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8-10 15:27
소재 산업이고 뭐고 뭐든지 비용과 효율때문에 발생한거죠.
 글쓴이 : 모래니
조회 : 814  

에칭가스도 엄청 큰거 같지만, "전세계에서" 실상은 연매출 1조수준이에요.
평균 영업이익율이 대략 10%정도이므로

이걸로 연간 수익은 1천억정도 나는 수준. (대략 추정)
대부분의 소재산업이 크게 수익이 나는 산업이 아닌데
개발비용은 크고, 게다가 사준다는 보장도 없고.

심지언 특허권도 유지가 어려우니, 우리나라에선 당연히 도태되죠.
못만드는게 아니라, 산업구조상 도태된거에요.

그럼, 이제 절실하게 필요해졌네요. 그러면 갑자기 짠하고 만들수 있을까요?
당연히 시행착오가 따르고, 시간이 걸리는 문제죠.

그리고, 무역은 효율을 따라서 이뤄졌으니, 그동안 샀던 메모리 가격이 오르기도하고.
그리고, 수명이 조금 짧다던지 불량이 좀더 많다던지 하는 문제들이 생기겠죠.

짧은 시간안에 모든걸 이뤄 낼순 없어요. 아마도 이런 과정이 5년정도는 가지 않을까싶음.
길게 봐야하는 문제죠.

400조를 투자하겠다는 정부방안, 필요하면 해야죠. 하지만 원래 그 400조는 다른 곳에
투자될 돈이였다는 문제도 있죠.

반면, 좋은 것도 있습니다.
새로운 산업을 찾아서, 모든 정부들이 고심을 했었는데...
하나 나왔네요. 떡고물처럼... 새로운 산업이.

결국, 1~2년은 GDP가 보다 저성장하겠지만.
3~5년은 오히려 GDP가 높에 성장할거라고 봐요.

모든 제품들의 품질이 예전과 동일하게 걸리는 시간은 5년정도가 아닐까싶고.
최소한 1년내엔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긴 싸움이 될거고, 덕분에 신규산업도 생기겠죠. 처음엔 손실도 클거고.
중간에 관둘수 있는 싸움은 아닙니다.
만약 중간에 관두면, 계속 같은 칼로 휘두를테니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Is this sand?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두루뚜루둡 19-08-10 15:30
   
에칭가스처럼 특수한 용도의 특정한 거래처만 있는 그런 산업은 조용히 점유율 높은 상태로 꿀빠는게 최선입니다
반도체 수요 자체는 늘어날 것이고 기술력으로 우위를 선점하고 있다면 아무 일 없으면 삼성이 망하고 마이크론이 뜨면 마이크론에 납품하면 될 일이니까요 어쨋든 반도체 수요는 앞으로 꾸준히 증가할게 불보듯 뻔하니 신규 업체가 시장에 뛰어들지 못하게 견제만 하면 될 일이죠
근데 그걸 아베가 망치니 속으로 쌍욕하고 있을 듯
     
모래니 19-08-10 15:32
   
제가 영업이익률을 10%로 잡았는데, 높은 점유율로 먹는 소재산업이다 보니..
영업이익률이 더 높을거 같긴 하죠?
          
두루뚜루둡 19-08-10 15:48
   
분야는 다르지만 가스 관련 회사를 다니는데요
이런 특징이 있습니다
1. 거래처가 한번 확정이 되면 변경이 안됩니다
2. 공급 물량이 아주 일정합니다
3. 2번의 영향으로 매출의 변동이 크지 않습니다
4. 1번의 영향으로 신규 경쟁자가 많지 않습니다 많이 뛰어들어서 많이 죽어나가는 시장이 아닙니다

뭐 100프로 같은 특성을 보일거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데 유사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배신자 19-08-10 15:33
   
사준다는 곳만 있으면 충분히 개발할 수 있죠.

근데 개발해도 팔 수가 없으니 그동안 못키운거.

다른 소재부품은 몰라도 반도체 소재부품은 울나라 기업들이 사주기만 하면 충분히 개발 가능함.

워낙에 반도체 점유율이 높은 대기업이 울나라에 있으니...

판매처만 확보할 수 있으면 개발할 역량은 충분하죠. 물론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코디 19-08-10 15:34
   
일본의 화학분야 1조클럽 회사들이 60개 이상 있다는 얘길듣고 좀 쇼킹했네요... 우선 의대 약대 진학이 목표인 인재들을 이공계로 갈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겠지요.
     
두루뚜루둡 19-08-10 15:56
   
ㅂㄱㄴ ㅇㅅ 유투브 보신분 같은데
저는 일본에 대한 과한 평가라 생각했습니다 1조 클럽회사가 많다 60개 이상이다 우리는 17갠가 15갠가 그랬죠 GDP 차이가 3배 정도나는 경제규모에서 충분히 그럴 수 있는 수준이라고 봅니다
그리고 일본도 의대 진학이 최우선이에요 그 도표에서 카이스트 포항공대가 우리 대학 서열 순위에서 차지하는 것이 일본 동경대 이공계 순위와 크게 차이나는지 저는 모르겠습니다
물론 우리도 이공계 특히 공계보다 뒤쳐져 있는 순수과학 관련 진로가 좋아져야 한다고 봅니다 돈되는 공학 돈안되는 순수과학의 이분법이 바뀌거나 국가에서 대학 순수과학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서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해야할 문제라고 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