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6-29 12:32
[기타] 고려사절요에 나온 철령위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811  

『고려사절요』 제33권  

○ 박의중이 남경에서 돌아왔다. 예부(禮部)가 황제의 명을 받들어 자문(咨文)을 보내기를, “표문에 이르기를, ‘철령(鐵嶺)의 인호(人戶)에 대한 일은 조종(祖宗) 이래로 문주(文州)ㆍ화주(和州)ㆍ고주(高州)ㆍ정주(定州) 등 고을이 본래 고려에 예속되어 있었다’ 하였으니, 왕의 말대로 하면 그 땅이 고려에 예속되어야 마땅하나, 이치와 사세로 말하면 그 몇 고을의 땅을 지난날에는 원 나라에서 통치하였으니, 지금 요동에 예속되어야 마땅하고, 고려가 말하는 것을 경솔히 믿을 수 없으니, 반드시 끝까지 살피고야 말겠다. 또 고려는 큰 바다로 막히고 압록강으로 한계하여, 일찍이 옛날에는 따로 나라를 이루었으나, 중국의 역대 조정의 정벌을 자주 입은 것은 분쟁의 단서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고려는 외교를 통하여 원래 고려 땅을 찾고자 노력하였으나 명나라의 회신은 고려의 노력을 무시였다. 외교적인 노력이 무산되어 결국 양국 간에 무력대결을 일으키게 된 것이다. 결국 고려와 명나라가 외교적 마찰이 일어난 것은 원나라가 지배하였던 땅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다투는 과정에서 일어난 영토 전쟁이었다. 이것은 고려가 비록 원나라와 전쟁에서 져 고려 땅 일부를 원나라에게 점령당하였지만 언젠가는 이를 되찾기 위한 마음을 갖고 있다고 봐야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당시 고려에서 인식하는 서북방의 영토는 어디까지였나 하는 것이다. 이것은 이성계가 우왕에게 올린 상소문에서 나타나고 있다. 

『고려사절요』辛禑[三]  

○ 우리 태조가 변방을 편안히 하는 계책을 올렸다. 아뢰기를, “북계(北界)는 여진ㆍ달달ㆍ요동ㆍ심양의 지역과 서로 연하였으니, 실로 국가의 중요한 땅입니다. 비록 일이 없는 때라도 반드시 양식을 저축하고 군사를 길러 의외의 사태에 대비하여야 하겠는데, 이제 그 곳 주민들이 매양 저들의 풍속에 접하여 서로 물자를 교역하고 날마다 서로 친압하여 혼인을 맺기까지 하여 그 족속들이 저들에게 유인 당하여 가고, 또 앞잡이가 되어 들어와 약탈하기를 그치지 않으니, 입술이 없어지면 이가 시리다는 말은 동북 한 방면의 걱정일 뿐만이 아닙니다.  

이 상소를 보면 당시 고려와 원의 국경선은 지금의 중국 요녕성 어느 지방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요동과 심양 지역과 연접한다는 기록으로 봐서, 요동은 어디라고 집어서 말하기 어려우나, 지금우리가 알고 있는 광의의 요동이 아니라는 것이다. 즉 구체적인 지역명인 것이다. 왜냐하면 광의의 뜻이었다면 ‘요동’이라는 표현으로 충분하지 굳이 ‘심양’이라는 지명을 넣지 않았을 것이다. 상소의 내용은 요동, 심양을 한 축으로 놓고 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내용을 보면 고려와 원나라의 국경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압록강에서 원산만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고, 요양, 심양, 개원을 잇는 선과 맞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조선의 학자들도 그들의 태조가 올린 상소였기 때문에 함부로 손을 대지 못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 상소 내용을 액면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원나라 당시 고려의 영토는 이미 지금의 압록강을 넘어 요양, 심양과 가까운 곳에 원나라와 접경을 하고 있었던 것이다. 위에서 본바와 같이 고려는 지금의 압록강 너머에 국경선이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고려는 원나라에 빼앗긴 영토를 되찾는 노력을 했던 것이다. 고려는 명이 갓 왕조가 성립되어 아직 안정되지 않았다고 생각했던지, 명에게 반환을 요청했던 것이다. 고려의 입장에서 볼 때는 원나라가 지배하였던 동녕로 땅은 본래 고려의 영토였으니 그대로 돌려받아야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명나라의 입장은 달랐다. 이에 대하여 명나라는 역사적인 연고권은 인정하나, 지금의 명나라가 원나라 지역을 모두 지배하였으니, 당연히 옛 원나라 땅은 모두 명나라에 귀속되어야 한다는 논리였다. 이것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절요에 기록되어 있다. 고려와 명나라의 현안을 풀기 위하여 당시 명의 수도인 남경으로 박의중을 보냈고, 그는 명 황제의 답신을 가지고 돌아 왔다. 고려는 좋은 말로 영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는데, 명이 이를 거부하고 그들 나름대로 이유를 달아 반환거부의사를 분명히 할 뿐만 아니라, 철령위를 설치할 것임을 결연하게 표했다. 명나라의 이런 태도에 고려는 나름대로 대책을 강구하고 있었다.  

『고려사절요』戊辰辛禑4  

○ 최영이 여러 재상과 함께 정요위(定遼衛)를 칠까, 화친을 청할까의 가부를 의논하니, 모두 화친하자는 의논을 따랐다. 이때 요동 도사가 이사경(李思敬) 등을 보내어 압록강을 건너 방을 붙이기를, “호부가 황제의 명을 받드노라. 철령(鐵嶺) 이북ㆍ이동ㆍ이서는 원래 개원(開原)의 관할이니 여기에 속해 있던 군민(軍民)ㆍ한인(漢人)ㆍ여진ㆍ달달ㆍ고려는 종전과 같이 요동에 속한다." 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의논이 있었다. 

이것은 명나라가 고려에 선전 포고해온 것에 대한 대책회의 기록이다. 이 회의에서는 전쟁보다는 화친을 하자는 쪽으로 결말이 났다. 그러나 명나라는 신속하게 행동을 하였다. 이 내용을 분석해 보면 명은 고려까지도 복속시키고자 하였다. 고려로서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일이었고, 많은 고민을 한다. 이때 명나라에 갔던 설장수가 돌아와 구두로 명황제의 말을 전하였다. 

 『고려사절요』 제33권 신우 4(辛禑四) 

○ 설장수(偰長壽)가 남경으로부터 돌아와서 구두로 황제의 명을 전하기를, “-------- 철령(鐵嶺) 이북은 원래 원나라에 속하였으니 모두 요동에 귀속시키고, 개원ㆍ심양ㆍ신주(信州) 등처의 군사와 백성은 생업을 회복하도록 들어주라" 하였다.  

이 말에서는 '고려는 요동에 속한다'는 말은 빠졌지만, 명나라는 꾸준히 철령 이북을 자국에 귀속하겠다고 하였다. 이에 고려 조정은 다시 한 번 회의를 열었다.  

『고려사절요』 제33권 신우 4(辛禑四)  

“최영은 백관을 모아 철령 이북을 명나라에 바칠 것인가를 물었다. 모두 안 된다고 하였다. 우왕은 최영과 비밀리에 요동을 칠 것을 정하였다.  

당시 수시중(守侍中)이었던 최영은 모든 신하들을 모아 놓고 의견을 물어보았다. 이 회의에서는 당연히 고려 땅이었던 철령 이북 땅을 명나라에 내주는 것에 모두 반대하였다. 뿐만 아니라 명과의 전쟁을 준비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서북면 병마사가 급보를 해온다. 

『고려사절요』 제33권 신우 4(辛禑四)  

서북면 도안무사 최원지(崔元沚)가 보고하기를, “요동 도사가 지휘(指揮) 두 사람을 보내어 군사 1천여 명을 거느리고 와서 강계에 이르러 장차 철령위(鐵嶺衛)를 세우려 하여 요동(遼東)에서 철령에 이르기까지 역참(驛站) 70군데를 두었다." 하였다. 우가 동강에서 돌아오다가 말 위에서 울며 이르기를, “군신들이 요동을 치려는 나의 계책을 듣지 않아서 이 지경이 되게 하였다." 하고, 드디어 팔도의 군사를 징집하였다. 

고려에서 철령위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것을 한참 의논하고 있는 차에, 명에서는 확실하게 행동으로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하여 당시 고려왕은 자기의 계획에 따라주지 않은 신하들을 원망하며 바로 팔도에 징집령을 내렸다. 이것이 요동정벌의 시 발이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던 박의중을 통하여 명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통보하였다. 여기에 명나라 후군도독 왕득명을 통하여 고려에 철령위를 설치한다고 통보하였다.  

『고려사절요』 제33권 신우 4(辛禑四)  

○ 대명(大明) 후군도독부(後軍都督府)에서 요동 백호(百戶) 왕득명(王得明)을 보내와서 철령위 설치를 통고하였다. 우가 병을 칭탁하고 백관에게 명하여 교외에서 맞이하게 하였다. 판삼사사 이색(李穡)이 백관을 거느리고 득명을 맞이하여, 돌아가 황제께 잘 아뢰어 주기를 요청하였다. 득명이 말하기를, “천자의 처분에 달려 있는 것이지 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이요." 하였다. 최영이 노하여 우에게 아뢰고, 요동 군사로서 방문(榜文)을 가지고 양계(兩界)에 이른 자를 죽이니, 죽은 자가 모두 21명이나 되었다. 단지 이사경(李思敬) 등 5명만이 남았는데 영을 내려 그 지방에 머물러 두고 단속하게 했다. 

명나라는 사신을 보내 당시 고려가 가장 싫어하는 말인 철령위를 설치하였다고 전하였다. 이에 고려에서는 명나라 황제에게 다시 한 번 설득해줄 것을 당부하였는데, 사신인 왕득명은 거부하였다. 이에 최영은 우왕에게 보고하고 철령위 설치하겠다고 통고한 자들을 죽였다. 이때 죽은 자가 21명이었는데 고려는 중국 사신단을 죽인 것이므로 이는 곧 명과의 전쟁을 선포한 것과 다름이 없게 되었다.  

이것을 다시 정리해보면 철령뿐만 아니라 철령 주변의 많은 땅이 원래 고려의 것이었지만, 대몽항쟁기에는 원나라 관할이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원나라가 기울자 고려는 그 땅을 되찾으려고 하는 것이다. 하지만 명은 원나라를 대신한 것이 명나라이기 때문에, 원나라가 다스리던 땅은 바로 명나라의 땅에 속하는 것이므로 돌려줄 수 없다고 하는 것이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고려는 군사적인 행동은 피하려고 최대한 노력하였다. 요동에서 처음 사단이 났을 때만 하여도 고려는 외교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화친 쪽으로 기울었다. 하지만 명황제의 확고한 의지를 알고 고려도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책을 세우기 시작했다. 급기야는 왕득명 일행을 처단하는 것으로 명에게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었다. 그것은 한편으로 외교상으로 명나라를 설득시키는 작업이고, 다른 하나는 군사력을 동원하는 방식이었다. 결국 명나라가 무리하게 철령위를 설치한다고 통보하는 바람에 고려는 군사행동을 시작한 것이다. 


http://www.breaknews.com/sub_read.html?uid=17856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Marauder 17-06-29 12:51
   
철령위 이야기 나올때마다 궁금한게 그래서 철령위를 돌려줬답니까 안돌려줬답니까? 강단사학 이야기대로라면 철령위를 돌려줬으니 결국 철령위가 조선에게 돌아간것이되지않나요?
촐라롱콘 17-06-29 13:33
   
위 본문내용에도 나오는 명나라 사신으로 갔던 박의중이 지니고 갔던 표문내용에

철령위 위치에 대한 결정적인 단서가 존재합니다..

고려가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에 반발하여 요동정벌군을 출정시키기 전에 밀직제학 박의중에게

철령위 설치를 중지해 달라는 표문을 휴대시켜 명나라에 사신으로 보냈는데~~~

표문의 내용일부에는......

[철령은 우리 수도의 개경과 불과 3백리 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며, 공험진을 국경으로 삼은 것은

한두 해 전의 일이 아닙니다. 제 부친(공민왕)때 다행히 현명하신 황제(주원장)의 치세를 만나 제후의

직책을 성실히 수행했으며 우리 땅도 상국의 판도에 편입된 바 있습니다.

이제 미천한 이 몸(우왕)에게 각별한 은총을 베푸시어 특별히 조서를 내려주심으로써 일시동인(一視同仁)

의 혜택을 누리게 해 주셨습니다. 옆드려 바라옵건데 폐하(주원장)께서는 넓으신 도량으로 저희를

감싸주시고 도타운 덕으로 어루만져주시며 앞에 든 몇 주의 땅을 저희나라 영토로 인정해 주십시오.

그리하면 저는(우왕) 나라를 다시 일으켜 주신 은혜에 감읍하며 늘 폐하(주원장)의 만수무강을 축원할

것입니다]

박의중은 고려에서 우왕이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쫓겨난 이후 시기에 귀국했으니....

아마도 명나라 입장에서 고려에서 이성계를 위시한 친명세력이 정권을 잡은 마당에, 명나라에서는 머나먼

변방인(당시 명나라 수도는 양자강 유역의 남경) 철령위 문제로 고려와 다투는 것이 국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명은 고려의 위화도 회군 이후 압록강 이북으로 후퇴해서 강계의 대안인 황성(黃城)에 설치했다가,

뒤이어 봉집현(奉集縣)으로 옮겼다가.... 1398년 지금의 요녕성 철령시(랴오닝성 톄링시)로 옮겼습니다.

만약 철령위가 압록강 이북이라면 표문에 개경에서 300리가 아니라 최소 1,000리이상

이라고 표현했겠지요!!!  개경에서 300리라면 함경도-강원도 접경의 철령이 실제거리와

부합합니다만......

그리고 명나라가 철령위 설치를 통보하러

고려지경인 강계(압록강 이남)까지 병력 1,000명을 대동하고 왔다고 하는데,

이는 다시말해 당시 압록강 이북지역은 명나라 관할이었다는 논리가 자연스럽게 성립됩니다.

비무장 사신단도 아니고 병력 1,000명에 달하는 인원을 자국안의 한참 안쪽 지역까지

들어오게 허용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Marauder 17-06-29 13:39
   
앞에부분 300리는 이치에 맞지만 뒤에 천여명의 경우 철령위가 어디에있건 압록 이북지역은 이미 명나라 관활이 되었으므로 별 상관없는 이야기인듯합니다.
 
 
Total 19,9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5913
19792 [한국사] 고려 후기 의주의 영토: 형제산, 청수구자 (지도 첨부 (3) 보리스진 11-03 1001
19791 [기타] 우리가 알고 있던 고구려 평양성은 가짜다! 원사(元… (1) 관심병자 11-02 944
19790 [한국사] [FACT] 역사 유튜버중에 이분만큼 정리 잘하는 사람 없… (1) 아비바스 11-01 1007
19789 [기타] 일제 강점기 지명 변경 (1) 관심병자 10-31 1013
19788 [기타] 한반도로 줄어든, 우리영토의 비밀 (4) 관심병자 10-30 1094
19787 [기타] 동이족의 어원은 퉁구스이며 아홉 개의 한국을 의미 관심병자 10-30 743
19786 [한국사] 학자들이 주장하는 고조선 영토 아비바스 10-28 1121
19785 [한국사] 고조선은 초기부터 굉장히 강성했었다. (3) 아비바스 10-28 951
19784 [기타] 한민족 고대 국가 가설 관심병자 10-24 1076
19783 [중국] 허풍 삼국지의 실제영토를 까발린다 (유비관우장비) … (6) 레종 10-17 2353
19782 [한국사] 고려시대 역참 이리간을 통해서 본 압록강 위치(지도… (1) 보리스진 10-15 1580
19781 [일본] 조선에 건너온 왜군이 대부분의 시간을 바닷가에 성 … (2) 전략설계2 10-15 1612
19780 [기타] 진국왕-징기칸-징기즈칸으로 (1) 관심병자 10-10 1148
19779 [한국사] [ KBS 다큐 ] - 제 5 의 문명, 요하문명(遼河文明) (1) 아비바스 10-08 998
19778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고조선(古朝鮮)이 건국연… 아비바스 10-08 815
19777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한민족의 피라미드형 무… 아비바스 10-08 743
19776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요하문명(遼河文明)을 말… 아비바스 10-08 768
19775 [한국사] 우실하 교수, 요하문명과 고조선(古朝鮮)을 우리에게… 아비바스 10-08 740
19774 [기타] 중국 사극" 대명풍화" 에서 거론된 흉노의 청동봉황 (5) 조지아나 10-04 1681
19773 [한국사] [ 고조선제국(古朝鮮) ] 화북, 산동, 양쯔강까지 지배… (1) 아비바스 10-03 1139
19772 [한국사] 우실하 교수의 대 고조선 ( 大 古朝鮮 ) 명강의 1부 ~ 4… (1) 아비바스 09-25 1154
19771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와 중국어가 뿌리부터 다른 이… (7) 아비바스 09-21 1549
19770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 기원, 9000년전 "요하문명" 서요… (3) 아비바스 09-21 1166
19769 [한국사] 네이처(NATURE) - 요하문명은 한국인과 어떤 관계가 있… (3) 아비바스 09-21 1052
19768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는 9000년 전, 서요하의 농경민 (1) 아비바스 09-21 931
19767 [한국사] 네이처(NATURE) -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 (1) 아비바스 09-21 833
19766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인의 기원은 요서, "트랜스유라시… (21) 아비바스 09-18 155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