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5-14 08:37
[한국사] 일본측이 쓴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논문 개요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1,719  

일본측에 망명한 청나라 황실 출신이 쓴 논문입니다.. 고구려를 이질적으로 보려는 전형적인 중화+일본측 만선사관이 결합된 논문입니다.. 고구려랑 발해가 단지 한국민족주의의 산물이라는 헛소리에 웃음이 나옵니다.

https://sites.google.com/site/kitangokitanmojikenkyu/the-khitais-and-jurchens-as-seen-from-the-korea-peninsula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韓半島から眺めた契丹・女真』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11 
                                                                      
한반도를 통해 바라본 거란・여진
                       Aisin Gioro Ulhicun  and  Yoshimoto Michimasa
 
목   차
 머릿말 한반도와 거란・여진 관계사의 새로운 경지                                     
 상 편
 제1장 거란어사료에 보이는 ‘고려’                                                   
   제1절 비한어사료에 나타나는 ‘고려’                                               
        1. solgor과 그 파생 형식                                                        
        2. cölgl                                                                         
        3. bökli・moukri・muquri                                                         
   제2절 한반도 이외 지역에서의 신라 국호 음운 변천                                   
   제3절 요 태조 시대의 šulwur                                                         
        1. šulwur과 거란대자『hədə-n tai pu 묘지(墓誌)』                                   
        2. šulwur과 가리키는 대상과 시대 배경                                          
   제4절 요 성종 통화(統和) 연간의 šulwur                                             
    1. šulwur과 거란소자『nahanər jaŋin ʤirgon ja dəu-n punu-n ʧaŋ ʃu 묘지명(墓誌銘)』『mos tiaud kitai gur-n bu-d nahanir-n telgen ʃimə 위지명(位誌銘)』『bu-d nahanər-n jællu'on tilug pusi 위지비명(位誌碑銘)』                                                              
    2. šulwur이 가리키는 대상과 시대 배경                                           
  제5절 요 도종 수창(壽昌) 연간의 šulwur                                              
    1. šulwur과 거란소자『ja dəu-n mo ai-n bai-n tai pu 위지비명』                        
    2. šulwur이 가리키는 대상과 시대 배경                                            
  제2장 『고려사』에 보이는 거란인                                                   
  제1절 蕭敵烈xiao tirəd과 蕭愼微xiao shen wei                                         
  제2절 蕭遜寧xiao sunin・蕭韓寧xiao qanin・蕭屈烈xiao kurər                           
  제3절 耶律思齊jælud si qi                                                           
  제4절 豪州駙馬公主hao zheu fuma gongzhu                                            
  제5절 耶律行平jælud xing ping                                                       
  제6절 耶律固jælud gug                                                             
 제3장 『삼국유사』에 보이는 ‘황룡사구층탑’                                       
  제1절 ‘황룡사구층탑’의 ‘丹國’과 거란문의 dan gur                               
  제2절 ‘東丹’은 ‘동쪽의 거란국’이 아니다                                       
  제3절 『고려사』의 ‘丹○’을 재고함                                             
  제4절 ‘황룡사구층탑’에 기재된 각국명                                           
 제4장 발해 유족의 성씨mirgir(mirgi)                                               
 하 편 
  제1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거란소자동경                                        
  제1절 『거란소자 ‘영수복창(永壽福昌)’ 동경』                                    
        1. 경뉴 윗 부분의 ur                                                          
        2. 경뉴 오른쪽 부분의 əsən                                                    
        3. 경뉴 아랫 부분의 qutug                                                     
        4. 경뉴 왼쪽 부분의 toi                                                      
  제2절 『거란소자칠언절구동경』                                                    
        1. 기구                                                                      
        2. 승구                                                                      
        3. 전구                                                                      
        4. 결구                                                                     
  제3절 거란문어휘총록                                                             
 제2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경원여진대자비』                                   
  제1절 석비 현황                                                                  
  제2절 석비의 연대와 사학적 가치                                                  
  제3절 비문 복원                                                                  
  제4절 비문 해독                                                                   
        1. 제1면                                                                    
        2. 제2면                                                                    
        3. 제3면                                                                    
        4. 제4면                                                                   
  제5절 비문어휘총록                                                               
 제3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북청여진대자석각』                                 
  제1절 금(金)의 ‘gopa’・원(元)의 ‘三散’・명(明)의 ‘北靑’                        
  제2절 석각 연대와 사학적 가치                                                    
  제3절 석각문 복원과 해독                                                          
        1. 제1행                                                                    
        2. 제2행                                                                    
        3. 제3행                                                                    
        4. 제4행                                                                    
        5. 제5행                                                                   
  제4절 석각문어휘총록                                                              
          현존 거란문・여진문 석각사료                                                
 제4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국왕주사표                                      
  제1절 만주문『조선국왕이공주사표(朝鮮國王李玜奏謝表)』                           
  제2절 만주문『조선국왕이변주사표(朝鮮國王李昪奏謝表)』                           
  부 편 『요사』지리지 동경요양부조(東京遼陽府條) 소고                               
          ─거란・고려 관계사의 한 장면─
 맺음말 『거란소자칠언절구동경』의 해독을 통해  
 
                                   
머릿말 한반도와 거란・여진 관계사의 새로운 경지

  동북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근대적 학술을 가장 먼저 도입한 것은 일본이었다. 특히 초창기 동양사학에서 가장 성행한 것은 다름아닌 동북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만선사(滿鮮史)’였다. 그러한 국책 연구의 성격 때문에 만선사 연구는 전후 기피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 고고학적 출토자료의 증대로 말미암아 동북아시아사 연구는 다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구만주를 중심으로 하는 동북아시아의 역사는 중국과 한국에서 자국사의 일부로 다루어지고 있지만, 최근 고구려사・발해사의 귀속을 둘러싼 분쟁에서 볼 수 있듯이 동북아시아사의 역사적 인식을 둘러싼 국제적 논쟁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는 주변 국가들과 영토문제로 분쟁을 겪고 있는 일본과도 결코 무관한 일이 아니다. 그러한 논쟁이 학술 연구를 활성화시킨 것은 사실이나 다른 한편으로 과도한 내셔널리즘으로 치닫는 경향도 현저하다. 역사인식 논쟁이 종종 무의미한 고착상태에 빠지고 마는 원인 가운데 하나는 사료 비판 능력의 부족에 기인한다. 10세기 이후 동아시아사 연구와 관련해서는 한자문헌과 고고학 자료에 더해 거란문자나 여진문자와 같은 동북아시아 각 민족의 고문자 자료가 출현한다. 거란과 여진이 고려와 밀접한 교류를 행했음을 생각해 볼 때 이 민족들의 고문자 자료가 지니는 결정적 중요성은 새삼스레 이야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이 책의 상편에서는 기존의 연구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았던 거란어 자료에 보이는 고려 관련 기술 및 고려 자료에 보이는 거란인에 관한 기술과 같은, 중국측의 한어 자료에 보이지 않거나 혹은 잘못 기술되어 있는 사료를 발굴해서 이들 자료에 대한 상호 비교 분석을 행한다. 그리고 하편에서는 한국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거란소자동경명문(契丹小字銅鏡銘文)・여진대자비문(女眞大字碑文)・만주문조선국왕주사표(滿洲文朝鮮國王奏謝表)를 해독해서 동북아시아사, 특히 한반도와 거란・여진・만주 관계사에 대한 1차 자료 및 최신 연구 성과를 제공한다.  
  이 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편 제1장〉: 거란문묘지(契丹文墓誌)에서 8번 출현하는 ‘šulwur’을 최초로 해독해 그 출현의 시대적 배경 및 거란과 고려 사이의 역사적 관계를 해명한다. 
  〈상편 제2장〉: 『고려사』 등 고려측 사료에 보이는 거란인 가운데 일부는 거란문묘지에도 기술되어 있다. 이와 관련된 거란문묘지의 번역를 통해 각각의 가족사를 해명한다.
  〈상편 제3장〉: 황룡사구층탑의 ‘구한(九韓)’이 10세기초 고려인들이 지녔던 한반도 주변의 정권이나 민족에 대한 인식을 반영을 것임을 해명한다.
  〈상편 제4장〉: 거란문묘지에서만 보이는 발해 성씨 ‘mirgir(mirgi)’을 해명한다. 이를 통해 『요사(遼史)』는 그를 발해 왕족 성씨 ‘대(大)’로 잘못 적고 있고, 한문묘지(漢文墓誌)는 그를 ‘소(蕭)씨’와 혼동하고 있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해 발해사 연구의 공백을 보완한다.
  〈하편 제1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거란소자동경명문(契丹小字銅鏡銘文) 세 점을 해독해서 거란어와 거란문화사와 관련된 최신 언어학적 자료를 제공한다.
  〈하편 제2장・제3장〉: 한국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2점의 여진대자석각문(女眞大字石刻文)을 해석해서 금대(金代)의 여진과 고려의 교류사에 관한 비한어(非漢語) 1차 사료를 제공한다.
  〈하편 제4장〉: 19세기 조선국왕이 청조황실에 보낸 2건의 만주문주사표(滿洲文奏謝表)를 해석해 종래에 알려지지 않았던 1차 사료를 제공한다.
  〈부편〉: 『요사』지리지 동경요양부조(東京遼陽府條)에 보이는, 고조선・낙랑군・고구려 평양성・발해 홀한성(忽汗城)을 요양(遼陽)에 비정하는 기술을 사료학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해당 기술이 11세기 중반의 거란인의 언설에 유래하고 있다는 사실, 특히 해당 기술에서 고구려와 발해의 관계를 언급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발해인・여진인들이 지녔던 고구려 숭배 의식이나 혹은 고구려의 후예임을 표방했던 고려와의 대립 관계를 그 배경으로 하고 있는 정치적 언설에 지나지 않음을 확인한다.
  10세기에 요왕조를 건국한 후 200여년에 걸쳐 유라시아대륙 동부의 패권을 장악했던 거란에 대한 역사적 연구로는 일본의 경우 ‘만몽사(滿蒙史)’의 일환으로서 전후 초기까지 풍부한 연구의 축적을 이루었고, 비트포겔(K.A.Wittfogel)은 펑지아성(馮家昇)과의 공저인 History of Chinese Society, Liao, 907-1125 (1949)에서 ‘정복왕조(conquest dynasty)’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그 효시로서 요왕조가 중국사에서 차지하는 획기적 역할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그 후에 한동안 연구가 정체되다가 1970년대 이후 포스트 모던 사조의 영향으로 13세기 몽고제국의 유라시아 제패에서 ‘세계사’의 성립을 찾는 언설이 일반화되었고, 최근에는 몽고제국의 원형으로서 요왕조의 역사적 역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거란 연구는 일반적으로는 아직 뒤처진 상태에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그 원인으로는 첫째, 거란 문자를 거의 해독하지 못하여 1차 사료인 거란문묘지를 이용할 수 없었던 점. 둘째, 거란문묘지를 이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그와 대비되는 한문묘지 기술의 편향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던 점. 셋째, 가장 중요한 문헌자료인『요사』의 분량 자체가 충분치 않을 뿐만 아니라 오류도 많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거란문묘지는 192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출토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중국 내몽고자치구와 랴오닝성에서 연이어 발견되고 있다. 그러나 그 전체 수량 역시 많치 않을 뿐더러 해독의 난해함으로 인해 거란사 연구 사료로서 거의 활용되지 못했다.   
  거란문자 연구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할 중국에서는 현재 몇몇 소수의 연구자만이 연구에 종사하고 있는 실정이고 그 연구 성과도 반드시 높은 수준을 담보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더욱이 연구 자료의 사장(死藏)이나 선행 연구에 대한 존중의 결여, 심한 경우는 연구 성과의 도용과 같은 일들이 일상화되어 관련 연구는 현재 정체 상태를 맞고 있다.
  한편 한국에서는 최근 거란・여진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단국대학교 북방문화연구소와 한국몽골학회 공동 주최로 2009년에 ‘거란 연구의 현황과 방향’, 2010년에 ‘거란의 역사와 문화’를 주제로 하는 국제학술대회가 개최되었고, 2011년에는 여진학과 금사(金史)를 주제로 하는 학술대회가 개최될 예정이다. 그러나 거란문자나 여진문자를 다룰 수 있는 연구자는 아직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필자는 20년간에 걸쳐 일본학술진흥회의 과학연구비보조금과 관련 재단의 조성금을 받아 연구를 진행해 오며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문자와 여진문자 전부를 데이터베이스화하였고, 문자 해독에 있어서도 비약적인 성과를 거두어 이를 역사 연구에 전면적으로 활용해 『契丹文墓誌より見た遼史』(松香堂, 2006) ・『愛新覺羅烏拉熙春女眞契丹硏究』(松香堂, 2009) ・『明代の女眞人』(京都大學學術出版會、2009)와 같은 일련의 저서를 출간하였다. 특히 거란문자와 관련해서는 현시점에서 이미 거란소자(契丹小字)의 90퍼센트, 거란대자(契丹大字)의 80퍼센트의 음가를 복원해 이를 바탕으로 수많은 거란어 어휘의 의미를 추정해 내고 있다. 필자는 이상과 같은 거란문자에 대한 역사언어학적인 정확한 판독 작업을 통해 거란문자 자료와 한문 자료의 단절 상황을 극복하고, ‘초역(超域)’적 역사 연구의 방법론을 수립・운용하는 새로운 학문적 시도를 해 나가고 있다.
   
  이 책에서는 다량의 거란문자・여진문자의 복원 및 어휘의 해독과 함께 비한어사료와 한어사료, 역사학・고고학과 언어학・고문자학의 종합적 연구라고 하는, 동북아시아사 연구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 향후 관련 연구에 새로운 전망을 열어 보고자 하였다. 거란문자・여진문자를 활용한 새로운 역사상의 제시는 ‘중국사’ ‘한국사’와 같은 ‘민족사’를 상대화해 바라보는 시각을 제시해 줄 것이다. 이는 현재 동북아시아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 될 것이고 국제적인 영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간행을 계기로 거란학・여진학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기를 기대한다.
 
 맺음말 『거란소자칠언절구동경』의 해독을 통해

 2010년 여름, 오랫동안 이름만 들어온 『거란소자칠언절구동경(契丹小字七言絶句銅鏡)』을 마침내 한국국립중앙박물관 보관부에서 만났다. 손을 가져가자 하얀 장갑을 통해 내 마음의 흥분된 떨림에 그녀가 공명하고 있음이 전해져 왔다. ‘대중앙호리지거란국(大中央胡里只契丹國: 위대한 거란국)’에서 한반도로 전해진 후, 천 년 가까이 그 행방을 알 수 없다가 20세기초가 되어서야 다시 그 아름다운 모습을 세상에 드러내었다. 30여년 전 사진에서 처음 그 모습을 보았을 때 나는 이미 그녀의 포로가 되었지만 오랜 세월 만나볼 기회가 없었다. 그녀 역시 말없이 만남의 기다림을 이어왔을 것이다. 마치 혼기가 된 절세 미녀가 ‘백마를 탄 왕자’ Ulhicun(烏拉熙春)이 천리길을 달려와 신비의 베일을 벗겨주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처럼.
  거란어로 쓰여진 시문(詩文)을 해독하는 일은 묘지(墓誌)보다 훨씬 힘든 작업이다. 묘지의 경우는 그 내용이 대개 묘주의 가계나 본인의 과거경력 혹은 가족사와 관련된 일이고, 서술 형식도 비교적 정형화되어 있으며 한어 음역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반면 곧잘 생략해 버리고 번역하지 않는, 묘지 말미에 붙여진 ‘명문(銘文)’은 각운을 담고 있는 시문인데 실은 이야말로 거란민족의 언어적 특색을 잘 구현하고 있는 것이다. 거란문자를 해독한다고 한다면 그 평가 기준은 거란족 언어에 속하는 어휘의 해독량을 바탕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오랜 세월 동안 동경(銅鏡) 절구(絶句)의 명문을 해독하려는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해독 능력이 부족해 제대로 해독해 낼 수 없었던 것이다. 한국국립중앙박물관이 동경 명문(鏡銘)과 같은 귀중한 자료를 일찍이 공개한 것은 “학술은 천하의 공기(公器)이다. 어찌 사사로이 독점할 수 있겠는가?”하는 이념에 부합하는 일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거란문자 자료와 그와 연관된 문제들을 간략히 소개하며 이 책의 맺음말을 대신할까 한다. 이미 소멸해 버린 거란인의 언어를 연구하고 그를 통해 거란인의 역사를 규명하는데 있어 현재 의거할 수 있는 사료는 10세기 중엽에서 12세기 전반에 걸쳐 거란대자(契丹大字)나 거란소자(契丹小字)로 기록된 각종 유물이다. 이 유물들은 그 양과 내용이 상당히 풍부해서 한어사료가 갖는 한계를 넘어 거란문명의 전모와 함께 거란문명 안에 녹아있는 다채롭고 활력 있는 인접문명의 요소들을 점차 밝혀주고 있다. 이 책에서는 이러한 유물자료를 ‘거란문자 자료’로 통칭한다.
  『요사(遼史)』에 따르면 요 태조 신책(神冊) 5년(920)에 거란대자, 태종 천찬(天贊) 3년(924) 혹은 4년(925)에 거란소자가 제작되었고, 『금사(金史)』에 의하면 이들 거란문자는 금 장종(章宗) 명창(明昌) 2년(1991)에 사용이 폐지되었다. 현재 확인 가능한 기년이 적힌 거란문자 자료는 이미 요와 금 두 왕조에 걸쳐 있는 것이다. 거란대자 자료의 상한은 요 목종(穆宗) 응력(應曆) 10년(960), 하한은 금 세종(世宗) 대정(大定) 16년(1176)이고, 거란소자 자료의 상한은 요 흥종(興宗) 중희(重熙) 22년(1053), 하한은 금 세종 대정 15년(1175)이다. 기년이 없는 단편적인 자료까지 시야를 넓히면 자료의 연대 구간은 더 확대될 것이다. 가령 요 태조릉 묘역에서 발견된 돌비석의 단편은 거란대자로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그 연대는 반드시 응력 10년(960)보다 이른 시기이다. 문자 제작이 완료된 10세기, 요대 전기에는 거란소자의 사용이 그다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듯 하다. 대략 요대 중기부터 거란소자의 사용이 거란대자를 크게 넘어서게 되었고 그러한 우세는 왕조말기까지 유지되었다. 현존하는 거란문자 자료를 보면 소자의 수량이 대자의 세 배에 이른다. ‘대자’ ‘소자’라는 명칭은 한문 사적(史籍)에 보이는데, 거란문자 자료를 보면 거란인 자신은 대자를 ‘옛 글자’ 혹은 ‘큰 도장 글자’로 불렀던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한문사료는 거란대자와 거란소자 제작시기의 전후 구별만을 기록하고 있을 뿐 그 사용상의 같고 다름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다. 현재까지 발견된 요왕조의 관인(官印)에 사용된 거란문자는 모두 대자이며, 소자는 개인 날인(私印)에만 사용되고 있다. 거란인이 거란대자를 ‘큰 도장 글자’로 부른 것은 구체적인 용도에 기반한 명명법이 아닌가 생각된다.
  거란문자 자료는 형태상 각명(刻銘)・묵서(墨書)・주명(鑄銘)의 세 종류로 분류된다. 각명의 대상은 주로 암벽・석재・금속기・자기・옥기이다. 묵서의 대상은 주로 토벽・견직물・피혁・목기・자기의 바닥 부분이고, 주명의 대상은 금속기이다.
  거란문자 자료는 내용상 넷으로 분류된다. 첫째는 죽은 이의 생애와 계보를 기술하는 묘지(墓誌) ・묘비(墓碑)・신도비(神道碑)・묘벽묵서(墓壁墨書)로 그 글자수는 수 십자에서 수 천자까지 일정치 않다. 둘째는 기행문이나 암벽에 남긴 메시지(留言)를 적은 비문(碑文)・제벽(題壁)・석각(石刻)으로 일반적으로 글자수가 적다. 셋째는 그림의 제목자(題字)와 부장용 백화(帛畫)・백서(帛書)로 글자수는 몇 자에서 몇 백자까지 일정치 않다. 넷째는 기물의 제작 목적이나 그 명칭을 설명하는 전문(錢文) ・인문(印文)・경명(鏡銘)・도자기낙관(陶磁器落款)으로 글자수가 가장 적다. 따라서 거란인의 역사를 연구하는데 가장 큰 가치를 지니는 것은 첫 번째 부류이다.
  여기서는 거란문자의 주된 자료로서 첫 번째 종류의 자료를 소개한다. 이 자료들을 편의상 ‘거란문묘지(契丹文墓誌)’라 통칭해 부르고자 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거란문묘지 가운데 일부는 한문묘지(漢文墓誌)와 함께 발굴되었다. 그런데 한문묘지는 거란문자 해독에 있어 한정적인 참고 정보만을 제공해 주고 있을 뿐이다. 이는 묘지 유물 가운데 거란문과 한어가 완전히 대역되어 있는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한어 자료들을 통해 거란인의 역사적 활동과 문화의 전모가 해명되기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내용적으로 중요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한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웠던 탓에 생략되어 버린 것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란인의 독자적인 민족적 특성을 규명해 내기 위해서는 거란문묘지를 주로 하는 거란문자 자료에 의거하는 방법을 택하지 않을 수 없다. 거란학 연구를 위한 거대한 돌파구를 얻기 위해서, 그리고 거란어학과 거란사학을 재구축하기 위해서는 거란문묘지의 해독과 연구가 불가결한 기초가 된다. 거란문묘지의 가장 큰 특징은 ‘병필직서(秉筆直書)’, 즉 사실을 감추거나 고침없이 있는 그대로 적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문자가 없던 시대의 구전의 역사를 계승한 것이며, 내용적으로 많은 부분이 거란인 가족의 계보를 그대로 서사하고 있다. 오늘날 거란문자로 된 계보를 실제로 직접 볼 수 있기란 매우 어려운 일인데, 한문묘지를 서사했던 동시대의 한인들 역시 그 자료들을 실제로 볼 자격을 갖추고 있지 않았던 것 같다. 한문묘지에 빈번히 나타나는 거란인 계보의 누락이나 착오로부터 그러한 사실을 추정할 수 있다.
  창제에서 폐지까지 요・금 두 왕조에 걸쳐 270여년간 존속했던 거란문자를 통해서 거란어는 시대에 따라 음운과 문법에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고, 거란문묘지의 내용을 통해서는 한문사료에 보이지 않거나 혹은 잘못 기술되어 있는 거란 역사의 본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거란문묘지에 대한 연구는 언어학나 역사학의 어느 한 편에 치우침 없이, 두 분야 모두를 통해서 행해지지 않으면 안된다. 언어학적 기초를 갖추지 못한 ‘해독’은 한문사료・한문묘지와의 대비와 같은 수준 낮은 방법론에 기반해 한정된 수의 한어 음역어를 추측해 내는 정도에 그칠 뿐, 다량의 거란어 어휘를 해독해 낼 수 없다. 또한 역사학적 소양을 갖추지 못한 ‘순수’한 언어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연구는 언어의 배후에 있는 역사적 배경을 제대로 살피지 못하여 단편적이고 착오가 많은, 그야말로 억측의 세계에서 벗어나지 못한 ‘해독’을 그 결과물로 얻을 뿐이다.
  현재 거란문자 연구에 장애가 되고 있는 큰 문제는 묘지 자료의 인위적 은폐이다. 묘지의 발견에서 공표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길고, 공표할 경우에는 의도적이라 생각될만큼 글자체가 분명히 보이지 않는 사진을 쓰는 일이 흔하다. 가령 Wu & Janhunen 2010에 실린 2건의 묘지 탁본은 필자가 본 바로는 그 원본이 본래 매우 선명한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발표에 사용된 것을 보면 마치 모자이크 처리를 한 것 같은 상태이다. 더 심한 경우는 탁본 사진도 없이 전사본(轉寫本)만을 공표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자료에 의거하는 한 거란문자의 정확한 해독은 기대할 수 없으며, 1차 자료를 실제로 볼 수 없는 연구자들을 오도할 뿐이다. 전사본에서는 비석에 있는 돌의 갈라짐이나 균열선을 문자의 필획으로 오인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상해서 필획을 그어 잘못된 글자를 적어 놓은 예가 적지 않게 관찰된다. 이에 따른 결과로 단어를 구성하는 표음 문자의 철자가 거란어의 모음조화에 어긋나 버려 단어의 해독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일이 발생한다.
  거란문자 연구에서 보이는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선행연구 성과에 대한 존중의 결여이다. 예를 들어 거란어 서수사의 어미에 부가되어 성별을 표시하는 접미사, 거란 남자의 ‘자(字)’를 나타내는 ʧurənən, 거란어 ‘韃靼’을 표현하는 tatar~dadar,거란어의 종격(從格)・조격(造格) 등을 비롯한 많은 중요한 발견들은, 본서의 관련 부분에서 논구한 바와 같이 모두 필자가 2003년 이전에 공표한 것들인데, Wu Yingzhe & Juha Janhunen 2010을 보면 그러한 연구결과들이 모두 Wu 2007의 성과로 되어 있다. 이는 연구자로서의 학술적 품격과 관련된 문제라 하지 않을 수 없고, 연구 자료의 의도적 은폐와 같은 문제 또한 이와 결부된 사태로서 이해할 수밖에 없다. 
  거란문자 자료는 인류가 공유해야 할 문화유산이며, 그 해독을 통한 인류의 학술적 발전은 각국 학자들의 공동의 노력을 통해서만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생각에서 1차 자료인 묘지 탁본의 공개를 거부하고 전사본만을 공개하는 현재 학계의 그릇된 실태를 밝혀둔다. 향후 더 많은 새로운 자료들이 출토되기를 기대하며, 학문적 윤리와 관련된 학계의 잘못된 풍토가 하루 빨리 시정되기를 마음 깊이 염원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히스토리2 18-05-14 11:14
   
잘 읽었습니다 ㆍ좋은 자료 항상 올려 주심에 진심 감사드리고 좋은 나날 되십시요 ^^
화난늑대 18-05-14 14:15
   
나중에 읽어볼께요
 
 
Total 19,98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5809
19738 [한국사] 윤내현교수의 기자신고 요약 (9) 하이시윤 07-13 1523
19737 [기타] 한국사는 미스테리한 점이 많지요 (20) 관심병자 07-11 2402
19736 [기타] 잡설) 청동거울은 일반적인 거울이라고 보기는 힘들… (2) 관심병자 07-11 1359
19735 [한국사] 5백년전 명나라 지도, 明과 高麗 등 지명 분석 #대명… (5) 레종 07-09 2325
19734 [한국사] 정읍 시의원 - 중국 본토에서 삼국사기 백제의 정… (2) 조지아나 07-06 1725
19733 [한국사] 사실에 대한 날조는 (6) 위구르 07-05 1189
19732 [한국사] 내로남불 위xx 탐방기 (9) 파스크란 07-05 1125
19731 [한국사] 책 추천: 임진란 미국에서 (8) 위구르 07-05 1208
19730 [한국사] 니네들이 좋아할만한 책 추천한다 (16) 천추옹 07-04 1134
19729 [한국사] 신라의 대륙영토, 영해군사와 청해진 (2) 파스크란 07-04 1212
19728 [한국사] 당唐의 기미주로 보는 고구려의 강역, 영주·평주(營… (9) 파스크란 07-03 1182
19727 [한국사] 마자수는 어떻게 압록강이 되었나 하이시윤 06-29 1061
19726 [기타] 한국 역사는 (30) 관심병자 06-22 1933
19725 [한국사] 일본군을 끌어들인 댓가 (구한 말) (6) 천의무봉 06-16 1851
19724 [한국사] 가만보면 자칭 재야사학자는 몇가지 부류로 나눌수 … (16) 파스크란 06-13 1650
19723 [한국사] 가생이에 계시는 (15) 하이시윤 06-13 1206
19722 [한국사] 역사학의 임무 (5) 하이시윤 06-11 1158
19721 [한국사] 동아게에서 하고싶은 것 (2) 하이시윤 06-11 1064
19720 [한국사] 유사역사학 추종자들이 해로운 이유 (8) 위구르 06-10 1417
19719 [한국사] 마지막 빙기이후 황해 등수심도 (1) 하이시윤 06-10 1198
19718 [한국사] 토종견 바둑이 복원 (3) 하이시윤 06-10 1351
19717 [다문화] 어느 아시아계 러시아인의 정서 이쉬타 06-08 1418
19716 [세계사] "Θά 'ρθεις σαν αστραπή" (당신은 번개처럼 … 이쉬타 06-06 961
19715 [한국사] 말의 가축화 학설 하이시윤 06-04 1500
19714 [한국사] 세계사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임진왜란 (9) 지골 06-01 1946
19713 [한국사] 아리랑은 중국 전통민요이다~ (2) 살강살강 05-29 1848
19712 [한국사] 네이버 웹툰 베스트도전 찐삼국사 (2) 파스크란 05-29 1846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