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0-04-05 12:19
“한국 위기 속 ‘진짜 영웅’은 정은경” WSJ가 내놓은 분석
 글쓴이 : 별명11
조회 : 752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분석하며 각국 보건당국 책임자들의 역할을 조명했다. 특히 한국 사례를 이야기하면서는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진짜 영웅’으로 소개했다.

WSJ는 4일(현지시간) 리더십 전문가 샘 워커의 연재칼럼을 통해 이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워커는 “코로나 바이러스가 전 세계에 확산하면서 재미있는 일이 벌어지고 있다”며 “자존심 강하고 정치 계산적인 지도자보다는 전문 관료가 영웅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국민의 신뢰를 받는 사람도 대통령을 비롯한 선출직 지도자가 아닌 전문성으로 무장한 핵심 당국자라고 덧붙였다.

이어 정 본부장을 포함해 잉글랜드 최고의료책임자 제니 해리스, 케냐 보건장관 무타히 카그웨,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 연구소(NIAID) 소장 앤서니 파우치를 주요 인물로 꼽았다. 워커는 “이들의 공통점은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는 대중에 거의 알려지지 않은 인물들이라는 것”이라며 “위기 상황에서는 누구도 ‘얼마나 유명인사냐’에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WSJ는 정 본부장의 사례를 소개하는 데 상당한 지면을 할애했다. 여기에는 “정 본부장의 일관되고 솔직한 언급, 정보에 근거한 분석, 인내심 있는 침착함은 대중에게 강력하다”며 “고조된 위기 국면에서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정 본부장을 신뢰하게 되며 그의 말이 사실이라고 믿는다”는 평가가 담겼다.

워커는 “정 본부장은 자신에 대해 말하는 것을 꺼리고 소셜미디어를 피하며 인터뷰 요청을 정중하게 거절한다”며 “그의 ‘빅토리 랩’(우승자가 경주 후 트랙을 한 바퀴 더 도는 것)을 보지는 못할 것”이라고 썼다. 한국이 코로나19 위기를 모두 극복하더라도 정 본부장이 다른 정치인처럼 전면에 나서지는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이 글은 정 본부장이 브리핑 도중 수면 시간에 대한 질문을 받자 “1시간보다는 더 잔다”고 답변했다는 내용으로 마무리됐다.

https://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005&aid=0001307873&sid1=104&ntype=RANKING

에이...권징징이 진짜 영웅이지.. 대구 집았는댕..ㅋ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수호랑 20-04-05 12:34
   
메르스때도 정은경은 질병예방센터장이었음

하지만 이 당시에는 메르스 대처를 잘못했다고 오히려 징계를 받았죠

사실 이때도 정은경 보다는 당시 정부의 메르스 대응 기조 자체가 사태를 숨기거나 은폐하기 바빴기 때문에(마치 지금 우왕좌왕하는 다른 나라의 정부들 처럼) 제대로 된 방역 정책을 시행하기도 힘들었을거라는 거
 
결국 정은경의 사례는 관료가 아무리 뛰어나도 박근혜 정부 당시 처럼 권력 최윗선이 멍청하거나 부도덕하면 그 윗선의 눈치를 봐야하는 관료들은 그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기 힘들다는 것을 보여주는 산 증거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