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8-20 11:46
삼성반도체 연구원이 직접 분석한 일본 경제제재 결과는..
 글쓴이 : 바이코둠
조회 : 9,438  

대졸후 8년간 쭉 삼성반도체 연구원으로 근무하다가,  올해 3월인가 퇴직했다는 현직 유투버가  분석한 일본 경제 보복 
결과 분석 입니다. 

요점은, 불산화 규제에도 불구하고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결국 국산화는 2~3년안에 성공하는건 별 문제가 없는데...

정작 문제는 국산화 성공이 아니라, 과연 수율이 일본것만큼 나와주느냐가 최대의 문제라는것이 반도체 연구원의 결론.  

즉 예를들어, 일본산 소재로는 그동안 50%의 불량률이 나왔었는데, 새로 국산화된 소재로는 60%의 불량률이 나온다면
한국 업체들의  가격경쟁 치킨게임의 주도권 상실화가 우려되는데, 아베가 치밀하게 이 부분을 노렸다는 분석이네요.   

그외에도 향후 반도체 전쟁이  어떻게 전개되어 갈지..

일본이 반도체 경제 제재에 나선 이유가 무엇인지 냉철하게 3자의 시선에서 분석되어 있는 훌륭한 동영상이네요..

동영상 너무 길다 하시는 분들은 앞부분은 패스하고, 약 9분 정도부터 보셔도 됩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안녕히히 19-08-20 11:49
   
얘는 일본 소재 쓸때 일했겠죠, 국산소재 테스트 현황이라던지 국산 소재의 수준을 경험하지 않고 막연히 국산이 안좋을것 이라는 예상으로 평가 한 것,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습니다. 국산을 쓰면써도 경쟁사의 수율을 넘을수도 있는것이고, 이런 평가 없이 막연한 과거 경험 토대 예상 이죠
     
인천쌍둥이 19-08-20 12:28
   
22222222222222
     
푸른마나 19-08-21 01:21
   
하지만 이제까지 삼성이 반도체 치킨게임에서 승리한것도 수율때문이라는건 사실이기 때문에 어느정도 신빙성 있는 얘기죠...
          
본자아 19-08-21 06:09
   
아니 불화수소로 수율이 나오는거면
도시바는 자기나라꺼니 맘대로 써서 더 수율이 잘나와서
안 망했어야 되는거 아녀유

전혀 말이 안되는 소리인디 저걸 믿어유
일본산 재료들이 그렇게 좋았으면 일본이 반도체 다 먹었어야쥬
미국도 유럽도 일본도 다 삼성에 진 이유가 그래서 일본산 재료라는 거여유?
수호랑 19-08-20 11:57
   
초반에 반도체 개념 설명하는 부분은 흥미있었는데 반해 정작 일본의 경제보복과 관련된 분석은 기존에 이미 나왔던 분석들이랑 별반 차이도 없고 그동안 가생이에서도 여러차례 언급된 내용들이네요
하지만 전직 반도체 연구원이라서 그런지 반도체 자체에 대한 지식은 뛰어나신 듯
몽키헌터 19-08-20 11:57
   
자칭 전문가랍시고..

열 명이 보면 열 명이 다 다르게 보이고..
현상황은 어차피 정답은 없음.

내보다 똑똑한 사람들이 대응하고 있으니
말들을 아끼자.
치즈랑 19-08-20 11:59
   
스포일러 하셔도 되는데....
굳이~ 동영상 보라고 하실 필요는없는데.....^^
영종햇살 19-08-20 12:01
   
어설푼 분석이군요.
일단 메모리 산업은 1년반서 2년 주기로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씨크리컬(cyclical)산업임.
즉 호황일 때는 투자가 많이되고 이후 시간이 지나면 공급광잉이 됨. 그래서 가격이 폭락함.
위 분석대로 가격 하락으로 삼성이 적자가 나게되면 투자를 줄이고 그러면 공급 부족으로
메모리 가격 상승. 삼성은 흑자나기 시작. 그 기간동안 일본 소재를 대체 완료함.
람쥐 19-08-20 12:02
   
솔직히 말단 직원이 자기가 일했던 일부분만 조금알지 얼마나 알까 싶네요.ㅋ
요굴렛 19-08-20 12:04
   
저게 말이 안되는게..

반도체 연구원으로 갈려면 최소 박석사 학위 이상 가져야 합니다.

대졸후 8년간 연구원? ㅋㅋㅋ

그냥 4년제 나와서는 아무리 서울, 연고대라해도 연구원이 아닌 그 밑으로 가는겁니다.

검사나, 이런 분류로 들어가죠. 연구소에 다닌다고 다 연구원이 아닙니다.

게다가 밑에서 치고 올라오고 위에서 쪼이는 특성상, 자기 맡은 업무를 새로 들어온 신입에게 제대로 알려주지 않습니다. 자기만 할 수 있는 포인트를 가져야먄 오래 버티는게 삼성입니다.
     
새끼사자 19-08-20 12:29
   
뭐 요즘엔 모르겠지만 저같은 경우 4년재 졸업하고...엘지 연구소 들어갔는데요. 물론 좀 오래전 이긴 하지만요. 당근 반도체 설계의 경우는 석박사급들이 합니다만, 최초 칩설계시 필요 기능들과 그 구현방법등에 참여하고 어플리케이션 회로설계라던가 초도 생산된 IC류의 bring up등등을 담당했었습니다. 학사라도 가능하긴 해요.
     
이문동 19-08-21 19:24
   
반도체 관련 연구분야가 상당히 다양한데, 채용공고 보면 의외로 관련전공 대학 4년재 졸업장만 있어도 들어갈 수 있는곳이 있긴합니다
퀄리티 19-08-20 12:09
   
팀장 정도는 되야..
라크로스 19-08-20 12:13
   
전 타이틀로 유튜브 하네
강인lee 19-08-20 12:13
   
한국기업이 만드는 소재들이 어떤지 보고 써보기는 했는지
지나가다쩜 19-08-20 12:14
   
자기가 기업이라는 커다란 시계를 움직이게 하는 톱니바퀴 역활을 하고 나왔다고 믿나 본데
걍 모래시계에서 돌리면 떨어지는 모래알 하던 분으로 보이네요.
1주일 해외 여행 갔다 오면 여행간 나라 전문가???
여행 갔던 동네의 일부의 일부를 겉핥기 한거라 봐야겠죠.
납땜질 19-08-20 12:18
   
저사람은 핀트가 조금 다름..
정작 중요한 부분은 언급x
뙤약볕 19-08-20 12:20
   
그냥 개념 설명만 하고 급마무리한 느낌인데...
오타공장 19-08-20 12:23
   
보다가 말았네요
짱구2 19-08-20 12:24
   
답답하네 물론 싸게만드는것도 중요한데 속도가  더 중요하지않나
무량 19-08-20 12:30
   
삼성이 테스트 하는게 그런 모든것을 테스트 하는거지. ok하면 아무 문제 없는것....
한대범 19-08-20 12:32
   
지인중 수석.메모리사업부 YE팀 팀장 출신이 있습니다...조금의 손실과,잠깐의 시간을 희생 한다면,

얼마든지 탈 일본화 가능하고,자체 시나리오가 존재 했었답니다.그리고 현재 반도체 하락기 이기 때문에

삼성,하이닉은 절호의 기회가 될수도 있을 것 이라는군요.
술래잡기 19-08-20 12:42
   
개나 소나 전문가라면서 유튜브 벌이에 혈안이네.

이러니 찌라시도 유튜브도 믿을 수 있는 소스인지 꼼꼼히 따져 본 후에 판단해야
핏마 19-08-20 12:48
   
기본적으로 독과점제품에대한 이해도가 없음

뭘해서 전문가인지는 모르겠는데  만드는것만 생각하는 판매하는건 전혀 생각을 못하고있음

독과점에서 공급에 차질이생기면 당연히 일어나는게 가격의 폭등인데 .. 그 이득은 어디로 돌아갈까 ?

공급이 정지될 수준의 치명적인 결함이 아니라 수율에서의 문제점이 생긴걸로 독과점 시장이 망한다고 ?

머리털나고 처음듣는 소리네 ㅋㅋㅋㅋㅋ
오순이 19-08-20 12:54
   
쓸데없는 말이 많고 답답한 소리도 하네요.
보면 우리가 위기라고 할 수 있지만 일본은 더 위기죠.
삼성은 기술도 자본도 시장도 다 가지고 있고 일본은 자본도 기술도 시장도
삼성 보다 한참 모자르죠 일본은 두 번 졌고 3 번 째 도전인데 실패할 때마다 어마한 데미지가 쌓이죠.
마이크론은 일본보다 기술이 더 딸리고 현재 삼성이 반도체를 못 만들어도 마이크론은 공급할 능력도 없어요.
더 중요한 건 삼성이 이번 일본의 조치로 과연 생산에 문제될 정도로 데미지를 입는 가 입니다
삼성이 이번에 데미지 없이 잘 극복하면 일본은 소재 산업도 없어 질 겁니다
아차산의별 19-08-20 13:11
   
생각이  짧은  사람들이  보면 
잘못하면  한국반도체 망하겠다고  생각하기쉽겠네
영상 댓글들도  그런 부류들이 상당하네

치킨게임이  그리쉬우면
애초에  일본반도체  망하지도 않했겠지

치킨게임이  그리쉬우면  한국반도체 산업  공룡이 되기전에
미국  , 일본반도체 기업에의해서 벌써 패대기 당했겠지

국산화는  수율의 진척보아가면서  기업이  감내할수있는 수준에서
서서히 하는거지 갑자기  수율차이가  나는대도 무리하게 하지를않지
걱정도 팔자다
라이라이라 19-08-20 13:23
   
근데 저건 맞는말이고 중요한 문제긴 해요~ 국산 대체제가 있다고 우리가 이겼다고 환호할게 아닌게 최소한 수율이 비슷하게는 나와줘야 진짜 일본발 리스크가 사라지는 거죠. 그래도 탈일본화는 해야되는거고 결과는 최소 몇개월후에 나오겠죠
션이 19-08-20 13:24
   
사실상 이미 치킨게임은 끝났고 중국이 따라올줄 알았더니 아직 발뒤꿈치 때만도 못하게 쫒아와서 별로 상관없을듯
그런거읍다 19-08-20 13:29
   
흔해 빠진 좆문가 유투버의 돈벌이용 동영상일뿐.....
아차산의별 19-08-20 13:32
   
유투버는
이성적  판단을  요구하는데

정부  ?
아베 ?

누구 ?

아베의  비이성적  판단으로 인해
현재  실질적으로  손해보는건  일본인데 .
금액으로만해도  여행과  상품불매로  수조억원을  일본이  손해보고있는데

아베상  !!!
저  유투버가
당신에게
이성적  판단하라고한것같다
스베타 19-08-20 13:35
   
원래 자기가 아는만큼 보이는 겁니다...
아차산의별 19-08-20 13:38
   
아베상의  비이성적  판단으로  인해
일본은  현재  실질적으로  수조억원을  손해보고있음 ( 여행 . 상품 불매 )

한국정부의  이성적판단으로  인해
한국  중소기업  엄청난  호기를  잡았음
대대적인  부품국산화

70년을  이어온
대 일본  무역적자해소의 길이  열림
totos 19-08-20 14:46
   
애초에 수율 문제보다 불확실성 문제가 더 큽니다.
수율이야 설계/마스크 변경으로 얼마든지 후개선이 가능하겠지만  불확실성은 절대 통제 못해요.
기업은 통제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양산이란 얘기를 해요.
이걸 모르면 반도체에 대한 얘기를 할 필요조차 없습니다.
수율이 떨어지면 최악의 경우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식각 패턴을 더 키우면 되는겁니다.
다이 면적이 증가해서 수익률은 떨어져도, 수율 문제에 봉착하지 않으니 불량이 없어서 수익은 늘어나죠.

유튜브에서 보면 칩 로직 설계조차 안했던 생산직 공돌이들이 떠들어대는 한심한 얘기들입니다.
애초에 수율 체크해서 칩을 재설계 한다는 개념조차 없어요.

한국 기업이 황금수율로 진입한게 단순히 생산성이 좋아서가 아닙니다.
수율이 떨어지면 설계 변경으로 전환해서 수율을 끌어 올린다는 걸 모르는거에요.
PC용 DDR4의 경우에도 삼성 같은 경우 4번째 설계 변경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삼성은 반도체에 혁신적인 초고밀도에 집착하지 않아요.
적당한 고밀도를 달성하면 그 이후로는 무조건 생산성 및 수율입니다.
삼성이 경쟁에서 생존해 온 방식이기도 하구요.

소재를 바꾸면 그대로 양산에 적용한다고 순진하게 생각하는데.
소재 바꿔서 수율 떨어지면 설계 변경까지 고려하게 됩니다.
미니사랑 19-08-20 18:29
   
수율도 시간만 투자하면 당연히 올라가죠
허까까 19-08-21 00:39
   
저 사람한텐 미안한데 겨우 8년이면 그냥 말단 직원 아닌가요
Tarot 19-08-21 01:15
   
삼성 핵심 직원이었으면 유튜버하면서 삼성이야기 하면 바로 고소당할겁니다.
휘휘휘휘휘 19-08-21 03:31
   
올3월 퇴직?? ㅋㅋㅋㅋㅋ 여기서 피식합니다
저도 퇴직자입니다. 퇴직할때 2년간 정보보호관련 서약서 작성합니다.
한골줍쇼 19-08-21 04:18
   
불산으로 녹여서 기판깍는거는 99.99만 되면 되고.. 더 이상 수율높아봐야 비싸기만 하다고 들었는데요..
10나노부터는 불산으로 깍는거는 정밀하지 않아서 하지도 않구.. 지금 만드는 14나노에만 들자나요?
할게없음 19-08-21 05:26
   
도대체 여태 나온 말들이랑 뭐가 특별한게 있는지 모르겠네. 그리고 삼성 반도체 연구원으로 8년동안 다닌건 맞나요?
리토토 19-08-21 06:39
   
신빙성이 카더라 수준이더라
베지트키 19-08-21 08:30
   
내가 중국집 오토바이 배달만 팔년 했는데 중국음식 재료 바꿔 이연복처럼 요리 하던 썰 푼다!

푸핫 19-08-21 10:50
   
일 했었다 는 참고사항이고..

관련직에 종사중이고 실험중이다! 라는 사람이 말을 해야지.. 아 그건 기업비밀인가
     
꾸물꾸물 19-08-21 12:06
   
그건 이미 기사화 되었죠.

올초부터 테스트를 시작했고, 중순에 생산공정 적용되 테스트 중이었다고.

그 후에 나온 이야기는 생산공정 적용 테스트에 통과했다는 것이었죠. 생산공정에 적용해

테스트하는게 수율 테스트를 위한거죠.
졸려라 19-08-21 12:19
   
애초에 수율문제는 맨처음에 나온말인데,

한달도 더 지난 지금 이걸?? 복습시간인가??
Voraussicht 19-08-21 12:51
   
신입이었고 이미 때려첬다고 제목을 제대로 적어야지
문재인 19-08-21 13:17
   
자동차 엔진이나 인텔CPU 같은 특허같은게 걸린게 아니면 특허를 피해야 하는 장애가 없는 기술들은 언제든지 따라잡을 수 있죠.
투자나 판로만 따라주면 되는데, 선점하고 있는 일본 기업들이 다 차지하고 있는 시장에 아베가 문을 열어줬으니 금방 진입 가능하죠.
KNVB 19-08-21 23:28
   
전직 연구원의 말이 아니라, 현직 연구원의 말을 들어야 정확합니다. 이 분야는  기술이 빨리 바뀌는 곳이라, 몇년전과 지금과는 상황이 전혀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