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8-06-12 00:24
[잡담] 일본은 왜 그리도 스플리터?포크볼에 집착하는지 모르겠음
 글쓴이 : 루니
조회 : 3,004  

일본 투수들 메이저 가면서 스플리터라 부르지만 사실 그보다는 휘는 각도가 큰 포크볼이라 하는게 맞는 표현 같은데 어차피 미국에선 둘 다 스플리터라 하니 일단 넘어가고,,
 미국 진출하는 일본 선수들 보면 거의 다 스플리터?포크볼을 던지는 듯
팔꿈치와 손목에 큰 데미지를 남기는 이 구종 때문에 다들 단명하는게 아닌가 함
그래서 마치 수술받기 위해 메이저 가는 느낌이랄까
일본 야구 만화에도 주인공급은 직구와 함께 던지는 대표적 결정구가 포크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뭐꼬이떡밥 18-06-12 00:59
   
신체적 한계에 따른 직구구속
직구구속과 같은 폼에서 나오는 포크볼
수직으로 떨어지는 포크볼 특성상의 야구배트와 점점이 작은점
미국에서 다른 구종보다는 생소한구종
노모를 본다면 포크볼을 던져서 팔꿈치가 나간다라기 보다는
일본야구의 혹사를 투혼으로 찬양하는 성향때문에 고교에서의 에이스로 혹사
프로에 와서는 훈련으로 혹사 경기에서도 혹사로 이어져 미국에 올때는 이미 망가지기 일보직전인거죠
준선 18-06-12 03:29
   
포크볼...  솔찍히 손까락 짧은 사람이 던지는 스플리터 아닌가요?
그럴껄 18-06-12 09:51
   
배팅 매커니즘과 가장 배척되는 구질이라서 그래요.
초속은 직구와 같고, 끝에선 종으로 급격하게 떨어지죠.
변화구와 체인지업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으면서 효과도 좋음.
문제는 팔꿈치가 받는 부하인데,
일본에서는 투구에서 하체를 매우 중요시합니다.
팔꿈치의 부하를 최대한 분산시키려는 거죠.
근데, 오타니 정도의 힘을 가진 투수라면 굳이 스플리터에 얽매지 않아도 되었을 텐데..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오타니는 다른 변화구도 평균 이상이라고 평가를 받거든요.
구속을 조금 줄이고, 커맨드에 힘을 더 줬더라면, 지금의 상황은 없었지 않았을까요..
이해는 갑니다.
제대로 아파본 적이 없는 사람은 본인이 언제든 다칠수 있다는 생각을 못하죠.
임xx 18-06-12 10:26
   
오타니는 고속 슬라도 자주 쓰잖아요 팔꿈치 부하×2
merong 18-06-12 11:40
   
일본은 스트라이크 존이 상하로 깁니다. (상대적으로)
미국은 좌우로 넓고요. 우리나라는 그 중간쯤 될겁니다.

일본 스트라이크 존이 위아래로 넓다보니, 위 아래로 변화하는 공이 훨씬 유리할겁니다.
미국에서는 볼이되는 낮은 공도 일본에서는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알기론 그렇습니다. (꽤 예전에 들은 얘기라서... 스트라이크 존이 계속 변합니다.)
아라미스 18-06-12 12:37
   
그만큼 마력의 구종이죠 스플리터가... 오타니 삼진률이 높았던것도 패스트볼구속에 스플리터 콤비덕택..
오타니가 스플리터 안던지고 슬라이더만 던졌으면 그 성적도 못냈음..
노모 히데오 사사키 우에하라 다나카 이런 투수들 스플리터의 힘이 없었다면... 메이저에서 생존이;
엘알 18-06-13 17:39
   
전함 야마도나 무사시 뽑던 것 처럼

궁극의 절대 무기를  숭상하려는 놈들임

그래서 팔이야  뿌서지건 말건  마구를 장착하려는

강렬한 의지 때문에  그런 구종만  죽어라 매달리는게 아닐지 ?

왜놈들에게  포크볼은 야구에 있어서  야마토의 36인치 포같은 의미 ?
 
 
Total 2,0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083 [잡담] 이러면 추신수는 비공식 52경기 연속 출루인가욬ㅋㅋ 축산업종사 07-18 3331
2082 [잡담] 12점이 모두 홈런 (4) 루니 07-18 3240
2081 [잡담] 한화 동계훈련 (2) 에1리언 07-18 2577
2080 [잡담] 추신수 2연속 볼넷 -0- (1) 러키가이 07-15 1362
2079 [잡담] mlb 보스턴 감독 명장인가요? (1) 백면서생 07-14 922
2078 [잡담] 1920년 이후 연속출루 메이저 기록들 (7) 제나스 07-11 2090
2077 [잡담] 추신수 야구계 위치가 축구선수로 따지면 어느 정… (4) 조지아나 07-11 2359
2076 [잡담] 추신수 드라마틱한 극적 안타 치기까지 과정 (5) 러키가이 07-09 2783
2075 [잡담] 추신수가 원래 절대 못하는 선수가 아닌데,,,, (6) 제나스 07-08 1609
2074 [잡담] 내일도 출루하면... (6) llllllllll 07-07 2130
2073 [잡담] 오늘 추신수 끝내기 갑니다... (2) 제나스 07-05 1891
2072 [잡담] 와 추신수 44경기 연속출루! 홈런!! 덤블링 07-05 1146
2071 [잡담] 기아 윤석민이 새로운 보직을 찾은 것 같네요 토미에 07-04 915
2070 [잡담] 추신수 43경기 연속 출루!! (3) 덤블링 07-04 1584
2069 [잡담] 열도의 홈 텃세 (7) llllllllll 07-04 1812
2068 [잡담] 추신수 선수가 오른쪽 다리 부상을 안고 있다던데 (6) 제나스 07-03 3724
2067 [잡담] 추신수 전반기 남은 일정 제나스 06-28 1944
2066 [잡담] 추신수 올스타 가능성은 얼마나 되나요? (4) 아몰랑A 06-26 1823
2065 [잡담] 추 올해가 올스타 마지막 기회 같은데 토미에 06-24 753
2064 [잡담] 오.gif (3) llllllllll 06-22 2149
2063 [잡담] 광민이ㅋㅋㅋ (3) llllllllll 06-21 1416
2062 [잡담] 츄존.gif (1) llllllllll 06-21 2048
2061 [잡담] 이와중에 아시안게임 야구 근황 (5) 망캐 06-20 1800
2060 [잡담] 추신수 성적 (10) 제나스 06-16 3216
2059 [잡담] 역시 그레인키는 예측불가의 인물 (4) 루니 06-12 2893
2058 [잡담] 일본은 왜 그리도 스플리터?포크볼에 집착하는지 모… (7) 루니 06-12 3005
2057 [잡담] 선감독 인터뷰 가관이네여.. (6) 아라미스 06-11 2150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