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8-09 10:09
후성 1차테스트 성공했단 불산이 순도 99.9999999인가요?
 글쓴이 : 타오레지문
조회 : 2,340  

그동안 일본에서만 독점수입했다던 초고순도 99.9999999짜리인지가 궁금하네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왈도 19-08-09 10:10
   
전설의 1군 트웰브 나인이요? ㅋㅋㅋㅋㅋㅋㅋㅋ
황룡 19-08-09 10:10
   
그 소수점 측정가능함???
     
왈도 19-08-09 10:12
   
가장 정밀한 가스분석기로 텐나인까지는 측정이 가능하대요. 하지만 일본은 전설의 1군 가스라 트웰브 나인 달성했다고 함.
히포 19-08-09 10:11
   
99.9999999? 일본 어느 회사가 이렇다고 하던가요????
Wombat 19-08-09 10:13
   
순도 99.999% 다섯짜리면 됩니다
예를들어 어떤 맛집에 공급하던 양념장 회사가 이젠 안준다고 해서 번거로와 진거지 순도는 큰요점이 아님니다
죽여줘요 19-08-09 10:13
   
99.999가 솔브레인 후성이고

스텔라가 99.9999 였다고 함

트웰브 나인은 단가 문제 때문에 대량생산 하는 순도가 아니고 연구실에서 보는 순도고 당연히 기레기 소설 진공시설 갖추지 못하면 트웰브 나인 안나온다고 함
 당연히 저장 유통 단계에서 진공시설에 보호받지 못하면 당연히 오염되고 트웰브 나인 안나옴
이번에 한국업체들이 99.999에서 99.9999 성공한듯

순도도 문제지만 불순물의 입자 크기가 몇 이상이면 안된다고 알고 있음요 그리고 황화결합물인가 그게 제일 문제라 그걸 아예 제거 한 불화수소가 요구된다고 하고
T게이트 19-08-09 10:15
   
제가 듣기로는 99.99 나 99.99999999 의 차이는 품질의 차이가 아니라 비용의 차이라고 들었어요

99.999999 까지 순도를 체크하려면 99.99 체크시 사용되는 불산의 양보다 훨씬 많은 양의 불산이 사용되기 때문에
비용적인 측면에서 우리나라는 굳이 99.99 이상 측정 할 필요가 없었다고 하더라구요

다시 말하면 99.99 % 라고 표시 하지만 99.999999... %와 차이 없다 라고 하더라구요
신용문호텔 19-08-09 10:15
   
요즘 일본에서 하는 제품테스트 사기가 많습니다.특기 대기업들도 제품테스트 왜곡하다 걸리고 있습니다
일본넘들이 품질품질 하다가 사기까지 많이 치기때문에 측정안되는 제품은 믿지 않는게 좋습니다
     
발랑발랑 19-08-09 10:22
   
네... 다본 기업 요즘,, 테스트 사기 친거 많이 걸렸죠.
강냉이수염… 19-08-09 10:19
   
99.999임  그정도면 충분하다고 관계자가 뉴스에서 말했음, 일본만큼의 순도는 아직 무리지만 필요하면 개발 오래 걸리지 않아 순도 높일 수 있다는 이야기도 함
Elan727 19-08-09 10:20
   
실제로 파이브 나인만 돼도 충분해서 오히려 트웰브 나인은 오버스펙이라 있어도 단가때문에 사용을 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꾸물꾸물 19-08-09 10:20
   
실험실에서 작정하고 만드는건 관련 업계에서는 어려운건 아닙니다. 전문 연구기관과 사업체 연구소와의 차이를 굳이 나눠서 일반화하면, 전문 연구기관은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고, 사업체 연구소는 그걸 상용화로 이을 수 있게하는거죠. 뭐 요즘은 큰 회사들이 직접 관리하거나, 협력관계로 관리하거나 지원하거나 해서 경계가 모호해진부분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기준선이 있죠. 이 기준선만 넘기면 상업적 활용에 문제가 없습니다. 대신, 기준선과의 차이가 클 수록 비용 절감이 가능하죠. 그래서 수율을 맞추고, 안정화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를 하는거죠.
야호야호 19-08-09 10:22
   
제가 불산관련 기사들 보니까. 불산 순도문제보다.
불산이 세척, 식각(깍아내기)등등 반도체 공정에서 수십 수백가지 공정에서 쓰이고 이거마다 불산에 계면활성제를 섞던지 순도를 조절하던지 하면서 쓴다고 하네요. 그중에 고순도가 필요한것도 있긴하겠죠.
쉽게 말해서 술(알코올)을 쓴다고 뭉뚱그려도 각 공정마다 소주를 쓸지 맥주를 쓸지 와인을 쓸지 다 레시피가 있어서 이걸 다 하나하나 맞춰서 조절하는게 귀찮고 힘든 모양이에요..
그걸 바꾸는 대작업을 시작한거고 한번 바꾸면 다시 원상복구는 또 저짓을 해야하니 불가능에 가깝다고 하네요.
Irene 19-08-09 10:26
   
불산의 순도가 높은건 정제를 그만큼 많이 해야
만들수 있는 거고 당연히 생산 비용도 정제율에
따라 폭증합니다
가격이 동일하다면 모를까 그렇지 않은데 필요
순도 이상의 고순도 불산은 필요가 없습니다
totos 19-08-09 10:34
   
초고순도 불산도 수소,헬륨을 포함하고, 이걸 다 포함해서 최대 정제 순도가 6N 입니다.
이게 식각에 영향을 주지 않으니 수소, 헬륨을 제외하고 불산 순도를 따지면 12N 까지 달성 가능하다는겁니다.
메모리 라인에서 3N, 4N 씁니다.
반도체에서는 수소,헬륨 제외한 순도를 얘기하는거고, 화학쪽에서는 포함한 순도를 언급하더군요.
일본에서야 9N, 12N (수소, 헬륨 논외) 을 언급하는거고 전세계적으로 초고순도는 3N~6N 카테고리 입니다.
인사동 19-08-09 10:40
   
일본 덕분에 우리가 반쯤 반도체 전문가 되어가고 있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