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3-05-12 21:51
[MLB] [펌글] MLB 스트존 우리가 짜게 느끼는 이유
 글쓴이 : 송스
조회 : 3,422  

류현진 존을 가장 잘 파악할수 있는건 

역시 루킹 삼진 상황을 살펴 보는건데요


오늘 제가 판단한 생각을 여러분과 공유하고 싶어서

한번 글을 써봅니다



스트라이크존 박스를 보는 건

포수 시점입니다

이걸 오늘에야 알다니 ㅡㅡ;;





애리조나 전입니다

이날 류현진은 우타자 몸쪽 루킹 삼진을 총 4개를 잡았습니다



-1.0 피트에 나란히 찍힌 루킹콜들

이건 폴락,페닝턴,프라도 삼진 콜로 보입니다

이 그래픽상으로는 박스 밖 볼입니다


그러나 이 3삼진은 중계 화면상으로도 충분히 꽉찬 공으로 보였습니다



-1.3피트 쯤에 찍힌 혼자 멀리 떨어진 스트라익콜

이건 쉽게 봐도 유추가 가능할거 같네요

류뚱 팬이 중계상으로봐도  살짝 빠진걸로 보인 공

골디 몸쪽 슬라이더 루킹콜로 보이는군요







메츠전입니다



-1.3피트쯤 혼자 잡힌 스트라익콜

이건 역시 보면서도 심판이 도와줬다고 생각한

두다 바깥쪽 슬라이더 루킹 콜로 보이네요










롸키스전입니다

총 5개의 루킹 삼진을 잡아냈네요

-1.0피트 쪽에 찍힌 콜

이건 파체코 루킹 삼진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우타자 바깥쪽 1.0에 찍힌 빨간점 토레알바 커브 루킹 삼진으로 보이네요

전부 충분히 유관상 스트라익 꽉찬공이었습니다





이 브룩스 베이스볼 존 자료를 보면서 느끼점은 먼가 하면


국내나 어디를 봐도 저 박스상으로 잡아주는 심판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일례로 저 그래픽 박스가 중계중에 도입된 이례로

우리는 박스 바깥쪽에 찍힌 공에도 루킹 삼진 당하는 공을 많이 봐왔죠


그리고 실제로 플레이트 안에 들어온 공만으로 콜을 주기엔

플레이트가 너무 좁아요 



느끼신분은 알지 모르겠지만


저 플레이트 좌우 -1.0    1.0 피트까지가 

우리가 유관상 중계상으로 보이는 꽉찬공 보더라인 피치로 보입니다


일단적으로 저 1.0 피트 사이즈를 벗어나면 빠진공으로 보이구요


저 그래픽 자료와 류뚱 경기를 다시 본 결과

거의 정확히 일치하네요




그래서 저의 판단은

저 브룩스 베이스볼로 앞으로 존을 판단할때는

1.0피트.-1.0트까지는 심판의 평균적인 통념상 존으로 보는겁니다


1.0피트 내로 던졌는데도 볼을 주면 이건 짜게 줬다는거죠






오늘 마이애미전입니다

-1.0 피트에 콜로 찍힌 공이 보이네요

이건 돕스 스트라이크 잡은 슬라이더로 보입니다

중계상으로 충분히 스트라익으로 들어왔습니다




우타자 바깥쪽 1.3피쯤 콜을 받은 공이 있네요

이건 경기 후반부에 존이 갑자기 넓어진 느낌이 들게 만든 바로 그 공입니다

6회 오즈나 바깥쪽 직구 콜로 보이는군요


1.0피트를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잡아줬습니다

화면상으로도 많이 빠진 공이었는데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1.0피트가 곧 스트라이크존 보더라인이다

1.0피트가 벗어났음에도 잡아주었다면

심판의 콜 도움을 받은것


1.0피트 내에 들어왔음에도 잡아주지 않았다면

우리가 짜게 느끼는게 당연한것 정도가 되겠네요

[엠팍 비터스윗] 유용한 정보인것 같아 올립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송스 13-05-12 21:55
   
결론은
좌우 1.0 피트의 차이는 주심마다 스트라이크 존이 다르다는것을 보여준다는것
심판마다 존이 다른 성향을 가지고 있으니
 경기마다 누가 심판의 존에 적응을 더 빠르게 잘하느냐가 관건이라는것..
그래서 매덕스가 경기 시작하면 좌우상하 던져서 스트라이크존을 확인했었던듯하네요..
     
아콰아아 13-05-12 21:59
   
각팀들도 경기전날 심판 누군지 파악해놓고

보란듯이 보드판에 심판 이름 적어놓는다고 하잖아요.
          
송스 13-05-12 22:03
   
사람이 주관하는 경기는 오심도 결과로 받아들일수 밖에 없겠지요..
심지어 축구에서는 들어갔다 나온공도 노골 선언하면 끝이고
오프사이드 선언 잘못해서 골 날라가는 경우도 종종 있고
분명히 경기에는 실력도 따르지만 경기운 babip과.. 심판배치운도 따르는거겠지요..
물론 상대팀도 같은 심판과 한시합을 뛰니 제구 적응력도 실력이라면 실력이라는거.. ㅋ
군자의도리 13-05-12 22:12
   
뭐 지금까진 적응잘하고 있는거 같지만, 류현진은 MLB 신인이고 하니 심판판정에 일희일비하지말고 경험많은 포수가 요구하는 곳에 꽃아넣는게 최선같음..
     
송스 13-05-12 23:04
   
미트로 쏘옥~ 넣어버림 좋겠지요 ㅋ
허나.. 경기당일날에 따라 브레이킹볼 컨디션이 기복이 크더군요..
베리알 13-05-12 22:28
   
그래서 매덕스가 정말 대단해 보임. 경기 초반 상하좌우 구석구석 공 찔러보고...
"오늘 심판 스트존이 이렇군... 오케."
아... 정말 경기장에서 다시 보고 싶은 매덕스. 정말 좋아했는데... ㅜ.ㅜ
     
송스 13-05-12 22:35
   
엄청난 무브먼트를 가진공들을 자유자재로 다루며 적재적소에 던졌던..
컨트롤의 마법사 매덕스 ^^ 투심의 움직임이 아주 춤을 추던 그분.. ㅋㅋ
          
패리 13-05-12 22:46
   
요즘 구로다 투심보면 매덕스가 불현듯 한번씩 생각나더군요.

구로다는 나이를 거꾸로 먹는거 같아요.
               
송스 13-05-12 22:54
   
투심, 싱킹 패스트볼 움직이는 느낌이 흡사한면이 있더라구요..
조으다 13-05-13 00:36
   
확실히 박찬호 전성기 시절하고 비교해보면 현재의 메이져리그가 스트존이 조금더 타이트하다고 느껴집니다.

특히 타자 바깥쪽 공에 대해서는 미세하지만 전체적으로 더 타이트해진거 같네요.

의외로 가끔 일본야구 보면 스트라이크존이 한국이나 미국보다 더 넓은거 같더군요 포수 미트질에도 잘 속는거 같고.
     
송스 13-05-13 00:53
   
메이저 투고타저 영향도 없지않아 있을듯 합니다..
국내도 투고타저 겪으니 스트존 넓혔던거로 기억하고
경기의 재미를 위해서 밸런스를 KBO,MLB 같은 위원회에서 맞출때가 있더군요..

이런말 드리면 npb팬분들은 기분나쁠수도 있겠지만
솔직히 흔히하는 우슷개소리로.. 일본은 태평양존이라고 생각되요..
어떤건.. 아 이건 진짜 아닌데 싶을때가 있더라고요.. ㅋㅋ
돼호가 고생이 많지요.. 일본놈들은 투수전을 좋아하는듯..
헤이 13-05-13 02:16
   
     
송스 13-05-13 02:20
   
위즈님글에 댓글도 달아놓았지만..

이번 경기 류현진보다 상대투수 케빈 슬로위가 더 불리하게 판정 받았습니다..

그리고 위에 글은 제가 작성한게 아니고.. 엠팍이라는 곳에서 퍼온겁니다..

자료를 너무 제 입장에서 유리한것만 가져온것은 맞는데..

원래 게시판이나 커뮤니티라는게 취지가.. 제가 유리한것을 가져오면 다른분이..

그것에 대한 반박 정보를 가져오는게 맞다고 생각하고요

물론 류현진이 더 박하게 평가받았다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헤이님이 말씀하듯 위에 자료도 엠팍이라는 곳에 한분의 주관이 강하게 작용한 점 인정하고요 다만.. 여기서 제가 말씀드리고 싶었던것은..

심판마다 스트존의 성향이 다를수 있다.. 이것을 말하고 싶어서 가져온 글일뿐입니다..
헤이 13-05-13 02:23
   
송스님 제가 술이 취해서 글 잘못 올렸어요. 죄송합니다.

정말 죄송해요,..  게시글 다시 읽어보니 아주 좋은 글 같습니다.
     
송스 13-05-13 02:25
   
아.. 뭐 술한잔 걸치면 그럴수도 있는거지요^^
덤벨 13-05-14 16:26
   
이래서 지저분한 투심이 효과를 본다는것.. 미트에 들어온 위치와 주심 판단의 볼 위치가 많이 다르게 느껴져 종종 시비를 유발 시킴 ㅎㅎ
 
 
Total 40,36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야게 운영원칙 (2016.06.03) (1) 가생이 04-06 375920
4729 [MLB] 루키들 다른사진도 떳네요!! (5) 드러가따 09-27 3420
4728 [MLB] ESPN"추신수 택사스에 없는 특별한 3가지를 가졌지만 … (1) 루니 11-15 3420
4727 [KBO] KBO 10구단 재무현황과 계열사 의존도.jpg (8) 신비은비 02-11 3420
4726 [MLB] 현수, 내년 신인왕할듯 (20) 순둥이 12-24 3420
4725 [MLB] 류 가을야구 2차전에 등판하는 '진짜' 이유 (10) 러키가이 09-29 3420
4724 [MLB] 가을이 오면...추신수는 미치네요ㅋ (12) VanBasten 09-09 3421
4723 [MLB] 강정호의 언행일치 (2) foyo 05-07 3421
4722 [MLB] 미네소타가 들썩, 박병호의 새 출발 (4) 코카인콜라 12-03 3422
4721 [국내야구] 2010 골든글러브 포지션별 수상자 (5) 조조맹덕 12-11 3423
4720 [국내야구] 폭풍감동이란 이런거지 (3) 은공 08-09 3423
4719 [MLB] 메이저리그 타순정말대박이죠 (3) 이젠그만아 08-07 3423
4718 [MLB] [펌글] MLB 스트존 우리가 짜게 느끼는 이유 (16) 송스 05-12 3423
4717 [MLB] 펜스의 5년 90m으로 짐작하는 추신수의 계약 (45) 저여자좀봐 09-29 3423
4716 [MLB] [영상] 세인트 루이스 오승환 시즌 10 세이브 달성 (9) 민기차 05-14 3423
4715 [NPB] 日 언론,"오승환 투구폼,한일문제 비화 가능성" (3) 암코양이 02-18 3424
4714 [MLB] 야구하다 지림!! (11) 알마니폴테 07-13 3425
4713 [잡담] 초속과 종속에 대한 짧은 다큐(?) (2) zxczxc 10-03 3425
4712 [KBO] 이번은 '범죄시리즈' (17) 순둥이 10-24 3425
4711 [MLB] 이대호 시즌 14호 홈런 현지코멘터리+다이나믹 버전 (7) 암코양이 09-09 3425
4710 [잡담] 어느 풍수가의 다나카 분석... (2) 고고싱 03-07 3426
4709 [NPB] (2부) 일본야구팬들, "야마다, 강정호만큼 해주지 않… (10) 귀요미지훈 06-07 3426
4708 [MLB] [질문] 추신수 문신 (2) 고로공 04-06 3427
4707 [MLB] 류현진, 퀄리파잉 오퍼 거절해야 한다 (12) 러키가이 10-31 3428
4706 [잡담] 이정후의 역대급 시즌 - 아버지 이종범을 넘었을까? (16) 지니안 10-05 3428
4705 [기타] 오릭스가 내년 사채업에 뛰어듬. (3) 33 12-20 3429
4704 [MLB] 류현진의 체인지업 그리고 임창용의 패스트볼... (3) hotbet 07-18 3429
4703 [MLB] 이제 강정호한테 브레이킹볼 위주로 가는군요 (4) 론리스트 05-13 3429
 <  1321  1322  1323  1324  1325  1326  1327  1328  1329  1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