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4-12-26 00:40
[잡담] 야구가 인기있는 나라 어디있죠?
 글쓴이 : SeanLennon
조회 : 3,237  

미국은 물론이고 
쿠바 베네수엘라등 중미 
일본하고 울나라 대만정도 하고 또잇나요?

유럽은 야구 인기없는듯한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프타치 14-12-26 02:56
   
뚜르게녜프 14-12-26 03:04
   
아무래도 유럽에선  축구인기보단 못하겠죠 ㅋ

지금 미국에서 축구가 발전하듯

충분히 가능성은 있는 스포츠라고 생각하네요

전 같았으면 미국서 싸커에 관중도 안올줄 알았죠 뭐 ㅋ

유럽야구 14-12-26 07:46
   
중국은 내년에 프로화 추진 예정이고... 유럽도 기반은 탄탄히 다져가면서 발전 중. 브라질도 야구가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는 이야기가 있구요.
Arseanal 14-12-26 08:41
   
한국-일본-대만-미국-쿠바
남아당자강 14-12-26 10:32
   
야구는 축구처럼 범세계적인 스포츠가 되기 힘듭니다. 첫째 돈이 많이 들어요. 동네 스포츠로 봐도 축구는 그냥 공만 있으면 됩니다. 야구는 최소한 공 글러브 방망이 등등 일정수준의 경제력이 안되는 나라는 대중화 되기 힘듭니다. 둘째 규칙이 복잡합니다. 단순화 시켜서 축구는 공이 손에만 안닿으면 되고 누구나 흘러가는 상황을 알기 쉽습니다. 그런데 야구는..... 주위에 야구를 규칙을 잘 모르는 사람들 야구 보면 멍해 있습니다. 왜 저런거야? 어떻게 된거야??? 등등 그러다 몰라 재미 없네 이렇게 되더라고요. 결국.... 야구는 광범위하게 유행하기 어려운 스포츠 입니다.
     
Balmain 14-12-26 15:02
   
동감해요.
그나마 크보는 응원하는 재미때문에 인기가 많은거 같은데.
그냥 티비로만 보는데 친구들 반응이 다 뭐임 쟨 왜뜀 ?- 도루 당시
이러는데 일일이 설명해줘도 그냥 축구채널로 바꾸더군요 ㅋ

축구와 비교하면 조금 규칙이 어려워서 그런지..ㅋ
만원사냥 14-12-26 19:13
   
경제력하고는 상관없죠.

그 돈없어서 나뭇가지로 배트를 대체하는 쿠바나 도미니카 같은 국가들에서도 인기가 있는데, 얘들은 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서 야구를 좋아하는 건 아니죠.

반면 유럽에도 장비나 시설에 돈 엄청 많이 드는 아이스하키 등은 인기 있구요.


그냥 존재자체를 모르는 사람들이 태반이고, 관심있어도 기존의 축구외의 럭비나 농구 배구 같은 메이저급 스포츠에 동계스포츠인 아이스하키 등 비집고 들어갈 틈이 없다고 봐야하죠.

일단 자리를 먼저 선점한다는 것이 엄청난 메리트죠. 야구가 혹은 축구가 아니면 어떤 종목이 이렇네 저렇네 하기 전에 선점을 이미 축구를 필두로 수많은 종목들이 선점을 해놨고... 그 자리를 비집고 들어가기는 여간해선 쉽지 않죠.
     
남아당자강 14-12-29 09:32
   
제가 말씀드린 것은 축구처럼 범세계적인 스포츠로 유행을 뜻합니다. 그리고 남미의 경우는 좀 다른 경우라고 봐야지요. 쿠바는 카스트로가 좋아하는 스포츠라 국가적인 지원이 많습니다. 각 학교마다 기본장비는 지원해주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 남미 국가의 경우에도 미국의 구단들이 기본장비를 지원하는 걸로 압니다. 야구 학교도 흔하고요. 자기 돈 안들고도 야구할 기본 요건은 되는 걸로 압니다. 제 말은 돈이 많은 국가에서 야구 한다가 아니라 야구가 유행할려면 기본 경제력이 되어야 한다는 겁니다.
아콰아아 14-12-26 23:35
   
유럽야구도 점점 성장 추세입니다.
저번 wbc때 우리는 네델란드에게 진게 결정적인 예선탈락 요인이었죠.
올해 평균자책점 1위 벤덴헐크 역시 네델란드 출신이고..
human 14-12-27 11:54
   
아직도 유럽같은곳에서도 마이너 스포츠 취급당하고 있어요.
과거 양키즈의 전설 조 디마지오도 이탈리아 출신이고 마이크 피아자도 마찬가지고 애틀란타의 앤드류존드도 네덜란드고 좋은 유럽선수들은 항상 mlb에 있어왔죠.
최근엔 오히려 잘 안보이는거같네요. 특히 유럽에서 야구하다가 건너가는 선수는 드물고 유럽태생에 미국현지에서 지내는 유럽선수들은 가끔 보이긴 하는거같습니다.
프로스포츠로는 미국,일본,한국,대만 정도이고 나머지는 세미프로나 아마추어식으로 운영하고 있죠. 도미니카나 베네주엘라 등의 나라들이 선수자원이야 풍부하지만 프로스포츠 운영하고 싶어도 못하는 환경이죠. 어렸을때부터 돈이 없어서 신발도 없이 막대기와 공만으로 리틀야구를 경험하는게 그들의 환경이니까
     
유럽야구 14-12-28 22:24
   
님이 예를 든 조 디마지오, 마이크 피아자 이런 선수들은 순수 유럽인이 아닌 유럽이민자의 후손입니다. 미국에서 태어난 선수란 말이죠. 지금도 마이너리그에서 수많은 유럽선수들이 뛰고 있고요. 매해 마다
MLB 구단과 계약을 맺어 미국에 건너가는 어린 선수들이 있습니다. 님이 모르는것 뿐이죠.
삼성동부활 14-12-28 14:00
   
유럽에서 야구는 핸드볼도 감히 처다 못볼껄
2잡 취미생활이지

짱개?
시진핑 돼지가 축구 올인 정책 취하면서 그냥 야구 끝남. 원래부터 짱개내에서 지들이 야구 하는줄도 잘 모르고
프로 출범 어쩌구 저쩌구 하지만 배치된 인사 자체가 짱개 최하급 관료 수준들임

오히려 쿠바나 베네수엘라에 축구 붐이 불기 시작해서 야구 유소년 인구가 줄기 시작하는게 문제구만

야구같은 세계적인 변방 스포츠는 살아남는 길은 리그밖에 없음
리그경기를 무조건 수준높게 만들어야 되는데
크보는 아직도 외국인선수 제한 걸어놓고 하는 짓보면 졷나 후진 폐쇄경제
원숭이 엔피비 2군넘들중에 크보 즉전감 한두명이 아닌데 이런것들 데리고 오면 지금 말도 안되는 fa 몸값나오지도 않음
     
유럽야구 14-12-28 22:21
   
시진핑이 축구에 올인한다고 타 종목 투자를 막지는 않죠. 오히려 내년에 중국정부에서 야구를 프로화 추진한다고 계획까지 잡았습니다. http://chinesebaseball.tistory.com/1021

최하급 관료 수준이라고 하는데요.  중국야구의 프로화를 추진하는 국가체육총국은 체육 행정을 관장하는 국무원 직속기구 입니다. 최하급 관료 수준은 아닌데요?

중국인들이 야구를 모른다? 이미 많은 중국인들이 야구를 하고 있고요. 모르는건 아니죠. 그렇기 때문에 프로화를 추진하는 것입니다.

쿠바와 베네수엘라가 축구 붐이 분다는것과 야구 유소년 인구가 줄기 시작한다는 님의 주장에 대한 근거자료 부탁합니다.
          
만원사냥 14-12-28 23:12
   
올림픽 야구주경기장 때려부숨. 끝.
 
 
Total 2,06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68 [잡담] 너무 조용합니다 시즌중이 아니라서...... (2) 사ram입니다 01-04 1500
2067 [잡담] 홈런이랑 펜스높이는 중학교 수준으로 보자면 (1) 마기 12-31 1611
2066 [잡담] 사과드립니다. (21) 만원사냥 12-31 2247
2065 [잡담] 유럽베이스볼 참 찌질하게 논다... (7) 일뽕박멸 12-29 2404
2064 [잡담] 2014 유럽야구선수권 시청자 수. (13) 유럽야구 12-28 4006
2063 [잡담] 오타니 피지컬은 놀라운 수준이네요 (7) 블루매 12-28 5178
2062 [잡담] 롯데로 이적하면 타자 성적 좋아지는게 비거리가 짧… (9) 휘파람 12-27 2002
2061 [잡담] 홈런 나오기 힘든 구장 한화인가요?? (4) 휘파람 12-27 1932
2060 [잡담] 승리투수 질문 ^^ (8) 사ram입니다 12-26 1558
2059 [잡담] 다음주 라디오스타 이대오 특집한다네요 (6) 노인 12-26 2060
2058 [잡담] 야구가 인기있는 나라 어디있죠? (14) SeanLennon 12-26 3238
2057 [잡담] 생각해보니 다낚아때문에 생긴 일본 포스팅2000만불… (2) 사이영현진 12-24 3127
2056 [잡담] 야구글로브의 역사. (3) 유럽야구 12-24 1583
2055 [잡담] 강정호 요구액 ㅎㄷㄷ 하네요 (6) 블루매 12-24 5315
2054 [잡담] 야구공의 진화. 유럽야구 12-24 1450
2053 [잡담] 강정호가 25인 안에는 무조건 들어갑니다. (6) VanBasten 12-23 2636
2052 [잡담] 전 이런 시점으로라도 보고싶음. (1) 히어로즈강 12-23 1378
2051 [잡담] 강정포가 피츠버그를 간다고? 치우챠우 12-23 1150
2050 [잡담] "특별한 강정호 원했지만 피츠버그에 밀렸다" 뒤늦… (6) 봉냥2 12-23 4566
2049 [잡담] 현시각 MLB.com 및 피츠버그 공식홈피 메인화면 .jpg (4) 카울링 12-23 2978
2048 [잡담] 피츠버그의 현상황과 강정호. (1) VanBasten 12-23 1669
2047 [잡담] 칼자루를 해적이 잡았네요. 하늘꽃초롱 12-23 1012
2046 [잡담] 강정호 성지글 (5) 카울링 12-23 2623
2045 [잡담] 강정호 개인적으로 첫해는 흔들릴꺼 같음. (7) 히어로즈강 12-22 1532
2044 [잡담] 개인적으로 예상하는 강정호 타격 성적 (5) mago 12-22 1400
2043 [잡담] 강정호 아오키급 성적만 내주면 좋겠는데.. (23) 휘파람 12-21 4301
2042 [잡담] 강정호 연봉예상!!! (6) VanBasten 12-20 493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