또한 고려의 북계가
잉커우~태자하/혼하~장춘~(하얼빈)~길림~목단강이라는 것을 고찰하였고

흑룡강성과 연해주 전체가 고려의 속한, 즉 간접이든 직접이든 고려의 지배를 받았을 가능성 역시 추정한 바 있습니다

명나라와 고려의 경계는
1) 현 혼하와 본계 사이의 봉집현으로
2) 이 봉집현을 중심으로 동서 500리를 두 나라가 접했으며
3) 명나라는 여말선초 우리의 영역을 봉집현과 길림합달령 이남으로 인식했으며
4) 조선의 국력 약해지고 명나라의 지배질서에 순응하면서, 또 조선에 복속한 여진족이 명나라로 이탈하면서 조선의 북계가 봉집현에서 봉황성으로 축소가 되고 두만강 이북 지역 역시 지배력을 상실하면서
5) 16세기를 거쳐 17세기에는 현 압록강~두만강으로 북계가 고착되는 과정을 고찰하였습니다

고려시대의 고려에 영토사를 집중 연구하면
아래로는 조선시대 영토사,
위로는 발해, 고구려 영토사를 추적할 수 있으며

나아가 대륙백제와 삼조선, 위만조선의 위치 역시 그 윤곽을 잡아갈 수 있습니다

요하의 위치 변화,
유성과 룡성의 위치 변화,
패수의 위치 등을 고찰하는 것 역시 매우 심대히 요구된다 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ttender 18-01-30 13:16
   
감방친구님 고생하십니다 그래도 응원하고 있습니다 힘내세요!!!!!’(아....참고로 삼국유사 민음사 양장본은 가격이 너무 부담이 되서 대신 민음사 세계문학전집판 12000원 짜리 삼국유사로 샀습니다 ^^;;;;; 싼게 마음에 걸리지만, 뭐....내용 누락 같은것은 없겠....죠....!!!????)
     
감방친구 18-01-30 13:18
   
내용 누락은 제가 안 봐서 모르겠습니다 ;;
     
감방친구 18-01-30 13:19
   
     
감방친구 18-01-30 13:22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http://www.koreanhistory.or.kr/
     
감방친구 18-01-30 13:26
   
저는 위의 해당 사서의 링크를 스마트폰 바탕화면에 바로가기 해놓고
수시로 찾아 읽고 있습니다
감방친구 18-01-30 13:54
   
중국사서의 경우 도배시러님의 게시글을 참고하세요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61848&sca=&sfl=mb_id%2C1&stx=likone
 
 
Total 7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6 [한국사] 고려사 지리지와 요사 지리지 (25) 감방친구 02-03 2210
505 [한국사] 초ㆍ중기 백제 위치의 재조정 (10) 감방친구 05-31 2205
504 [한국사] 요수(遼水) 연구 초(礎) 二 (1) 감방친구 04-25 2196
503 [한국사] 평양 보성리 고분 발굴의 의의 (10) 감방친구 09-22 2190
502 [한국사] 낙랑 관련 삼국사기 기록 정리 (19) 감방친구 06-10 2190
501 [한국사] 고조선의 고고학적 검토를 위한 연습 (6) 감방친구 08-23 2188
500 [한국사] 역사퍼즐과 고려 (6) 감방친구 01-30 2188
499 [한국사] <훈민정음> 창제원리 ㅡ 이런 사람도 다 있네 (4) 감방친구 05-04 2187
498 [한국사] 중국정사외국전 국역 거란/해 관련 기록 발췌 정리2 (4) 감방친구 12-03 2186
497 [한국사] 염수(鹽水)와 염난수(鹽難水) 추적 1부 (4) 감방친구 01-24 2184
496 [한국사] 역사정신에 병이 들면 뿌리까지 썩는 법 (5) 감방친구 09-25 2181
495 [한국사] 여진족의 한국사 편입 (12) 감방친구 10-22 2179
494 [한국사] 수경주에서의 형 (山 + 刑)산 (14) 감방친구 02-28 2169
493 [한국사] 발해의 역사적 성분과 귀속의 문제에 대한 소견 (3) 감방친구 12-05 2169
492 [한국사] 거란 동경의 이치(移置) 고찰 (4) 감방친구 03-22 2164
491 [기타] 인격 모욕은 범죄입니다 (25) 감방친구 12-07 2158
490 [한국사] 고조선과 택견 (2) 감방친구 09-30 2155
489 [한국사] 임삭궁(臨朔宮)과 임유궁(臨渝宮) 감방친구 11-13 2149
488 [한국사] 대구(大丘)의 지명유래에서 구(丘)와 구(句)의 성격 … (1) 감방친구 04-05 2145
487 [한국사] 당 태종은 해안 경로를 따라 고구려를 침공했는가 (6) 감방친구 02-12 2136
486 [한국사] 그래서 요양(遼陽)은 어디인가 (1) 감방친구 04-17 2135
485 [한국사] 기원전 3세기 고조선의 강역 (염철론과 사기) (8) 감방친구 06-07 2118
484 [한국사] 북위(北魏) 영주(營州) 계명산(鷄鳴山) 고(考) (9) 감방친구 01-04 2117
483 [한국사] 삼국사기 지리지로 본 평양 (5) 감방친구 12-04 2116
482 [한국사] 고대 동북아 국경은 ‘선’이 아니라 ‘면’이었다 (9) 감방친구 12-29 2113
481 [한국사] 다문화 문제의 기원 (28) 감방친구 01-14 2113
480 [한국사] 대명일통지 외이편 조선국&압록강 (36) 감방친구 11-01 2113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