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11-06 00:32
[한국사] 현재 요하와 압록강의 강폭 비교사진
 글쓴이 : 도배시러
조회 : 2,290  

.
> 압록강 신의주의 강폭
20171106_002346.jpg
.
.
> 요하가 범람할때의 강폭 - 다리, 교각 부근 캡쳐
20171106_002652.jpg
.
.
0.7 km VS 2.55 km

신의주는 도시와 도시 사이에 위치한 강폭 : 압록강 하류

요하는 다리의 시작과 끝 위치 : 요하 중류의 강폭 (요중 부근)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7-11-06 00:39
   
요하는 고구려시대(혹은 위만조선)부터 말 그대로 천혜의 해자 (천참) 이었죠

하류는
요택이 생겨 건너기 어렵고
배를 타고 상류까지 올라가며
상류는 구부러지고 수많은 지류가 휘감으니

그 천참이라는 비유가 여말선초에 이르러 현재의 압록강을 수식하는 말로 바뀌죠
     
도배시러 17-11-06 00:46
   
수당때에 그냥 건너려했던 중국 황제들의 깡이 장난 아닌거죠 ㅋ
북쪽 상류로 돌아가야죠. 뭐 거기에는 또 미리 대기하는 병력이 있겠지만....

중국이 물길을 바꾸는 공사를 하기 전까지는 물이 가득했었다고 하니깐 엄청 난거죠.
          
감방친구 17-11-06 00:49
   
인하대 고조선 연구소 주최 한 세미나에서 어느 여자 교수님이 발표한 영상이 있습니다
국내에서 요하의 지형환경과 그 변천을 연구한 거의 유일한 학자랩니다
     
도배시러 17-11-06 01:01
   
지금의 압록강은 조금만 상류쪽으로 건너가서 부교 몇개 띄우면 깜인데요 ?
          
감방친구 17-11-06 01:12
   
그런데 부교가 그렇게 쉬운 게 아닙니다
오죽하면 조선시대 부교설치를 조선시대 과학기술로 설명하겠어요

더구나 압록강은 유속이 거셉니다

그리고
보주는 지금의 의주로 비정됩니다

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541072&cid=46618&categoryId=46618
               
감방친구 17-11-06 01:20
   
그런데 저곳의 섬과 섬 사이, 섬과 뭍 사이라면 불가능도 아니겠다 싶습니다
                    
도배시러 17-11-06 01:38
   
그렇죠 ?
상상하는것과 눈으로 보는것은 차이가 많이 납니다.
                         
감방친구 17-11-06 01:44
   
자 그러면 4-3은 일단 해결이 됐습니다
다른 의혹도 풀어봐야겠네요
Marauder 17-11-06 01:03
   
전의 대명일통지는 약 300보로 나와있던걸로 기억하는데 압록수의 강폭을 기록한 다른기록이 있나요?
     
감방친구 17-11-06 01:23
   
압록강은 고구려 때까지는 요하를 가리키는 말이었습니다
그것이 금ㆍ원ㆍ명 시대에 이르러 점차 지금의 압록강을 가리키는 말이 된 것으로 보입니다
     
감방친구 17-11-06 01:26
   
하류가 대명일통지 기록으로는 300보, 즉 570 여 미터가 되니 실측 거리와 거의 일치하는 군요
이는 제가 틀렸습니다

허나 대명일통지의 기록은 현재의 압록강을 가리키는 것이나 그 묘사에 있어서는 전 시대의 관습적 정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는 게 제 견해였음을 거듭 확인 드립니다
          
Marauder 17-11-06 08:25
   
넵. 저번에 어떤 교수님 강의에서 고대 압록수는 폭이 엄청 넓은데 현대 압록강은 이보다 안되고 요하가 그에 비슷하다는 뉘앙스를 풍긴적이 있어서요. 아마 배를 타고 다닌댔던거같은데 더이상은 기억이 안나는군요.
               
감방친구 17-11-06 09:22
   
숲속의님 질문에 답한 제 댓글과 그 댓글에 인용된 압록강 관련 기록을 읽어보세요
숲속의소녀 17-11-06 02:15
   
감방친구님. 평소 님의 주장에 동의여부를 떠나 늘 많은 것을 배우기에 반박이 좀 조심스럽다는 점을 미리 밝히고 또  양해를 구합니다. // 전부터 친구님께서 '고구려 시기까지 압수는 요하'라고 주장하시는 것을 보았는데요. 솔직히 동의하기가 매우 힘듭니다. 복잡하게 생각할 필요 없습니다. // 만주원류고 15권에서 밝혔듯.. 압수의 압은 오리를 의미하고 이는 강 특성이 '오리머리'를 닮았기에 부쳐진 이름이다.라고 분명히 정의되어 있습니다. (髙麗圖經 鴨緑之水 源出靺鞨 其色如鴨頭 故以名之 『고려도경』 압록수는 말갈에서 발원하는데 그 빛깔이 오리머리와 같다고 하여 이름이 지어졌다) -> 요하가 압수라면 요하의 상-중-하류 중 어느 한 곳이라도 '이 강은 빛깔이 오리머리..' 운운하는 기록이 있어야 할 터인데... 전 이러한 기록이 없다는데 100원 겁니다. ^^ - 요하의 요는 '멀다'를 의미합니다. 즉 '강폭이 크다 '는 것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도배시러님의 이 발제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요하는 큰 강입니다. 압수에 비해서도 말이죠. // 결론은 '압수는 변함없이 압수요 요하는 요하 그대로' 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감방친구 17-11-06 02:51
   
아니 뭐 그렇게 조심스럽게 말씀하시니 송구스럽습니다

일단 제가 압록수/압록강을 지금의 압록강이 아니었다가 지금의 압록강이 되었다고 보게 된 것은 다음의 몇 가지 이유입니다

1. 지금의 평양이 고구려 시대의 그 평양이 아니었고, 동경요양부는 고구려의 옛 평양이었으며 또한 위만조선의 왕검성이었다 하는 인식을 갖게 되었습니다
ㅡ 하여 고려의 서경도 지금의 평양이 아닐수 있다는 심증을 가지게 됐고
ㅡ 제가 알고 있던 기자묘니 하는 게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을 알게 되면서 의혹이 더 강해진 것이죠
ㅡ 지금 평양은 고려시대 서경도 고구려시대 평양도 위만조선의 왕검성도 아니라면 그러면 압록강은 무엇이냐 히는 것이죠

2. 복기대와 이덕일 박사, 그리고 그 관련 학자들의 주장들을 수 년 간 읽고 또 강연영상으로 수회 씩 보면서 그들의 주장에 경도된 게 큽니다
ㅡ 물론 이는 중심을 잡지 못한 것이므로 자랑할 일은 아닙니다
ㅡ 특히 인하대 고조선 연구팀의 두 개의 압록강 주장이 아주 신빙성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됐습니다
ㅡ 하여 제가 직접 사료를 면밀히 보면서 검증해 보자 하면서 철령위부터 해서 강동 6주까지 오게 된 것이죠

3. 지금의 압록강이 그 압록강이 아니라는 것은 박지원의 열하일기에서 비롯됩니다 90년대에 고전읽기 열풍이 불었는데 그 때 박지원, 정약용 등이 각광을 받습니다
ㅡ 일단 박지원은 서북한 한사군설에 회의를 품는 사람이었고 특히 압록강에 대해서 그가 인용한 글이 주목을 받습니다

《황여고(皇輿考)
천하에는 세 개의 대수(大水)가 있으니, 황하(黃河), 장강(長江), 압록강(鴨綠江)이 그것인데, 압록강은 또한 외이(外夷) 지역에 있다.

또 다른 기록도 있습니다.

《조선부》
압록강은 바로 화이(華夷)의 경계가 된다.

《향조필기(香祖筆記)》
남쪽의 장강과 북쪽의 황하 두 물줄기 외에 북쪽으로 고려에 있는 것을 혼동강(混同江)이라 하고 압록강이라 하는데, 이들은 모두 먼 변방 바깥에 있어서 우(禹) 임금의 발자취가 닿지 않은 곳이다.

《장거유서(莊渠遺書)》
대지(大地)의 산맥(山脈)은 모두 곤륜산(崑崙山)을 조산(祖山)으로 삼는데, 남쪽의 산맥과 북쪽의 산맥이 가장 크다. 북쪽의 산맥은 유연(幽燕) 지방에서 끝나는데, 대하(大河)가 이곳에 이르러서 바다로 들어가 압록강과 만난다. 동쪽에는 하사(下沙)가 있는데, 이곳은 산과 물이 한 번 크게 모여 만나는 곳이다.

이러한 기록은 지금의 압록강이라 볼 수 없게 합니다.


4. 또한 요라는 말이 북쪽, 동북쪽 끝을 이르는 말인데 중원세계의 요동은 계속해여 그 세계가 커가면서 외부로 이동해 왔다고 알고 있습니다
ㅡ 하여 요수의 위치
ㅡ 하여 요동의 위치
를 시대별로 고증하는 게 뜨거운 쟁점입니다
ㅡ 하여 지금의 요하 역시 시대변천에 따라 붙여진 것이고 본래 이름은 다른 것이었으라 하는 추정이 가능한 것이죠

5. 저는 국어국문학을 전공한 사람으로 어원에 관심이 많습니다
ㅡ 십대부터 엄리대수와 압록강과 아무르가 어쩐지 비슷하다 느껴졌습니다
ㅡ 성인이 되어 보니 학자들도 그리 여기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ㅡ 즉 패수가 다양한 위치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살수의 어원이 오리무중인 것처럼
ㅡ 압록이라는 강이름도 고대에는 한 개가 아니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는 겁니다
ㅡ 압록, 한강의 옛 이름 아리수, 엄호수, 엄체수, 엄리대수, 엄수, 송화강 지류의 아리수, 아무르, 엄지손가락의 엄 등이 모두 ㅇㆍㅁ /ㅇㆍㄹ/ㅇㆍ라는 어근을 가지고 있고 이는 어라하, 으리으리하다, 우람하다, 우렁차다, 아름하다 등의 어근과 동원어임을 알 수 있습니다
ㅡ 하여 음차하여 한자로 적은 것이 많았던 시대를 염두할 때에 충분히 여러개의 압록을 상정할 수 있다고 저는 판단하는 것이죠

6. 물론 지금의 압록강을 묘사한 것이 분명해 보이는 기록이 아주 많습니다
ㅡ 신당서
ㅡ 통전
ㅡ 송사
ㅡ 대명일통지
ㅡ 명사
ㅡ 성경통지
등등

허나 이렇다 하더라도
앞의 다른 기록이 존재하고
요사와 고려사에 미심쩍은 정황이 존재한다면
따져봐서 엄밀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필요하다면 굳세게 맞서지만
사실과 타당성에는 쉽게 수긍하는 사람입니다
     
감방친구 17-11-06 02:57
   
요하의 그 요는
ㅡ 강폭이 크다는 의미에서 온 게 아닙니다
ㅡ 요동과 관계가 있습니다
ㅡ 요하는 본래 요수라 불리웠고 요수의 시대별 위치에 대해서 이견이 쟁쟁하니 확인해 보세요

압록의 압을 오리머리의 푸른빛으로 풀이한 것은 우리가 아니라 중국에 살던 사가들의 풀이입니다
ㅡ 압록이라는 말은 제가 위에 풀이했듯이 고대 당시에 중국 입장에서 동북방의 사람들이 붙인 강이름을 한자로 음차하면서 와전된 것으로 보는 게 타당하며 실제 압록계열의 강이름이 많다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숲속의소녀 17-11-06 03:40
   
아니.. 바로 그 '요동'이 '요하의 동쪽'이라는 의미이고, 그 요하의 요가 바로 그 동만주 일대에서 큰강을 의미하는 '크다, 널다'를 의미한다고 봅니다.  - 요수의 명칭 이나 별칭은 당연히 시대나 그 지역을 지배한 민족에 따라 많을 것이고 이는 자연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 그럼에도 저는 요수가 가진 그 근본적인 속성, 즉 그 일대 (동 만주)의 가장 큰 강이라는 것은 시대 불변이라 봅니다. 다시 말씀을 드리지만 이러한 의미에서도 만주에서 그 규모에서 2등도
 아닌 (아무르만 해도 뭐..) 압수 정도가 감히 결코 요수를 대신 할 만한 강이나 명칭이 될 수 없다고 봅니다. - 친구님께서 너무 무리한다고 보여집니다.
               
감방친구 17-11-06 03:45
   
만주에서 그 규모에서 2등도
 아닌 (아무르만 해도 뭐..) 압수 정도가 감히 결코 요수를 대신 할 만한 강이나 명칭이 될 수 없다고 봅니다. - 친구님께서 너무 무리한다고 보여집니다.

ㅡ 여기에서 님의 견해에 모순이 생기는 것으로 보입니다
ㅡ 이에 대해서는 제가 이미 댓글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니 다시 한번 읽어주세요
     
감방친구 17-11-06 02:59
   
100원 겁니다. ^^
ㅡ 이런 말은 아주 불쾌감을 주고 또 님에 대해서 불신을 주는 표현이므로 쓰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답변을 마쳤으니
제 답변에 대한 확인 댓글을 부탁합니다
          
숲속의소녀 17-11-06 03:29
   
감방친구님. 이 새벽에 저의 졸필에 너무 과분한 답글을 달아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아.. 그리고 "100원 겁니다. ^^"는 표현에 언잖으시도록 한데 대해 죄송하다는 말씀도 함께 전합니다. // 사실 그 표현을 쓰고 난 후 친구님이 언짢아 하시지 않을까? 사실 순간적이나마 걱정하였으나..네티즌 사이에서 설전이나 논쟁이 있을 시,  '나도 가볍게 공격하는 것이니 지나치게 무겁게는 받아들이지 말아줘' 하는 의미로 많이 사용하는지라.. 저도 그런 의미로 사용했음을 밝혀드리며 친구님을 조롱하거나 가볍게 대할 의도는 없었음을 다시 한 번 밝힙니다.
               
감방친구 17-11-06 03:37
   
잘 알겠습니다 괘념치 마시고 제가 설명한 내용에 대해서 확인 답댓글 부탁합니다
     
감방친구 17-11-06 03:22
   
덧붙이자면
저는 고대의 압록강은 지금의 요하거나 요하의 지류일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해왔지 꼭 지금의 요하다 하는 견해를 펴지는 않았음을 확인드립니다


또한
다음의, 압록강을 묘사한 비교적 초기 기록을 보십시오


《한서》
현도군(玄菟郡)의 서개마현(西蓋馬縣)에는 마자수(馬訾水)가 있다. 마자수는 서북쪽으로 흘러 염난수(鹽難水) -삼가 살펴보건대, 지금의 파저강(婆豬江)이다.- 로 들어가고, 다시 서남쪽으로 흘러 서안평(西安平)에 이르러서 바다로 들어가는데, 지나는 고을이 둘이고, 1200리를 흘러간다.

《신당서》
마자수가 있는데, 그 근원은 말갈(靺鞨)의 백산(白山)에서 나온다. 물의 빛깔이 마치 오리 머리와 같이 푸르므로 압록(鴨綠)이라고 부른다. 강물은 국내성(國內城)의 서쪽을 지나서 염난수와 합류한 다음 다시 서남쪽으로 흘러 안시(安市) 에 이르러서 바다로 들어간다. 그리고 평양은 압록강의 동남쪽에 있는데, 큰 배를 타고 건너야 하므로 이를 의지하여 참호로 삼는다.

《통전(通典)》
마자수는 일명 압록강이라고도 하는데, 그 근원은 말갈의 백산에서 나온다. 물의 빛깔이 마치 오리 머리와 같이 푸르므로 압록이라고 한 것이다. 요동에서의 거리가 500리이다. 국내성의 남쪽을 지나서 다시 서쪽으로 흐르다가 한 물과 합류하는데, 바로 염난수이다. 두 물이 합류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안평성(安平城)에 이르러서 바다로 들어간다. 고려의 물 가운데에서 이 물이 가장 커서 푸르고 맑은 물결이 일렁이며, 지나가는 나루에는 모두 대선(大船)을 놓아둔다. 그 나라에서는 이 강을 의지하여 천참(天塹)으로 삼는다. 물의 너비는 300보이다. 평양에서 서북쪽으로 450리 되는 곳에 있고, 요수(遼水)에서 동남쪽으로 480리 되는 곳에 있다


ㅡ 현재 통설은 마자수는 압록강의 옛이름, 고대의 압록강은 지금의 압록강, 염난수는 지금의 동가강이라는 것입니다
ㅡ 이는 송ㆍ명 시대를 통해 거의 고정이 되는데

위에 보이 듯이 그 전 시대의 기록은 조금씩 다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의 압록강으로 보기에는 무언가 이상합니다
그런데 이 조금씩 다른 내용들이 님이 제시한 중ㆍ근세 사서 기록에 이르면 통일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다음의 추정을 가능케 합니다
ㅡ 고대 중국에서 이 쪽 지역의 지리정보에 대해서 부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거나 부정확한 인식을 지니고 있었다
ㅡ 이것이 지리정보가 현장정보로서 확대ㆍ확보되면서 정확해졌거나
ㅡ 서로 다른 것을 이르던 명칭이 우리의 강역이 축소되고 더들의 강역이 확대되면서 오늘의 압록강과 동가강에 집중되었다

또한 요하, 요하가 포괄하는 여러 물줄기 가운데 중심줄기는 만주에서 발원해 동서로 흐르다가 큰물줄기가 되면서 서남쪽으로 쭈욱 내려옵니다
그리고 요하의 지류 중 요동반도를 흐르는 강들(이를테면 혼하)은 서남으로 흐르다가 중심줄기에 합해집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의 양상은 고대 사서가 묘사하는 마자수, 압록수와 역시 유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또 국내성이나 졸본 등은 통설로서 비정된 것이지 확고부동한 게 아닙니다
이를테면 졸본과 홀승골성으로 비정된 오녀산성의 경우 AD3세기 이전의 유물ㆍ유적이 나오지 않아서 재검토 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방친구 17-11-06 03:51
   
또한 압록강 문제에 대한 제 입장은 앞의 글 ㅡ강동 6주와 고려의 서북계ㅡ에서도 피력하였으니 한번 다시 읽어보시고 제 입장에 착오 없으시길 바랍니다


http://www.gasengi.com/m/bbs/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58115&page=0
 
 
Total 19,94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3996
19787 [기타] 동이족의 어원은 퉁구스이며 아홉 개의 한국을 의미 관심병자 10-30 734
19786 [한국사] 학자들이 주장하는 고조선 영토 아비바스 10-28 1103
19785 [한국사] 고조선은 초기부터 굉장히 강성했었다. (3) 아비바스 10-28 934
19784 [기타] 한민족 고대 국가 가설 관심병자 10-24 1062
19783 [중국] 허풍 삼국지의 실제영토를 까발린다 (유비관우장비) … (6) 레종 10-17 2330
19782 [한국사] 고려시대 역참 이리간을 통해서 본 압록강 위치(지도… (1) 보리스진 10-15 1540
19781 [일본] 조선에 건너온 왜군이 대부분의 시간을 바닷가에 성 … (2) 전략설계2 10-15 1585
19780 [기타] 진국왕-징기칸-징기즈칸으로 (1) 관심병자 10-10 1136
19779 [한국사] [ KBS 다큐 ] - 제 5 의 문명, 요하문명(遼河文明) (1) 아비바스 10-08 975
19778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고조선(古朝鮮)이 건국연… 아비바스 10-08 797
19777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한민족의 피라미드형 무… 아비바스 10-08 731
19776 [한국사] [ EBS 특강 ] - 우실하 교수 - 요하문명(遼河文明)을 말… 아비바스 10-08 745
19775 [한국사] 우실하 교수, 요하문명과 고조선(古朝鮮)을 우리에게… 아비바스 10-08 717
19774 [기타] 중국 사극" 대명풍화" 에서 거론된 흉노의 청동봉황 (5) 조지아나 10-04 1670
19773 [한국사] [ 고조선제국(古朝鮮) ] 화북, 산동, 양쯔강까지 지배… (1) 아비바스 10-03 1122
19772 [한국사] 우실하 교수의 대 고조선 ( 大 古朝鮮 ) 명강의 1부 ~ 4… (1) 아비바스 09-25 1136
19771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와 중국어가 뿌리부터 다른 이… (7) 아비바스 09-21 1529
19770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 기원, 9000년전 "요하문명" 서요… (3) 아비바스 09-21 1141
19769 [한국사] 네이처(NATURE) - 요하문명은 한국인과 어떤 관계가 있… (3) 아비바스 09-21 1030
19768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어는 9000년 전, 서요하의 농경민 (1) 아비바스 09-21 915
19767 [한국사] 네이처(NATURE) - "트랜스유라시아어족" 언어의 기원 (1) 아비바스 09-21 815
19766 [한국사] 네이처(NATURE) - 한국인의 기원은 요서, "트랜스유라시… (21) 아비바스 09-18 1529
19765 [한국사] 한국,일본은 전혀다른 유전자 금성신라 09-18 1521
19764 [한국사] 제3차 여몽동맹(한몽동맹) 진행중 ㄷㄷㄷ 금성신라 09-18 1144
19763 [한국사] 마광팔, 디씨로 돌아왔네요 (2) doprsr 09-15 981
19762 [한국사] 대고조선제국(大古朝鮮濟國) 다큐 아비바스 09-05 1303
19761 [한국사] 기황후, 천추태후 이런 사극들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 천의무봉 09-03 122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