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7-06-02 01:29
[MLB] [이현우의 MLB+]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를 주목하라
 글쓴이 : 러키가이
조회 : 1,280  



류현진(사진=엠스플뉴스)
 
[엠스플뉴스]
 
  | 선발 경쟁에 있어 핵심이 될 1일(한국시간) 경기에서 6이닝 1실점 호투를 펼친 류현진. 많은 이들이 그 원인으로 패스트볼 구위가 돌아온 점을 꼽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그 비결로 지난 등판 때부터 급격히 구사 비율이 늘어난 슬라이더를 꼽고 싶다. 류현진은 고속 슬라이더를 마치 커터처럼 활용하고 있다.
 
컨디션이 좋은 날 류현진(30, LA 다저스)의 구종 패턴은 '변화무쌍' 그 자체다.
 
어떤 이닝에선 체인지업을 결정구로 삼다가도 어떤 이닝에선 기습적으로 커브를 이용해 카운트를 잡는다. 다른 이닝에선 변화구는 미끼일 뿐 패스트볼로 맞혀 잡기에 주력한다. 1일(한국시간) 경기가 그랬다. 1회 패스트볼을 낮게 제구하며 신중하게 경기를 풀어나가던 류현진은 2회엔 체인지업을 떨어뜨리다가 3-4회엔 높은 패스트볼을, 5-6회엔 다시 체인지업을 주무기로 삼았다.
 
그중 유독 돋보이는 구질은 패스트볼이었다. 메이저리그 공식 홈페이지 MLB.com을 기준으로 오늘 경기 류현진의 패스트볼 평균 구속은 90.8마일(146.1km/h). 이는 올해 류현진이 등판한 9경기 가운데 가장 높은 수치다. 늘어난 구속에 비례해서 구위도 남달랐다. 유난히 조용한 부시 스타디움에서 류현진의 공이 포수미트에 꽂히는 소리가 팡, 팡 들렸다.
 
물론 상대적으로 패스트볼에 가려졌을 뿐, 이번 경기에서도 류현진의 주무기는 체인지업이었다. 체인지업은 이번 경기에서도 류현진이 던진 모든 구종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29.9%, 23구)을 차지했고, 아웃카운트를 잡은 횟수(7아웃)도 가장 많았다. 그러나 필자는 다른 구종에 주목해보고 싶다. 그 구종은 바로 슬라이더다.
 
지난달 19일 불펜 등판 때부터 구사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슬라이더가, 그 자체로서 위력이 있을뿐더러 다른 구종의 위력을 배가시켜주고 있기 때문이다.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는 마치 커터처럼 쓰이고 있다
 
류현진의 2014/2017년 패스트볼/슬라이더 구속/무브먼트 비교. 2014년에 비해 패스트볼 구속이 감소한 반면, 슬라이더의 구속은 오히려 늘어나 구속 차이가 거의 없어졌다. 대신, 무브먼트가 줄어들었다(자료=브룩스베이스볼)
 
1일 경기에서 류현진의 슬라이더 평균 구속은 86.3마일(138.9km/h)을 기록했다. 그중에서 74.3마일을 기록한 공 1개를 제외하면, 슬라이더 구속은 87.0마일(140.0km/h)까지 늘어난다. 1일 경기에서 기록한 패스트볼 평균 구속에 비해 6.1km/h 낮다. 이는 평균적인 패스트볼과 슬라이더의 구속차(!3.4km/h)를 고려했을 때, 거의 절반에 지나지 않는 수치다.
 
반면, 일반적으로 좌투수가 던진 슬라이더의 횡 무브먼트가 -1.64인치(-4.17cm)인데 반해, 1일 류현진의 슬라이더는 횡 무브먼트 1.41인치(+3.58cm)를 기록했다. 좀 더 간단히 말하자면, 류현진이 던진 슬라이더의 횡 무브먼트는 일반적인 투수보다 7.75cm만큼 '덜' 휜다. 따라서 헛스윙을 유도하기엔 불리하다(헛스윙 비율 체인지업 18.7% 슬라이더 8.2%).
 
대신 앞서 말한 대로 6.3km/h만큼 빠르기에 생기는 장점이 있다. 류현진의 슬라이더는 그의 구종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12.24%)로 땅볼을 유도하고 있다. 현재까지 류현진의 슬라이더를 쳐서 뜬공을 만들어낸 타자는 아무도 없다(뜬공 비율 0.0%). 즉,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는 '빗맞은 타구'를 양산하고 있다는 것.
 
어렵게 설명했지만, 우리는 이런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와 흡사한 특징을 가진 구종을 이미 알고 있다. 바로 컷 패스트볼이다(리그 평균 커터와 포심의 평균 구속차 7.2km/h). 만약 류현진의 구속 슬라이더를 컷 패스트볼이라고 생각한다면, 최근 류현진의 포심-투심 비율이 20%대로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류현진이 호투를 펼치는 원인도 이해할 수 있다.
 
컷 패스트볼(이하 커터)은 브레이킹볼로 분류되는 슬라이더-커브와는 달리, 포심 패스트볼-투심 패스트볼과 함께 패스트볼 계열 구종으로 분류된다. 불펜 투수들은 아예 포심-투심이 아닌 커터를 주력 패스트볼로 던지기도 한다(브라이언 쇼, 마크 멜란슨 등). 선발 투수 중에선 포심-투심 비율과 커터 비율이 1:1 가까이 되는 선수도 있다(제임스 실즈, 스캇 펠드먼 등).
 
이들의 특징은 대부분 '맞혀 잡기'에 주력하는 투수들이라는 것. 류현진이 슬라이더 비율을 20% 이상으로 늘린 최근 두 경기 10이닝 동안 6탈삼진으로 평소보다 적은 삼진을 잡아냈지만, 경제적인 투구를 할 수 있는 것은 우연이 아니란 얘기다. 구종 분류 업체가 슬라이더로 분류하건, 류현진이 본인의 구종을 뭐라고 명명하건, 그의 고속 슬라이더는 마치 커터처럼 쓰이고 있다. 
 
늘어난 고속 슬라이더 비율, 선발 경쟁 속에서 류현진이 찾아낸 해법
 
[그림 1] 류현진의 구종 비율 및 평균자책 변화
 
올 시즌 류현진의 성적은 패스트볼 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류현진은 패스트볼 비율이 40% 이상인 4경기에서 평균자책점 6.98을 기록했다. 반면, 패스트볼 비율이 40% 이하인 5경기에서는 평균자책 1.69를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특징은, '선발 투수가 패스트볼 비율이 50% 이하이면 문제가 있다'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류현진의 전망을 어둡게 했다.
 
그러나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가 메이저리그 투수들이 말하는 커터라면, 류현진의 패스트볼 비율엔 문제가 없다. 올 시즌 류현진의 포심-투심 패스트볼과 커터처럼 활용하는 고속 슬라이더 비율을 더하면 57.5%다. 이는 커터를 15% 이상의 비율로 던지는 선발 투수들과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 구종 비율이기 때문이다.
 
고속 슬라이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최근 경기 3경기로 한정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어쩌면 늘어난 고속 슬라이더 비율이야말로 치열한 선발 경쟁 속에서 류현진이 찾아낸 해법일지도 모른다.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를 주목해보자. 


영상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40,36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야게 운영원칙 (2016.06.03) (1) 가생이 04-06 375041
7887 [MLB] 숭완오 ㄷㄷㄷ (1) 조홍 06-01 1427
7886 [MLB] 오늘자 류현진 HL - 6이닝 1실점 4K (77구) (1) 수요미식신 06-01 2165
7885 [MLB] 오늘 시나리오 최상이네요 (3) 조홍 06-01 1177
7884 [잡담] 류현진을 비롯해 우리나라 메이져리거들을 보면... (1) 흑룡야구 06-01 1373
7883 [MLB] 오늘자 오승환 HL - 1이닝 2K 무실점 12세이브 (3) 수요미식신 06-01 4551
7882 [MLB] [영상] 에릭 테임즈 시즌 14호 홈런 폭발! (2) 무겁 06-01 1808
7881 [MLB] 6.2 중계일정 만수르무강 06-01 534
7880 [잡담] 불창용 변천사 (3) DISS 06-01 1175
7879 [잡담] 오승환 메이져 생명연장을위해 첸접 연마 ㄷ DISS 06-01 2513
7878 [MLB] [이현우의 MLB+] 류현진의 고속 슬라이더를 주목하라 러키가이 06-02 1281
7877 [MLB] 170602 오승환1이닝 2K 시즌 13세이브 달성 풀영상 (14) 암코양이 06-02 4546
7876 [잡담] 다져스 골질.ㅋㅋ (8) llllllllll 06-02 2597
7875 [MLB] ML 출신 외인들도 놀란 김태균 84G 연속 출루 (5) 러키가이 06-02 3303
7874 [MLB] 오승환 13세이브 현지해설(다저스 중계진) (1) 암코양이 06-02 2281
7873 [KBO] 방금 SK : 한화전ㅋㅋㅋ (4) llllllllll 06-02 1195
7872 [MLB] 6.3 중계일정 (김현수 / 추신수 출전) 만수르무강 06-02 605
7871 [KBO] 이겼지만 뭔가 찜찜하네요 (1) 백전백패 06-02 1789
7870 [MLB] 커쇼 2000탈삼진 달성 후 괴물이 깨어남 (4) 루니 06-03 2026
7869 [기타] 프로야구 인기 대단하네요. (29) 신비은비 06-03 2301
7868 [MLB] [조미예의 MLB현장] 화제였던 류현진의 커터, "카이클 … 러키가이 06-03 2367
7867 [MLB] 6.4 중계일정 (추신수 출전) 만수르무강 06-03 746
7866 [KBO] '연인과 함께 보고 싶은 스포츠' 1위에 남녀 … 신비은비 06-04 1252
7865 [MLB] 6.5 중계일정 (추신수 출전) 만수르무강 06-04 576
7864 [MLB] [영상]에릭 테임즈 LA 다저스전 첫타석 - 시즌 15호 홈… (2) 무겁 06-05 2123
7863 [MLB] 트리플 A 박병호 근황 (1) 딸기가좋아 06-05 3103
7862 [잡담] 강씨 이넘 사고만 안쳤어도 (12) 루니 06-05 3782
7861 [MLB] 6.6 중계일정 (류현진 출전) (7) 만수르무강 06-05 1485
 <  1201  1202  1203  1204  1205  1206  1207  1208  1209  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