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4-22 15:53
인류 이래 최고의 오케스트라 교향곡 랭킹 TOP 10
 글쓴이 : 클라이버
조회 : 816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치즈랑 19-04-22 15:54
   
왜 이런 걸 랭킹을 매길까~~
해충퇴치 19-04-22 16:05
   
지구에는 6개의 대륙이 있는데 저 교향곡이란건 당시에 유럽 말고 다른 지역에서도 작곡된 적이 있는가?

1/6의 지역만의 문화를 가지고 인류이래 최고를 논하다니...

인류의 1/6이라도 어쨌든 인류이긴 하니 틀린말은 아니지만 매우 우습군요.

예를들어 인류이래 최고의 판소리, 인류이래 최고의 시조 등등등...이것들도 틀리말은 아니지만 우습지요.
     
클라이버 19-04-22 16:12
   
이미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문화를 1/6이라고 우기니 우습구나..한국예술종합학교나 각대학의 음악학과들이 클래식을 주로 다루고 공부하는걸 모르나?..특히 IPTV를 비롯한 위성티비는 클래식을 전문으로 보여주고 있다..
          
해충퇴치 19-04-22 16:36
   
난독증 있으세요? 당시에 라고 적어논거 안보이세요? 요즘 전세계적으로 통용된다고요? 근데 왜 옛날 옛적에 작곡된 곡만 다루죠? 그리고 요즘 대세는 아무리 생각해도 클래식 보다는 팝인것 같은데요?

옛날을 기준으로 하든 요즘을 기준으로 하든 클래식은 인류를 대표하기에는 부족한것 같은데요? 그냥 최고의 교향곡이라고 하면 욕을 안먹었을텐데 되도않게 인류를 대표하려하니 욕먹죠.

그리고 판소리도 요즘엔 세계적으로 공연해요. 인류이래 최고의 클래식보단 판소리나 챙겨들으세요.
               
클라이버 19-04-22 16:44
   
난독증은 그쪽인것 같은데 지금 우리생활에 밀접한것을 왜 아득한 200년전 300년전으로 국한시킬려고 하는거지?..그리고 유럽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클래식 작곡가들이 꽤 돼..아론코플랜드나 지휘자로 더 유명한 레오너드 번스타인 같은..게다가 이 작곡가들은 20세기에 활동했던 작곡가들이야..쇼스타코비치나 스트라빈스키 라흐마니노프 같은 유명한 작곡가들도 그렇고 라흐마니노프는 자기곡으로 자기가 직접 연주한 음반도 남겼지 아마.. 판소리를 클래식에 비유한것은 그냥 조크로 들을께..
                    
해충퇴치 19-04-22 16:52
   
별로 안 밀접한데요?  그래서 유럽 미국 말고는 클래식 작곡가가 어디에 더 있나요?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오세아니아, 아랍 쪽 출신, 활동하는 클래식 작곡가좀 알려주실래요? 아무리 생각해도 클래식보다는 팝이 몇백배는 더 밀접하지 않나요?

인류최고 같은 소리를 하려면 최소한 인류 문화권의 절반이상에서 일상적으로 작곡 되어야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교양없게 반말하지마세요.
                         
클라이버 19-04-22 17:05
   
우리삶과 밀접하지 않는지 한국 문화를 대표하는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소개를 한번 보기를

http://www.karts.ac.kr/main/index.do?menuId=020200000000#tabMenuDetail2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대학이 클래식 특히 서양음악을 가르치는데 여기에 이의를 달수 있나 물론 팝음악을 즐기는 숫자가 많기는 하지만 팝도 뿌리는 엄연히 서양 화성악법과 음계에 서나온건데 여기에 무대포로 달려들면 되나..
                         
해충퇴치 19-04-22 19:44
   
대학교에서 가르치면 밀접한건가요? 학교에서 아랍어도 가르치는데 아랍어도 우리와 정말 많이 밀접하겠군요? 헛소리는 그만하시고 우리나라에서 활동하는 교향곡 작곡가가 있냐고요. 아니면 아랍이나 아프리카에서 활동하는 작곡가요.

클래식이 한국, 아시아의 음악을 대표하는가? 아프리카 음악을 대표하는가? 클래식 음악이 미국, 유럽이외의 지역의 음악을 대표하는가? 전부 아니죠.

그에 반해 팝은 서양음악과 흑인음악이 섞여서 출발하였고 이후 각지의 지역음악들이 섞여들어서 클래식에 비하면 훨씬 보편적이죠.

어디서 건방지게 일개 지역음악이 인류이래최고를 논합니까.
                         
클라이버 19-04-22 19:56
   
다시 얘기하지만 한국에서 예술을 가르치는 대표기관이 클래식을 가르친다는것..하다못해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과서에도 서양음악 즉 클래식이 들어간다는 점..좀 알고 떠들었으면 좋겠고..니가 좋아하는 판소리보다는 한국에서조차도 클래식 매니아들이 많다는 점..그때문에 하이파이 기기들이 필요해져서 잡지 인터넷 사이트 등등 헤아릴수 없을만큼 많고 하다못해 예능방송에서 클래식 음악을 배경과 효과음악으로 쓴다는 점..그리고 다시 강조하지만 니가 좋아하는 팝도 그 뿌리는 서양음악이라는점..이정도면 됐지..
                         
클라이버 19-04-22 20:00
   
예전에 교향곡작곡가들이 곡을 냈다가 평론가들의 악평에 상심해서 자 살한 경우도 있는데 너처럼 무대포인 얘가 건방지게 어디서 인류 최고를 논해 했으면 어떘을지 궁금하다..인류최고를 논했다고 건방지다네..완전히 이건 뒤집어진 얘구만..
                         
클라이버 19-04-22 20:28
   
다음은 서양음악사 연표이다..거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누군지 잘봐라..봐도 이해나 할려나 모르겠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D%8C%EC%95%85%EC%82%AC_%EC%97%B0%ED%91%9C
                    
뭐랄까 19-04-22 18:26
   
근데 왜 반말이냐?
                         
클라이버 19-04-22 18:48
   
너는 왜 반말이냐?
염제신농 19-04-22 16:32
   
합창 교향곡은 1악장부터 4악장 끝까지 선율이 너무 좋아서
90분동안 들어도 음이 버릴 곳이 없다 라고 생각되는 곡은 이곡이 유일한 곡이라고 생각되네요
실제 음악회에 가서 들어도 많은 합창단들이 합창하면 온몸으로 느껴지는 전율이 너무 좋음
     
클라이버 19-04-22 16:33
   
베토벤이 귀가먼 상태에서 작곡했다는게 믿기지 않는곡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