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0-11-14 19:22
(정보) 시소닉(컴퓨터 파워) 750 850 리콜 소식
 글쓴이 : 하이1004
조회 : 844  

- SEASONIC FOCUS PLUS FX 시리즈(단종품)에 국한된 이슈
- 2017년 생산품에 한함
- 증상 발현 제품은 2018년 이후 제품으로 교환 (ECN 개선)
- 소비자 불편 최소화를 위해 교체제품 선출고 진행


안녕하세요, 맥스엘리트입니다.


엔비디아 RTX 30 시리즈 출시 이후 몇몇 사용자께서 시소닉 포커스 골드 시리즈와의 조합에서 셧다운 증상을 리포트 하신 바가 있습니다. 이에 맥스엘리트는 정확한 원인의 파악과 증상의 구현 등 실제 증상을 확인하고, 이에 따르는 대응책을 준비하였습니다. 해당 기간 동안 명확한 원인의 제공과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못한 점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맥스엘리트는 증상을 발견하신 사용자분들의 제보와 동일하게 구성된 시스템 및 시소닉 파워 서플라이 등을 통해 해당 증상이 발현하는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라 아래와 같이 조치할 예정입니다.



1. 증상의 발현


https://coolenjoy.net/bbs/tip/326878?sfl=wr_name%2C1&stx=%EB%A7%A5%EC%8A%A4%EC%97%98%EB%A6%AC%ED%8A%B8&sop=and
https://coolenjoy.net/bbs/tip/327337?sfl=wr_name%2C1&stx=%EB%A7%A5%EC%8A%A4%EC%97%98%EB%A6%AC%ED%8A%B8&sop=and
https://coolenjoy.net/bbs/tip/335421?sfl=wr_name%2C1&stx=%EB%A7%A5%EC%8A%A4%EC%97%98%EB%A6%AC%ED%8A%B8&sop=and


해당 증상은 새롭게 발견된 것이 아닌, 과거 AMD VEGA64와의 조합에서 셧다운 현상이 발생하던 증상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몇몇 사용자들 께서 정격 출력 이하의 사용에서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을 보내신 바 있습니다만, 현재까지 증상이 발현된 모든 파워 서플라이를 디지털 파워 로더를 이용해 100% 부하 테스트를 진행한 바 모두 정상 통과하였습니다.


다만 멀티코어화 되고 있는 고성능 CPU와 GPU는 대부분 공개된 TDP와 달리 파워 서플라이의 정격출력보다 훨씬 높은 전력을 순간적으로(Peak) 사용하는 예가 잦습니다. 이런 피크 시에 파워 서플라이가 어느 시점에서 시스템 보호를 위해 전원을 차단할 것인가에 있어 문제가 발생한 제품은 시스템 보호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회로가 동작하는 증상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해당 증상은 AMD VEGA64와의 호환성 이유, 당시 증상의 원인 역시 확인된 바 있습니다. 맥스엘리트는 동일한 증상을 구현할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 디지털 파워 로더, 오실로스코프 등의 장비를 이용해 파워 서플라이를 테스트하였으며, 증상이 발견된 모든 파워 서플라이에서 정격출력에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다만 당시 이슈가 되었던 제품은 국내에 유통되지 않은 550W 제품이었고 유통된 상위 제품은 문제가 되지 않았기에 더 이상 조치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파워 서플라이의 보호회로는 양날의 검과 같습니다. 허용 한계치를 넘어서는 전력의 소모 시 어느 정도까지 이를 허용할지, 또 어느 시간만큼 이를 허용할지 각 제조사마다의 기준을 갖고 있습니다. 이때 좀 더 높은 전력과 오랜 시간을 버틸 수 있도록 만든다면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문제가 없다고 느끼실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하드웨어의 손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면, 시스템의 보호를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경우 이번 사례와 같이 시스템의 보호를 위한 파워 서플라이의 보호회로가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오인될 수도 있으니까요.



2. 문제가 발생하는 제품군


해당 증상은 몇 차례 언급드렸던 것처럼 AMD VEGA64 이슈 당시의 원인과 동일하며, 증상 역시 동일합니다. 당시 시소닉은 소비자들께서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하실 수 있도록 보호회로의 동작시점을 조정하는 ECN 작업을 진행한 바 있으며, 이는 VEGA64 이슈 당시 맥스엘리트가 이미 공지 드린 바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증상이 발생하는 제품은 '시소닉 포커스 플러스 골드'에 한하며,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회로(OCP)가 동작하도록 설정된 2018년 1월 이전 생산분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현재 해당 증상으로 AS 의뢰 건은 총 3건이며, 모두 RTX 3080, 3090 사용자이십니다. 이 중 이X규님은 FX850을 의뢰해 주셨으며, 2017년 10주차 생산품입니다. 김X석님은 FX750을 의뢰하셨으며 2017년 12주 생산품이었습니다. 이밖에 해당 증상으로 의심되는 AS 의뢰 건 한 건이 더 진행되고 있습니다. 관련 증상을 호소하시는 고객분들마다 제품의 입고를 요청드리고 있으며, 그 외 초기 정상판정으로 반송된 고객님들께도 저희가 다시 연락 드려 추가 확인을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3. ECN(Engineering Change Notice)이란


메인보드나 그래픽카드 등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펌웨어를 갖고 있는 제품은 이의 업데이트를 통해 호환성, 또는 새로운 기능의 지원 등이 가능합니다. 반면, 하드웨어만으로 동작하는 파워 서플라이의 경우 펌웨어 등을 통해 제품을 개선하기 쉽지 않습니다.


이에 따라 파워 서플라이는 출시 이후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며 단종 시까지 판매됩니다만, 위와 같이 약간의 개선이나 조정이 필요한 경우 설계와 구조는 유지하며 약간의 변경된 부품의 채용 등을 통해 호환성의 개선, 보호회로의 동작 시점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포커스 플러스 시리즈의 경우 앞서 설명 드린 증상에서 소비자들께서 조금 더 안정적으로 시스템을 사용하실 수 있도록 2018년 1월 생산분부터 보호회로의 동작시점과 이에 따르는 피크 시의 전력 사용에 파워 서플라이가 정상 동작할 수 있는 약간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4. 불량 여부 및 맥스엘리트의 대응 계획


해당 증상은 파워 서플라이가 시스템의 보호를 위해 얼마나 능동적으로 개입하느냐에 따르는 문제이므로 이를 불량으로 판정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아울러 100% 로드에 정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제품이 발견되는 경우 시소닉의 AS원칙에 따라 새 제품으로 교체해 드릴 것을 약속드립니다.


다만, 그래픽카드와 프로세서 등이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전력을 소모하는 증상이라 해도 해당 증상으로 인해 시스템의 정상적인 사용이 어려운 것이 현실인 이상 맥스엘리트는 소비자의 구제를 위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입니다.



5. 제품의 교체


5-1.
2018년 1월 이전 생산된 포커스 플러스 골드와 RTX 30 시리즈를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 중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조합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계신 것을 맥스엘리트가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페이지를 수일 내로 제공하겠습니다.



해당 제품 시리얼 확인 방법

모델명

시리얼 앞자리

750FX

R1708 / R1710 /R1712

850FX

R1710 / R1712



[ 파워 서플라이 상단 스티커를 통한 제품 시리얼 확인 ]

 


[ 제품박스 측면에 있는 시리얼 확인]


5-2.
하드웨어 구성이 확인되고, 해당 조합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증상이 발생하지 않는 이후 버전(2018년 이후 생산된 제품)으로 제품을 교체해 드리겠습니다.  고객님들의 시스템 사용에 불편을 끼쳐드리지 않도록 선출고로 진행하겠습니다.



6. 추가 정보의 제공


현재 맥스엘리트는 가용한 모든 장비와 샘플 등을 동원해 해당 증상의 일관된 발현과 이를 소비자들께 제공해 드릴 수 있는 자료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모든 테스트와 검증이 끝나면 조금 더 수치화되고, 그래픽 등으로 확인하실 수 있는 자료로 가공해 회원님들과 공유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7. 증상의 확인 및 원인 규명을 위한 테스트 베드 제공


몇몇 회원님들께서 해당 증상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계신 것을 보며 죄송스러운 맘 금할 길이 없습니다. 파워 서플라이의 품질 검증 역시 쉬운 일은 아닐 테고요.


해당 제품의 증상과 원인 등에 대해 앞서 설명 드린 부분에 의구심이 계시거나, 직접 시연되는 현상을 살펴보고 싶으면 회원님들께서는 언제든 저희 맥스엘리트 고객지원센터(1833-8287)로 연락 주시고 내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당사 연구소가 구비하고 있는 모든 장비와 해당 업계에서 30여 년 이상 종사하신 연구소장님 등의 서포트를 통해 증상의 구현과 파워 서플라이의 불량 여부 등을 객관적으로 검증하실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다 하겠습니다. 아울러 해당 과정을 유튜브 등으로 공유하고 싶으신 분들께서도 사전에 요청해 주시면 영상 촬영에 무리가 없도록 준비하고 맞이하겠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Collector 20-11-14 19:41
   
이야... 대충 읽어보니 이제 850와트로도 감당이 안 되는 시대인 건가요??? 대단허네...@@
     
하이1004 20-11-14 19:44
   
그냥 안전회로가 너무 예민하게 작동대는 문제.. 요세 주위 부품들이 순간적으로 많이먹을때가있어서요 머 그말이 그말같지만요
역적모의 20-11-14 20:25
   
개인적으론 누가 뭐래도 파워는 탑파워 ㅇㅅㅇㅋ

예전 이슈가 어쨌든 개인적으론 탑파워 ㅇㅅㅇㅋ
러시안레드 20-11-14 21:16
   
제꺼 찾아보니 R1710 리콜 대상이네요
요즘 쿨엔같은데도 잘 안가서 안보면 몰랐을텐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