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1 06:54
[한국사] 거란(요) 동경의 교치상 추정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850  

거란동경교치상.jpg

거란의 동경은 본래 남경에 있었습니다

동단국이 남경으로 옮겨오면서 남경을 동단국 수도로 삼았습니다

이 때에 발해인들을 현 태자하/혼하 지대에 대거 사민하는데

이들은 훗날 숙여진을 형성합니다


거란은 송으로부터 연운 16주를 얻어내면서 이 지역을 남경으로 삼고 본래의 남경은 동경으로 삼습니다

거란의 동경이 본래 남경 자리에서 훗날의 동경 자리로 그 중심이 옮겨 간 때는

동단국이 남경으로 옮겨진 거란 태종(926~947)가 1차,

여진과 고려 정벌 전쟁을 활발히 벌이며 폐지 되었던 여러 주와 군을 재설치하거나 교치하는 작업을 많이 한

거란 성종(982~1031)가 2차로 생각됩니다

특히 거란 성종 때에 본래의 남경 관할의 행정구역을 요심 지역으로 다수 교치해 기존 동단국의 영토를 회복하려는 노력을 꾀하였다 생각됩니다

거란의 본래 남경 자리, 즉 제가 지도상에 남경1/동경1로 표시한 지역은 발해 동평부 지역으로, 거란 태조 야율아보기가 요주 동평군, 태종이 요주 시평군으로 삼았던 곳입니다

이 지역은 발해가 멸망하기 이전에 이미 거란의 땅이 되었던 곳으로 요사에 따르면 발해 영토 가운데에 야율아보기가 가장 먼저 빼앗은 곳이 이곳입니다

거란 태조 야율아보기의 장남, 즉 태자이자 동단국의 왕이었던 야율배는 의무려산에서 신선놀음을 즐겼습니다

이 말은 본래 동단국이 옮겨진 남경 지역이 의무려산 근처에 있었다는 방증이라 생각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04-21 07:12
   
동단국은 거란 남경을 수도로 삼은 후 그 성을 역시 천복성이라 하는데 문이 총 8 개로 그 문의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八門, 東曰迎陽, 東南曰韶陽, 南曰龍原, 西南曰顯徳, 西曰大順, 西北曰大遼, 北曰懐逺, 東北曰安逺.  <요사 지리지>

북쪽은 회원, 동북쪽은 안원, 남쪽은 용원, 서남은 현덕으로 하였습니다
이들은 발해의 지방행정부의 이름입니다
감방친구 18-04-21 07:18
   
학계 통설에서는 이를 근거로 발해 지방행정부 위치를 비정했는데
이 이름의 8문은 동단국이 남경 자리로 옮겨온 후에 건립된 것입니다
감방친구 18-04-21 07:20
   
발해의 동평부였던 거란 요주 동평군(훗날 시평군) 위치로 동단국이 옮겨온 뒤에 이곳이 남경으로 승격되었고
뒤에 송으로부터 현 북경지역인 연운 16주를 얻자 이 지역을 남경으로 하고 본래의 남경을 동경으로 한 것입니다
 
 
Total 5,29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63 [한국사] 경기 하남서 발견된 ‘백제 최고위층 석실 무덤’…… (10) 꼬마러브 04-23 1970
2862 [한국사] 비오는 날 가보고 싶은 근대 건축물들 히스토리2 04-23 943
2861 [한국사] 몹시 혼란스럽고 복잡하네요 (1) 감방친구 04-23 1029
2860 [한국사] 역사는 현재를 위해 존재해야 한다. (14) 히스토리2 04-22 1261
2859 [한국사] 한국의 개화기 궁궐 내부 히스토리2 04-22 2976
2858 [한국사] 한국의 궁궐 (야경) (1) 히스토리2 04-22 1287
2857 [한국사] 아름다운 한국의 정원 (1) 히스토리2 04-22 1381
2856 [한국사] 아름다운 청기와 건물 산책 (2) 히스토리2 04-22 2393
2855 [한국사] 광해군의 재위기의 상징 인경궁 히스토리2 04-22 2395
2854 [한국사] 무경총요로 본 안시성과 거란 동경의 위치 (20) 감방친구 04-22 2979
2853 [한국사] 대한제국 성립 후, 황제국으로서 지정한 5악 5진 4해 4… 히스토리2 04-22 1034
2852 [한국사] 안시성과 주필산 (3) 감방친구 04-22 1325
2851 [한국사] 대명일통지로 본 고구려 각 성의 위치 (3) 감방친구 04-22 3200
2850 [한국사] 독사방여기요로 본 고구려 주요 성의 위치 (2) 감방친구 04-22 2609
2849 [한국사] 성경강역고로 본 고구려 주요 지명 위치 (3) 감방친구 04-22 1695
2848 [한국사] 고구려 음악 (6) 호랭이해 04-22 883
2847 [한국사] 인조의 삼전도 굴욕과 비교도 안되는 선조의 굴욕 (3) 히스토리2 04-22 2536
2846 [한국사] 한 요동군 양평현 관련지 (7) 감방친구 04-21 1449
2845 [한국사] 한원 동이전의 안시성 언급 기사 (8) 감방친구 04-21 1131
2844 [한국사] 한국의 영토는 남북 삼천리가 맞는가? (사천리로 기… (18) 히스토리2 04-21 2113
2843 [한국사] 소소한 역사탐방......세검정에서 백석동천을 지나 환… 히스토리2 04-21 1006
2842 [한국사] 이 그림에서 신기한걸 발견했네요... (15) 북명 04-21 1485
2841 [한국사] 후발해운동을 염두하지 않은 인하대의 고려 국경지… (23) 히스토리2 04-21 1451
2840 [한국사] 한국의 실증사학 (2) 히스토리2 04-21 766
2839 [한국사] 지형도로 본 고려 전기 북방의 이해 (3) 감방친구 04-21 1841
2838 [한국사] 거란(요) 동경의 교치상 추정 (3) 감방친구 04-21 1851
2837 [한국사] 학계 통설 비정으로 본 고려 전기 북계 (10) 감방친구 04-21 1382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