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0-11-14 20:13
폴란드 차기전차사업 이탈리아와 스페인과 함께 하기로..
 글쓴이 : 클라이버
조회 : 1,741  

10조가량의 자금이 투입되는 폴란드 차기전차사업에 
이탈리아와 스페인에 같이 개발하자고 제의했다는군요..
이탈리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스페인은 답을
기다리는 중이라네요..애초에 프랑스와 독일의 전차사업에
폴란드가 참여했으면 이렇게 복잡해지지 않았을텐데..
프랑스와 독일의 거부로 마땅한 사업처를 찾다보니
현대로템의 K-2가 시야에 들어온거죠..그리고 혼자
사업을 진행하기 어려우니 이탈리아와 스페인을
끌어들인건데 잘되길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ashuie 20-11-14 20:17
   
흠..뭔가 아쉬운 결론이 날꺼같아서 좀 그렇네요
매일노가다 20-11-14 20:24
   
사공이 많아질 수 록 산으로 가는데..
오순이 20-11-14 20:27
   
로템이 이것저것 다 제안햇는데 내키지 않나 보군요.
빨리 문제 파악해서 보안해야죠.
Requescat 20-11-14 20:30
   
파워팩이 발목을 잡은게 아닐까요 아쉽
     
새끼사자 20-11-14 20:45
   
파워팩이 문제가 아니라 K2 자체가 만들고 난 뒤 업글을 한번도 안해서 현재 새로 시작되는 전차 스펙상 너무 뒤떨어져 있는 탱크라고 보는 게 맞다고 봅니다. 국산 파워팩은 엔진 특성상 거북이 엔진이라서...내세울 것도 없기도 하고요..특히 폴란드는 러시아 엄청 신경쓰는 애들인데.. 스펙상 비비려면...손 봐야 할 게 너무 많다고..K2가 개발 지지부진해 지면서 가격도 절대 싸지 않으니(혹자들 말에 의하면 세계 최고가 탱크가 되었다는 소리도 듣는 상황이니)..주판알 굴리기가 힘든듯..
Dominator 20-11-14 23:17
   
이탈리아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라...
당장 이베코-피아트가 3.5세대 전차개발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가능할까 싶네요.
이탈리아가 독일-프랑스 합작인 MGCS에 참여 하려고 한 근본적인 이유가 자국기술만으로 3.5세대 전차개발을 할 수 없다는 결과를 도출했기 때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예산문제 포함)

뭐.. K-2 파워팩 문제는 상관 없는게.. 이베코-피아트도 1,500마력대 전차용 디젤엔진 개발한 적 없습니다.
예전에 아리에테 업그레이드 얘기 나오면서 추진 하다가 접었죠.
결국 도긴개긴이라는 얘기예요.
성능문제도..현재 MGCS 기대스펙 자체가 K-2와 큰 차이가 없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보다 발전된 MCS체계와 ADS방호체계, 130mm 업건 정도인데, 현재 타당성 문제로 구현 가능성이 불투명한 업건 문제 제외하면 K-2도 비슷하거나 업그레이드가 예정돼 있고요.
가격 문제는 오히려 K-2가 유리한 상황 입니다. 애초에 폴란드가 구매예정인 MBT 숫자가 최소 600대 입니다. 게다가 체코까지 끌어들이면 약 1,000여대가 예상대수예요. 현재의 대당가격으로 얘기할 사안이 아니라는거죠.
상황이 이런데 K-2가 문제 있어서 폴란드가 계획을 틀었다는건 말이 안되고요.
올초 폴란드가 MGCS참여 거부당했을 때 폴란드와ㅡ독일언론에서 다룬 흥미로운 내용의,기사가 있었는데..
유럽내 군수지원 통합에 관한 내용이었습니다.
독일쪽에서는 유럽군수체계의 붕괴를 우려 하면서 MGCS 가입거부를 한 독일정부를 비판 했는데, 비슷한 시기에 폴란드도 똑같은 논조의 기사가 올라왔거든요.
다들 아시겠지만, 유럽은 차기 MBT 주포를 130mm로 옮길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뭐.. 2035년 이후의 문제입니다만, 어쨌든 향후 군수지원을 감안하면 K-2보다는 신형전차를 새로 개발 하면서 군수체계를 통합 하는게 유리하다 판단한 것 같습니다.
도나201 20-11-15 00:06
   
문제는 다음달에 결정날 덴마크의 차기전차구매사업에. k2가 선정되느냐 안되느냐. .
에 관건입니다.

현재로서는 이게 되면 폴란드는 당연히 사업진행수순으로 갈듯이 보이고,
uae의 구매 신청서도 슬슬 나올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그간 중지? 연기 되었던 오만 수출진행이 급속히 진행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