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4-12-16 22:30
[국내야구] 비시즌 훈련금지는....
 글쓴이 : 순동이
조회 : 1,150  

있는자에게 좀 유리한 조항이랄까?

돈있는 선수야 개인트레이너 고용하면서 개인적으로 자율 훈련 할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선수는 비시즌 개인적으로 훈련한다는게 애로사항이 많고 대부분 이런선수들은 루키거나 자기 실력을 키워 1군으로 올라가려는 선수들이 대부분인데 그렇지 못한면이 있는것 같습니다.

강제로 참가 시킬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훈련 금지하는 목적이라면 자율적 참가를 허용하되 강압적으로 하지 못하게 안전장치를 두고 허용하는게 좋을거 같아요.

훈련은 일종의 회사로 치자면 자기개발을 할수 있도록 회사가 도움을 주는건데 그걸 막는다면 선수들이 열심히 해서 성장을 하고 싶어도 못하게 막는 꼴인거 같습니다.

뭐 부작용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렇게 막기보단 비시즌 훈련에 대해 구단이 제공하고 참여는 자발적으로개인 의사에 따라 하는 쪽으로 가는게 맞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별명없음 14-12-16 22:49
   
있는자 없는자 타령은 그만 반복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비시즌에 1군 선수들이라고 해외 개인훈련가서 야구장 빌려서 펑고치고 그런 훈련하는거 아닙니다...
가족들 데리고 여행가서 러닝하고 체력단련하는 정도...
고액연봉자라고 감독 코치들 데려가서 기술적으로 배우는것도 아닌데...

아래 링크 봉중근 사건 기사보면 나오지만...

http://sports.donga.com/3/01/20140108/60053868/3

봉중근사건이 FA 계약하고 구단 보답 차원에서 지가 자발적으로 미리 훈련간건데...
구단 코치 두명이 같이 간게 문제가 된것임...

봉중근이 돈이 많아서 코치 두명 일당 쳐주고 데려갔겠음??
구단에서 딸려 보낸것임... 그래서 문제가 된거...

봉중근 사건 기사에 나오지만
그 사건 터지고 FA 영입한 이용규, 정근우 해외 훈련보내면서 코치 딸려보내려던 한화도 깨깽함...

(결국 비시즌 훈련금지 조항 어기는 구단들은 1군 고액연봉자들 더 잘 써먹고자 욕심부린거임)
(그 규정 안지켜도 된다면 구단들은 오히려 고액연봉자들에 코칭 스탭을 붙인다니까... 명백한 사건과 사례가 존재하는데..)

결국 구단 단장들이 다른 구단에서 다시 그런 경우 발생시 1억 제재금 매긴다고 합의한것임...

우리 구단은 규정 지켜서 선수들 훈련 안시키는데..
니네 구단은 왜 몰래 선수에 코치들 붙여서 훈련 시키냐~!! 벌금 내~~ 이거임...

선수협이 어쩌고 한 문제가 아님...

그리고
2군 돈 없는 선수들도 돈 없다고 탓할거 없이
시즌중에 구단 트레이너에게 비시즌 스케줄 짜달라해서 동네 헬스장 2달만 끊어도 문제없음...
한강에서 런닝을 하든.. 황재균처럼 동네 배드민턴 동호회 활동을 하던...
최희삽처럼 등산을 하던... 개개인이 자율적으로 훈련하는거지...
돈 없다고 훈련 못한다는건 개구라...
1군이든 2군이든 고액연봉이든 저연봉이든
프로고 자기관리 할줄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가능함...

또한
1군 고액연봉자든 2군 연봉자든 국내 훈련장 개방해준대도 할 수 있는 운동은 똑같음... 실내 훈련 뿐임...
겨울에 국내 야외서 구르는 훈련하다간 뼈다귀 나가는건 1군이든 2군이든 통뼈 아닌 이상에 똑같음...

원문 발제자같은 주장이라면
결국 구단이 돈 들여서 2군 선수들 해외 전훈 보내라 이건데..

이런 주장이 가능하다고 봄??

구단이 성적내기 위해 돈들여서 훈련보내니
쉬고 싶은 놈이든 자율훈련하고싶은 놈이든 닥치고 따라와..
이게 2010년까지 규정을 어기면서 강행했던 구단합동훈련의 문제였음...

그게 겨우 2011년 부터 지켜지고 있는건데...

다시 예전으로 쳇바퀴 돌리라는 이야기?

그리고 규정에 따르면 12월1월 단체 훈련 금지지만...
예외 조항으로 1월중순부터 선수들 요청에 의해 전지훈련이 가능하게 되어 있음..

고작 한달 반 개인 자율 훈련 기간인 셈...

2군 선수들도 1월 중순부터 전지훈련 따라갈수 있음...
1군만 뭘 해주고 2군은 안해주는 문제를 따져야지...
1군이든 2군이든 똑같은 규정적용하는 문제를 까는건 상식이 없는것임...

비시즌에 불쌍한 저연봉 2군선수들은 훈련 못하니 어쩌고하면서 동정론 주장하는 분들은...

차라리 시즌 중에 1군보다 열악한 대우 받는 2군 처우 개선 주장하거나
경기수가 적어서 실력향상이 어려우니 시즌중 2군 경기수 늘려달라고 주장하는게 더 현실적임...
1군보다 2군에 덜 제공되는 것을 요구해야지...
별명없음 14-12-16 23:09
   
http://cafe.daum.net/LeeJJang/8cxx/2588?q=%C7%C1%B7%CE%BE%DF%B1%B8+%BA%F1%BD%C3%C1%F0+%C8%C6%B7%C3%B1%DD%C1%F6&re=1

2002년 신문기사임...

[집중분석] 마무리 훈련 문제점


 숨가쁘게 달려온 한 시즌. 그러나 프로야구선수들은 쉴틈이 없다. 시즌이 끝나자 마자 마무리 훈련에 내몰렸다.
 기아와 두산, LG가 마무리 훈련을 마친 가운데 삼성은 4일 제주도에 신인선수들 위주로 캠프를 차린다.

 그러나 12월 이후 두달간 구단에서 주도하는 팀 훈련은 엄연히 야구 규약에 어긋난다. 선수들은 참가활동 기간인 2월1일부터 11월30일까지 10개월에 걸쳐 연봉을 분할 지급 받는다.(제9장 참가활동보수의 한계 68조 참가활동기간) 12월부터 두달간은 선수에게 보장된 비활동기간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규정은 무시되고 있다. 특히 SK 한화 롯데 등 올시즌 하위권에 머문 팀들은 주전급 대부분이 참가한 가운데 해외 훈련에 열중하고 있다.

 호주 시드니로 둥지를 옮긴 한화도 내년 1월4일까지 캠프를 가동할 계획이다. 정민철 조규수 이상목 등 주전급 투수들이 참가해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마무리 훈련이 끝나면 한달도 안돼 스프링캠프가 시작된다. 지난 11월1일 미국 플로리다주 브래든턴에 캠프를 차린 SK도 2일 선수협 총회 참석을 위해 김기태 김원형 등이 귀국한 가운데 오는 11일까지 훈련을 계속할 예정이다.

 각 팀들은 한결같이 자율훈련을 내세우고 있다.
 호주 골드코스트에 마무리 훈련 중인 롯데는 지난달 말 끝날 예정이던 일정을 오는 25일까지 연장하면서 선수들로부터 동의서를 받았고, 이를 선수협에 통보했다. 물론 선수들의 요청을 구단이 받아들이는 형식을 취했다.

 선수협은 3일 대의원 총회에서 의견을 모은 뒤 마무리 훈련에 참가하고 있는 선수들과 전화 통화를 해 실상을 파악할 예정이다.

 선수들은 또한 처한 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선수협 총회 참석 후 6일 팀의 호주 캠프에 합류할 예정인 롯데 염종석은 "내년 시즌을 생각하면 따뜻한 곳에서 몸을 만들고 싶은게 선수들의 한결같은 마음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가족들과 또 떨어져 지내야 한다는게 부담스럽고, 또한 선수협의 결정도 신경쓰인다"고 말했다.

 마무리 훈련에 참가중인 한 선수는 "솔직히 쉬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혼자서 독불장군처럼 나설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속마음을 내비췄다.
  < 민창기 기자 huelva@>

...

기사에 나오는 염종석 같은 경우도
시즌내내 혹사당하고도 쉬지 못한채 구단 훈련에 끌려가야 했음...

결국 조기 은퇴...

구단이 훈련을 제공하고 선택적으로 참여요?? 말로는 가능합니다...

하지만 현실에서는요?
사회 생활해본사람이라면 갑과 을이 존재하는 세상에서
을인 선수가 선택 가능하다고 생각할 수가 있나요??
톱스타 급이 그 해 성적 잘 낸 경우나 훈련 안간다고 말하는게 가능하죠...

고액 연봉인데 성적 죽쑨 스타급 선수라면
그해 구단 훈련에 따라가야 다음 연봉 계약에 불이익안당합니다...
저액이든 고액이든 신인급인데
구단훈련 안간다고하면 주전 발탁에서 불이익 당할게 뻔한거 아닌가요??

선수들은 선택권이 거의 없어요... 그게 현실입니다...
별명없음 14-12-16 23:11
   
역시 2002년 기사...


 '무임금-무노동의 원칙', '행복추구권', '자율권'. 선수협은 3가지 전제조건하에 비활동기간 훈련을 반대하고 있다.
 프로선수들은 '전문가 집단'이다. 변호사, 의사 등 전문가를 고용하려면 금전적인 보상이 있듯이 계약기간 외에 선수들을 동원하려면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얘기다. 가족과 함께 비시즌을 보내며 몸과 마음을 추스릴 여유가 필요하며 선수들은 스스로 자율을 책임질 수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선수협 나진균 사무국장은 "구단에선 선수들을 위한 훈련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진정 선수를 위한다면 실컷 훈련시킨 다음 냉혹하게 자르는 일부터 없어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구단이 스스로 만든 규약이다. 선수가 조금이라도 규약에 위배되는 행위를 할 경우엔 철저하게 징계하면서 스스로는 아무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한편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자율'의 의미 해석에 유연성을 갖자는 입장이다. KBO 이상일 사무차장은 "올해 성적이 나지 않은 팀은 내년을 위해 훈련을 많이 해야하는 입장을 호소한다. 반면 선수들은 자율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한다. 양쪽이 서로의 견해차를 좁히는 일이 우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선수협은 3일 대의원총회를 거친 뒤 나진균 사무국장이 직접 각 구단의 훈련 상황을 점검할 계획. 자율이 아닌 게 명확히 밝혀지면 KBO를 통해 해당구단에 책임을 묻겠다는 입장이다.
 
  메이저리그에선 지난 66년 선수노조가 설립된 이후 철저하게 '비활동기간 훈련 중단' 규약이 지켜지고 있다. 메이저리거들은 비활동기간에 각자의 훈련스케줄에 따라 몸관리를 한다.
 물론 메이저리거 중에서도 일부는 도미니칸 윈터리그, 멕시칸리그 등에서 겨울 시즌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 역시 자신의 결정에 의해 이뤄진다.
 선수들은 반드시 한 곳에 모여야하는 날짜를 뜻하는 '리포트 데이트(report date)'에 맞춰 개인훈련을 한다. 해마다 2월 중순이면 스프링트레이닝 캠프에 속속 집결, '이제부터 팀훈련을 시작한다'는 뜻의 리포트를 한 뒤 약 일주일쯤 단체훈련을 거쳐 곧바로 시범경기에 들어간다. 물론 겨우내 개인훈련을 충실히 했다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일본프로야구에서도 야구협약에서 비시즌 동안의 합동훈련이나 야구지도를 금지하고 있지만 8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자주 트레이닝'이라는 명목으로 강훈을 했다. 시즌이 끝나면 곧바로 젊은 선수들의 훈련이 시작되고, 이어 외국인선수를 제외한 전 선수들이 가세하면 '합동 자주 트레이닝'이라는 이름으로 훈련의 강도가 높아진다. 사실상 강제성을 띤 훈련이었다.

 그러던 것이 85년 일본프로야구 선수회 노동조합이 출범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88년 오프시즌부터 강제적인 자주 트레이닝을 폐지하면서 미국처럼 자율훈련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 김남형 기자 star@>


...

구단들이 대놓고 규약 무시해도 KBO는 구단들 유리한 쪽으로 해석했었음...
선수협이 반발하기 시작한 시점...

메이저나 일본 야구에서도 같은 조항이 있음..

메이저는 완전 자율...
일본 야구도 선수회 노동조합 출범이후 자율 훈련으로...
우리나라도 2002년엔 구단들이 저렇게 대놓고 규약 어기고 KBO 조차 구단 편들다가...
2007년에 단장회의에서 규약 준수하기로 협의해 놓고도.. 또 3년간 어기다가... 
2011년부터서야 겨우 지키기 시작한것...
참새깍꿍 14-12-17 00:17
   
그리고 암묵적으로 봐주다가 넥센이 걸리니까 선수협은 30명이 코치도움 받아가며 한 훈련을 개인 자율 훈련이라고 했죠. ㅋㅋ
 
 
Total 1,73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95 [국내야구] 김동주은퇴해라그냥.. (1) 백전백패 12-18 1709
1494 [국내야구] '비활동기간' 현장 목소리 "융통성-현실성 부… (2) 백전백패 12-18 776
1493 [국내야구] 선수협의 훈련 지원이 실제로 있나요? (2) 비만 12-18 1162
1492 [국내야구] 말 많은 겨울 훈련금지도 결국은 경기력 때문... 패리 12-17 1117
1491 [국내야구] 김응룡, "돈 없는 선수는 어떡하나" 선수협에 일침 (68) 백전백패 12-17 3434
1490 [국내야구] 선수협은 하루만에 있으나 마나한 곳이 되어 버렸네… (5) 딸기가좋아 12-17 1498
1489 [국내야구] 한화 쿨하네요..ㅋ 정현석 선수.. (5) 무적자 12-17 2250
1488 [국내야구] 한화가 정현석 암투병 사실을 말안한듯? (9) 아나멍미 12-17 2905
1487 [국내야구] 선수협 "넥센" 에 대해서 엄중 경고 및 제제 할것.. 서클포스 12-17 1064
1486 [국내야구] 선수협 관련해서 잴 이해가 안가는부분 한가지 (4) 똥을싸고 12-17 1084
1485 [국내야구] 박충식 강제사표쓰고싶은가? (10) 백전백패 12-17 1512
1484 [국내야구] 박충식이 쓰레기인게 뭐냐면.. (3) 데이모스 12-17 1392
1483 [국내야구] 강병규 박충식 비난, “공개적 병ㅅ짓..김성근 감독 … (15) 엘리트 12-17 2092
1482 [국내야구] 오늘 박충식 인터뷰 보면서 느낀 점 몇개... (3) 참새깍꿍 12-17 1098
1481 [국내야구] 그럼 이렇게문제해결하면되겠네 (1) 백전백패 12-16 774
1480 [국내야구] 한화7명외부선수영입 (1) 백전백패 12-16 1158
1479 [국내야구] 비시즌 훈련금지는.... (4) 순동이 12-16 1151
1478 [국내야구] 겨울에훈련하는문제.. (11) 백전백패 12-16 1050
1477 [국내야구] 비시즌 훈련금지와 관련해 기사 링크 겁니다. 알고서… (36) 별명없음 12-16 1778
1476 [국내야구] 선수협의 행동을 문제삼아 제도가 잘못된걸로 몰아… (6) 서클포스 12-16 1205
1475 [국내야구] 선수협, “이번 사태, 김성근 감독 때문에 벌어졌다… (1) 성상 12-16 1217
1474 [국내야구] 방학때 보충학습에다가 자율학습까지 강제로 시키는… (2) 서클포스 12-16 791
1473 [국내야구] 선수협 회장 넥센은 피해자 ?? (4) 딸기가좋아 12-16 1227
1472 [국내야구] 질문입니다. 정현석을 과학이라고 글들 올리시는데 (2) 빈빈 12-15 1239
1471 [국내야구] 이로서 한화보상선수모두완료.. (7) 백전백패 12-15 1454
1470 [국내야구] 넥센 구단 단체훈련하다 걸렸네요 (8) 딸기가좋아 12-15 1809
1469 [국내야구] 한화의전통팀케미컬.. 백전백패 12-15 1316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