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야구게시판
 
작성일 : 13-07-29 16:19
[잡담] 솔직히 커브하고 포크볼은
 글쓴이 : DISS
조회 : 2,498  

쉽게 던질수 있지않음?
포크볼은 손가락힘이 좋고 손가락이 길어야 된다고는 하지만
전 손가락이 길고 잘 벌어지는 편이라 되는듯
커브는 손목 돌리면서 회전거니까 팔에 무리가 가더라구요...
슬라이더 만큼은 아니지만 커브도 힘들웅...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니코타르 13-07-29 16:40
   
제대로 연마한 포크는 정말 무서운 구질중에 하나인 것은 분명합니다만
포크가 아주 까다로운 구질중에 하나인 이유는 기본적으로 신체적 조건이 받쳐줘야 하는것도 있지만
볼의 낙차보다도 어느구간에서 떨어지느냐가 큰 문제입니다.
너무 빨리 떨어지면 타자들이 쉽게 구별하고 너무 늦게 떨어지면 느린 직구와 다를바 없는 공이니까요
그것을 맞춰가는게 가장 힘든 것이고 다른 구질에 비해서 팔과 손에 상당히 무리를 주는 구질이기도 하구요.
포크를 연마하는 시간에 다른 구질을 연마하는게 더 효율이 좋기 때문에 포크가 예상외로
선수들 사이에서 많이 쓰이지 않는 이유입니다.
     
DISS 13-07-29 16:47
   
확실히 일찍 빠지면 그냥 아리랑볼 되서 망함
너무 늦게 빠지면 패대기
적절하게 맞추는게 힘든듯.
흑룡야구 13-07-29 18:00
   
솔직히 사회인 야구 10년차 탈삼진 왕인데요, 직구만 잘 던지면 다른 변화구는 응용하면 됩니다.

직구를 장착하는데 5년 이상 걸린다는게 맹점이죠.(투구폼을 완성시키고 손목 쓰는 법을 제대로 배우는데 그리 걸리네요.)

일단 직구가 장착되면 슬라이더부터 배우는데 그냥 던지기는 쉬워뵈도 무기화 하는데 1년 이상은 걸린 것 같고, 커브도 정말 직구처럼 잘 때려야 되는데 그게 어렵습니다.

포크는 늦게 시작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원리는 아니까 쉽게 배웠는데 한번씩 어처구니 없이 빠져서 결정적일 때 못 던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대로 들어가면 직구처럼 빠르게 가다가 훅 꺾이는데 제 공 치려다가 허리 담 오신 분들 여럿 있었죠. ㅋ

참, 실전 구사 비율은 직구, 슬라, 커브, 포크가 각각 6 : 2 : 1 : 1
DISS 13-07-29 18:20
   
너클볼 손가락으로 쭉 미는방식으로 던질라다가 손가락 나가는줄 알았음..;;;
한글만세 13-07-29 18:37
   
제대로된 포크볼은 타자들이 평하길 배팅 코스로 날아오다 순간적으로 시야에서 공이 사라져 버린다고 하던데 이표현이 정확한것 같네요 특히나 불리한 볼카운트에서는 시야에 들어오면 타자들이 반응을 하기 마련인데 롯데 조정훈이 부상당하기전에 타자들이 속수무책 당한게 기억나네요..조정훈 포크볼은 3가지 각도로 떨어진다죠..
     
흑룡야구 13-07-29 18:39
   
그런 이유가 포크볼 제대로 구사할 줄 알면 SF도 쉽고, 백도어 슬라이더나, 슈트 같은 공도 쉬워 집니다.

거의 같은 원리로 실밥을 거냐, 마냐니까요.
검은털 13-07-29 20:14
   
변화구 제대로 할라면 되게어렵고 직구가 뒷받침안되면 그냥 아리랑볼이에요 ㅋ
그리고 변화구중에 제일쉬운게 변화구라고 하긴그렇고 패스트볼계열인 투심이랑 커터가 그나마 빠르면서
던지기도쉽고 컨트롤도쉬워요. 일반인 타자들은 살짝만 꺽여도 많이 휘는거같은 착각합니다 ㅋㅋ
그냥 투심그립잡고 직구던지면되고 커터역시 커터그립잡고 중지에힘을더준다는생각으로 직구던지듯 던지면
되니깐 슬라이더 커브 포크보다는 훨씬쉬울거임 ㅋㅋ
임xx 13-07-29 20:47
   
흠...가끔씩 보는 사회인야구 변화구라고 던지는데
왜 제 눈엔 전부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아리랑볼로 보일까요?
     
둥근나이테 13-07-29 21:09
   
zzzz 공감. 구속이 안 나오고 어깨가 약해서 패스트볼도 포물선으로 날아감. 직구도 그런 판에 무슨 슬라이더며 커브인지 ㅡㅡ;
 
 
Total 1,96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 [잡담] 구로다도 대단함 ; (3) 선장멕쿠첸 07-30 2661
23 [잡담] 신시내티 4연패 ;; 선장멕쿠첸 07-30 1495
22 [잡담] 추신수 일주일간 못나옴?????? (2) 선장멕쿠첸 07-30 2349
21 [잡담] 추신수 아쉽네요 . 선장멕쿠첸 07-30 1432
20 [잡담] 임창용 깜짝 등판 안하나 ㅋ (2) DISS 07-29 1734
19 [잡담] 솔직히 커브하고 포크볼은 (9) DISS 07-29 2499
18 [잡담] 중학생의 흔한 구속뻥튀기 (21) 검은털 07-29 5185
17 [잡담] 애틀랜타 ㄷㄷ 하네 (2) 선장멕쿠첸 07-29 2486
16 [잡담] 강력한 신인왕 후보 밀러 오늘경기 결과 (3) 선장멕쿠첸 07-29 3093
15 [잡담] 오 밀러 털리고잇음 ㅎㅎㅎ (2) 선장멕쿠첸 07-29 2596
14 [잡담] 지금 다저스 기세는 세인트랑 맞먹을듯 선장멕쿠첸 07-29 1552
13 [잡담] 2013 NL 신인왕 .......... (2) 선장멕쿠첸 07-29 2261
12 [잡담] 8/3 컵스전 기대합니다. (2) 선장멕쿠첸 07-28 1483
11 [잡담] 오늘은 여러모로 씁쓸한 주말인듯.. (3) 쿠오레 07-28 1782
10 [잡담] 류현진 방어율 계산 . (5) 선장멕쿠첸 07-28 2777
9 [잡담] 류현진 힘들지도 모르는 경기 (13) 선장멕쿠첸 07-28 2718
8 [잡담] 첫해 류현진 단순 승수만 따지면 박찬호좋네요 (12) 광이 07-28 3113
7 [잡담] 이대호가 무시를 많이 당하네요 (33) 열심히해요 07-28 5381
6 [잡담] 류현진은 홈에서는 류쇼 ㅇㅇ 선장멕쿠첸 07-28 1826
5 [잡담] 추신수 , 류현진 지금까지 성적 선장멕쿠첸 07-28 1456
4 [잡담] 류현진 다음경기는 시카고 컵스 .. 선장멕쿠첸 07-28 1634
3 [잡담] 신기할따름,, (3) 깨끗돌이 07-28 2460
2 [잡담] 오늘보니 이대호 오승환 메이저리그 성공하기 힘들… (9) 사오정 07-28 3038
1 [잡담] 벨리사리오 (3) Nice 07-28 1513
 <  71  72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