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20-04-30 04:28
이천 화재와 같은 공사중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
 글쓴이 : 국산아몬드
조회 : 1,582  

벌써 이천화재와 같은 공사중 화제가 몇번이나 발생하는 줄 모르겠다
정부는 근본적인 대책없이 희생양 찾기에 몰두하기만 한다

공사중 화재 작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사전에 소방시설부터 갖추도록 법을 제정하면 된다
이천화재같은 경우도 스프링 쿨러를 사전에 설치하거나 그게 아니라면 최소한 소화기만 몇대 준비만 했어도
화재가 금방 진압되었을 거다

세상에 우레탄 같은 같은 화기에 취약한 물질을 다루는데 소화장비가 하나도 없다니
말이되는가?

반드시 소화장비를 비치하도록 법으로 정해야 한다
그러면 작업중 화재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감사합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샤루루 20-04-30 04:35
   
공사전에 소방시설부터 갖추도록 법?????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논리 같은데;;
EIOEI 20-04-30 04:54
   
뭔 순식간에 폭발하는데 소방 장비 타령이야
인화성 유독 물질이 갑자기 펑하고 터지며 화재로 번지고 사람들 질식해서 쓰러지는데 그게 꼴랑 그런 소방 장비로 단박에 현장에서 제압이 되겄냐??
일베효수 20-04-30 06:22
   
법이 약해서 그럽니다,
노동자들은 누가 어느 공정에 어떤 화학물질이 투입되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을 하죠
근본적으로 현장 소장 목을 쳐 내야 합니다.
그인간이 공정의 최종 책임자 입니다.위험한 공정이 겹치면 다른 공정을 중단시켜야
하는데 그냥 강행하고, 또 감독도 제대로 안했죠~
셀프 xx 당하든지 뭐 알아서 하겠죠
역전의용사 20-04-30 07:40
   
정부는 근본적인 대책없이 희생양 찾기에 몰두하기만 한다???

무슨 희생양?? 니가 욕할 대상을 정부로 찝은건 아니고?

생각이 있다면 근본 해결책이 뭔지 알텐데

유증기를 환기 시키는 시설을 안쓰는 이유는 돈때문인데

돈때문에 하청주고 헐값에 사람 갈아 쓰는 시스템을 버러야 한다는것

시스템 미비로 인한 인재 화재 사고시 하청을 처벌하는것이 아니라 원청을 처벌하면 자연히 없어진다
벌레 20-04-30 08:12
   
우레탄 작업에 소화기같은 소리하네.
구경도 안 해 본 듯?
더기꺼 20-04-30 08:36
   
너 형이 몇번을 말하디?

팀장이 시키는대로만 하지말고 검색이라도좀 해보라고.

너 우레탄이 뭔지 모르지?

우레탄 작업에 소화기같은 소리하고 있네?
flowerday 20-04-30 08:36
   
밥오.
무삥 20-04-30 08:49
   
스프링쿨러(x) 스프링클러(o)
과거 화재들로인해서 소방시설법 이미 바뀜
모르면 가만히 있어라 좀
무영각 20-04-30 08:55
   
모지리도 밥은 먹고 다니겠지.. 왜산아몬드 먹고 다니는구나?
비앤비 20-04-30 09:43
   
아몬드는 바른말해도 신뢰가 안되는 묘한 매력을 지녔습니다.
제쓰로깁스 20-04-30 10:15
   
가생이 비하질이나 하는 쪽본아몬드
이 색휘는 왜 여길 겨들어오는지 원

국산아몬드 19-10-14 17:56
답변  광고글 신고 
여기는 글을 올리면 사상검증부터 하는 곳이라. 극단적인 사상편향이 있는 사이트죠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wr_id=862838&page=0&sca=&sfl=&stx=&spt=0&page=0&cwin=#c_863110


국산아몬드 20-03-21 20:20
답변  광고글 신고 
그리고 넌 착각하는게 있어
일베는 욕을먹는게 당연하지만 일베사이트는 법을 준수해왔다는거야
일간베스트라는 가치중립적인 사이트를 만든것뿐이고 하필 극우 성향이 몰려왔던 거다
사이튼 운영자가 뭔죄가 있어?

니 논리면 라인에 일본극우들이 몰려있다고 라인 경영진 욕하는 꼴이야
생각좀 하고 살아라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wr_id=1583320&page=3
카날레스 20-04-30 10:50
   
그런데 산업재해, 근로자 환경 관련해서 지난 정부보다 크게 나아진 건 없어보임.
건설 현장, 물류센터, 쿠팡맨 사고가 연이어서 터지는거 보면 단순히 일부만 개선 시킨다고 되는 일이 아님.
     
EIOEI 20-04-30 16:16
   
이천 물류창고 화재..사고 전 '화재 위험' 6차례 경고 무시
https://news.v.daum.net/v/20200430151700251

뭔 허구헌날 정부탓이야 정부탓할 게 있고 아닌 게 있는 거지
비무티 20-04-30 11:34
   
저도 공사 알바를 여러 해 동안 수차례 해봤는데요.
어떤 정권 불문하고(문재인, 박근혜, 이명박, 노무현 등등) 다 상관 없이
큰 사업장 외에는 안전규정 잘 안 지킵니다.

그게 너무 만성화가 되어 있어요.
근로환경이 그래요.
그런 안전규정 지키고 하려면 돈도 더 많이 들어서 안 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놈의 규제 철폐, 규제 개혁 어쩌고 해서
맨날 그런 걸 따지니 효율성 찾다가 참사가 한번 나면
안전불감증이니 정부가 뭐했냐느니 이딴 소리나 해대는 거죠.

습관과 문화를 완전히 뜯어고치겠다고 하지 않으면
죽었다 깨어나도 이런 일은 또 반복됩니다.

그나마 삼성 반도체 공사 현장 정도나 가야
삼성이 고용한 안전지키미도 있고, 협력업체별 안전관리자도 있고
화재감시자까지 두고 해서 저런 어처구니 없는 사고가 덜 나는 거죠.
(사고가 전혀 안 날 수는 없죠. 일 자체가 거치니까. 근데 줄여야 하는 건 맞습니다)
음악대장님 20-04-30 11:53
   
공사현장에서 안전사고가 안나려면
1. 건축주
2. 원청 건설사
이 두곳에서 안전관리를 확실히 해야 합니다.
원청에서 안전관리자 힘 안 실어주면 말짱 도루묵임
일단 건축물을 지을때 돈과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현장은 반드시 크던 작던 사고가 나게 되어있어요
비무티 20-04-30 12:16
   
현재 뉴스에서는 용접 불꽃이 튀어서 화재가 났을 수 있다 이러는데.
만일 그게 사실이라고 가장하겠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바하면서 경험한
삼성 반도체 현장과 일반 현장의 차이를 말씀드려볼게요.
(삼성 현장이 무조건 옳다고 할 수 없지만, 그래도 국내 최고 수준은 되니)


일반 공사 현장 = 일
삼성 반도체 공사 현장 = 삼

이렇게 비교해보겠습니다.
얼마나 다른지 말씀드려볼게요

1. 용접 작업시 준비와 절차 (차이가 큽니다)

(1) 일반
→ 그냥 작업용 공구, 도구만 준비되면 작업 시작

(2) 삼성
# 전날에 미리 당일 작업내용 미리 작성 제출
서류에는 어떤 일을 어떻게 작업하고 어떤 준비를 하겠다는 것이 명시되어야
그 서류 제출 후 화기작업(용접) 승인받아야 당일 작업 가능
(화기 작업이란 불꽃이 튀는 모든 작업을 말합니다. 용접, 글라인더 작업 등)

# 당일 작업 전, 안전지킴이 현장 심사
작업 승인이 떨어져도 현장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 용접 관련 안전용품 점검 (용접용 마스크, 보호면, 용접장갑 등)
- 전기 관련된 부분까지 다 점검, 주변 인화성 물질 제거 지시
- 용접작업을 한다면 용접기의 상태, 소화기 등 소화장비 비치 필수
- 불꽃 튀는 것을 막아주는 불티방지포 설치 (상하좌우+바닥 5면 보양 필수)
- 화재감시자 1인 출셕여부 및 임무 숙지 확인

# 작업 중, 후 검사
- 작업 중일 때에도 안전규칙을 잘 따르는지 수시로 감시
- 일정 거리 이내에 인화성물질작업(예컨대 페인트칠) 혹은 용접작업 금지
- 불티방지포가 5면으로 감싸지 않아서 불꽃이 보이면 바로 지적 혹은 작업중단
- 위험한 자세에 있거나 고소작업시 안전고리 매지 않으면 작업중단
- 용접작업 끝나면 확인


2. 감시인력 배치 및 순찰
(1) 일반
- 안전감시인력 그런 거 없는 곳이 대다수. 있어도 유명무실 (작업 중 잘 안 보임)
- 그냥 현장관리자 중 조회 때 사고치지 말고, 다치지 말고 잘하라고 말만 함
- 소화기도 형식적으로 두거나 그것도 없이 하는 경우 많은데 별 말도 안 함

(2) 삼성
- 삼성전자 자체 감시단
(자주 순찰은 안 하나, 이들에게 한번 걸리면 작업자, 안전관리자는 즉각 Go Home)
- 삼성물산 감시단
- 삼성물산이 고용한 안전지킴이
- 각 협력업체 자체 안전관리자 (자사 작업자 작업 점검 및 교육)
- 각 협력업체가 고용한 일반근로자 중 화재감시자 (해당 작업만 감시. 그것만 함)
- 매월 정기 교육 실시 및 업체별 평가 (작업 안 해도 그건 꼭 함)
- 혈압, 당뇨 등 질환자 체크 (치료를 잘 받고 있어서 괜찮으면 작업 허가)

3. 안전감시와 조치 (사고가 안 나더라도 안전수칙 위반시)
(1) 일반
- 감리나 단속 공무원이 올 때만 조심하면 됨
- 자체 안전관리자가 있어도 심각하지 않으면 그냥 가볍게 한 마디하고 지나가는 정도

(2) 삼성
- 경미한 것이 걸리면 주의, 시정 요구, 딱지 끊기, 작업 중단 및 재교육
- 사고는 안 났지만, 중대한 잘못은 즉시 작업중단 및 협력업체 작업 올스톱
- 딱지도 3회 이상 끊기면 Go Home 및 일정 기간 동안 삼성 현장 출입금지
- 안전수칙 중대 위반자 및 상습적 위반자는 다른 모든 삼성 현장 출입금지


이렇게 삼성이 절차도 까다롭게 하고 여러 경로에 걸쳐서 감시하며,
이를 위해 순찰을 수시로 돕니다.

그래도 사고는 납니다.
하지만 사고 빈도 면에서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훨씬 적은 걸로 압니다.

이걸 보면 사람들은 삼성처럼 왜 못하느냐 그러는데...
돈이 엄청나게 들죠. 즉, 공사비가 많이 듭니다.

그걸 감당하고 공사를 해야 하는데, 다들 돈 안 쓰고 잘 넘어가기만을 바라죠.
그러다 마치 폭탄 돌리기처럼 무사하던 중 일이 이렇게 터지는 겁니다.
비무티 20-04-30 12:17
   
사람들은 뭣도 모르고 정부 탓만 하는데...
이건 정권 불문하고 정부 탓만 하면 끝이 없습니다.
(정부, 국회 등의 역할은 뒤에 말씀드리겠습니다)

예컨대 우리가 교통단속 아무리 열심히 한들 음주운전, 교통위반 없어집니까?
경찰이 왜 단속 안 하느냐? 따진다고 그게 없어집니까?
마찬가지입니다.

그 수많은 공사현장. 그것도 어디서 어떻게 할 지 모르는 많은 현장을
어떻게 일일이 정부가 컨트롤 합니까?
크고 작은 불특정 다수의 현장을 공무원이 일일이 쫓아다니면서 순찰이 됩니까?

더구나 공무원들은 전문성도 없어서 뭐가 어떤 지도 몰라요.
그렇다고 그 일만 하는 것도 아니잖아요. (그 일만 해도 전문성이 생길까 말까인데)
현장과 동떨어진 규정 갖고 트집이나 안 잡으면 다행이죠.

그렇다고 단속을 하지 말자는 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한계가 있다는 겁니다.
기업과 노동자가 현장에서 지키려고 하는 것과 정부, 국회의 제도적 장치가 같이 가야 하는 거죠.
어디까지는 정부, 국회의 역할, 어디까지는 기업과 노동자의 역할 나뉜다는 거죠.

특히 그 부분에 있어서 정부, 국회, 기업이 투자할 의지가 있느냐가 문제입니다.
그 심각성을 절실하게 받아들이느냐 하는 것입니다.

제도와 법령도 바꿔야 하는데,
그러면 정치권에 업체들 로비가 엄청나게 들어오죠.
공사단가가 올라가니 물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둥... 방해요소가 많아요.

그것과 함께 이건 의식과 문화의 문제입니다.
현장 노동자분들 보면 정말 의식이 없습니다.
건설업 전체의 판이 그러다 보니, 특정 개인이 이건 아닌데...라고 할 수 없습니다.

솔직히... 용접 불꽃이 발화의 원인이고, 주변 인화성 물질이 발화 소재가 되었는 가정 하에
삼성 현장처럼 불티 방지포 설치하고, 소화기 비치하며, 화재감시자 1명 정도 두고
작업했다면 저런 참사는 안 일어났을 것입니다.

설령 불이 나도 저 수준의 인명 피해는 없었을 겁니다.
삼성 현장에서는 용접 작업시 필히 주변 인화성 물질 제거
혹은 그걸 불티 방지포로 덮고 작업하게 합니다.
비무티 20-04-30 12:17
   
누군가의 돈을 벌게 해주기 위해 어제도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었습니다.
이제 우리 나라 1인당 GDP도 3만불이 넘었는데
전체적으로 사고와 문화가 바뀌어야 할 때입니다.

그러나 제도도 허술하고, 감시도 한계가 있으며
현장을 가도 뻔한 문제가 널려있음에도 계속 위험을 무릅쓰고 작업은 계속됩니다.
발주한 곳이나 시공한 쪽이나 누군가에게 안 걸리기만을 바라고, 사고 안 터지기만을 바라고
그렇게 하루 하루를 보내고 있습니다. 이건 이제 고쳐져야 합니다.

공사기간이 길어져도, 공사비용이 늘어나도
안전을 위해서는 그게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문화가
빨리 자리잡지 않는 이상, 이거 절대 안 고쳐집니다.
클로바 20-04-30 12:59
   
이미 불법이겠죠.. 단속하면 나죽는다 할테고.
직원들도 융통성 찾으면서 안전규정 무시하는 사람이 상당수고.
렛츠비 20-05-06 14:41
   
정부서 경고를 몇번을 했는데 개무시하고 시공한 업체 잘못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