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20-04-07 19:38
"백화점 수수료 비싸다고 정부가 백화점 만들면.."
 글쓴이 : NIMI
조회 : 1,193  

https://news.v.daum.net/v/20200407144324684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마론볼 20-04-07 19:46
   
틀린 말은 아닌듯

배민을 옹호하는건 아니지만 공기관에서 서비스를 직접지원 하는 식으로 개입하는 건 좀 아닌 듯 함
     
큐나 20-04-07 19:48
   
독과점금지조항이라는게 있어요 이런 경우는 개입 해야죠 배민=요기요 등등 전부 한회사임..

만약에 동네편의점 및 마트가 전부 롯데밖에 없어요 근데 롯데가 죠스바을 만원에 팔아요
그럼 만원에 사먹는게 당연한건 아니죠 정부가 개입 해서 마트를 만들던 해야죠

비교가 틀린 기래기식 기사임
          
마론볼 20-04-07 19:55
   
그러면 다른 기업의 참여를 독려해야지 다짜고짜 공기관이 서비스를 하는건 좀 아니잖아요?
               
큐나 20-04-07 20:03
   
합병 완료도 아닌데 독과점의 배달앱에서 일제히 수수료를 9% 인상 했는데 다른 기업 나올때까지 기존의 상인들은 불공정하게 피해를 입히게 둬야 하는게 맞는건가요?

아니면 새로 시작하는 매달앱 회사한테 정부가 빨리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특혜를 줘야하는게 맞는건가요?

새로시작하는 배달앱회사가 이미 90%이상 선점하고 잇는 독일회사를 점유율 뻇어오긴 힘들자나요

어느 방식이던 정부개입은 필요한 부분 아닌가요?????
                    
마론볼 20-04-07 20:10
   
개입이 불필요 하다고 하지는 않았음

방법론이 잘못됬다고 한거지
                         
마론볼 20-04-07 20:22
   
위에서 말했잖음

다른 기업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마론볼 20-04-07 20:29
   
소상공인 지원도 좋지만 이건 전례가 잘못나면 악용되기 쉽다는 것 쯤은 고려를 해줬으면 좋겠음
                         
마론볼 20-04-07 20:30
   
프렌차이즈 가맹료 잡아서 소상공인 지원하겠답시고 공기관에서 프렌차이즈 만들겠다는 거랑 뭐가 다름?
                         
큐나 20-04-07 20:31
   
다른 기업 참여유도를 해서 정부가 소상공인한테 좋은 조건으로 배달앱을 만들라고 하라는 소리임?????? 정부가 집적 만들어서 경쟁 하는거랑 뭐가 틀린거임???

그동안 배달소상공인은???? 뭐 정부에서 또 도와줘야 한다는건 아닐테고
그냥 죽으란 소리네...

지자체서 알아서 하는거지 갑자기 프렌차이즈는 어디서 나온말임... - _-

아베가 코로나 검사 하자고 하는 소리하고 있네..
먼 말도 안되는 소리- _-
                         
마론볼 20-04-07 20:34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 부분인데 소상공인은 반드시 지켜줘야만 하는 약자가 아닙니다

그들도 자유시장경제에서 서로 경쟁하고 있어요

그들의 손해를 정부가 무조건 보전해줄 의무는 없습니다
                         
마론볼 20-04-07 20:40
   
지금 여기서 근본적으로 착각하고 있는 문제가 뭐냐면

그 누구도 배달전문 업체의 가입을 강제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손해 보면 탈퇴하면 그만이에요 아무도 안말립니다

이걸 가지고 독과점 운운하는건 곤란하죠

불만 있으면 직접 광고하고 배달하면 그만 아닙니까?
                         
큐나 20-04-07 20:40
   
정말 큰 착각을 하고 있는게 소상공인을 약자라고 생각 하지 않고 있음

자유시장경제에서 서로경쟁을 해야 하는데 독과점의에 의한 선택의 여지가 없이

피해와 횡포를 당하고 있다고 보는게 맞는거아님?

그 피해와 횡포를 막아줘야 하는게 정부의 역활 아님????
                         
마론볼 20-04-07 20:41
   
누가 배달전문 업체의 가입을 강제했습니까?

꼬우면 탈퇴하면 그만 아닌지?

배달전문 업체 안끼면 배달을 못하는 것도 아니고, 수수료가 증가해서 손해를 본다면 탈퇴하면 그만 아닙니까?
                         
큐나 20-04-07 20:45
   
배민탈퇴하고 집적 만들라고....... 와 진짜 대박 초딩마인드 아님

이미 시장규모가 7조원대로 자리 잡은 배달앱을 탈퇴하고 그냥 광고 하고 주문 받으면 된다니.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혹시 사회성이나 공감능력이 떨어지는건 아닌가 심히 걱정됨....

정부가 맘에 안들면 세금 내지 말고 국가도 만들겠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마론볼 20-04-07 20:45
   
누가 앱을 직접 만들래요?

배민이 없으면 배달이 안됩니까?

그럼 배민 없을 때는 배달 대체 어떻게 했데요?
                         
마론볼 20-04-07 20:47
   
지금도 배달업체 안끼고 배달하는 업체들 있는데

그 업체들은 전부 자체적으로 배달앱 만들어서 배달합니까?
                         
큐나 20-04-07 20:56
   
배달앱이라고 하는게 단순 주문 결재만 해주지 않아요...

배달환경이 안좋은 음식점이나 배달전문점이 아닌곳은 전문배달직원들과 연동까지 해주고 있어요 주문이 들어 오면 라이더에 배달 요청도 동시에 이루어 지겟끔 편리한 환경을 제공 해주고 있어요

그걸 포기가 하기가 어려운거에요. 1인가구가 많아지고 요세 처럼 야회 활동이 힘든 시기에는 더더욱 배달에 대한 의존도가 올라가요

근데 그걸 포기 하고 배달직원들과 새로운 연락채계를 만들고 아님 새로운 전문 배달원을 구해서 그냥 혼자 전화 받고 하면 된다는건 정말 1차원 적인 생각 인거 같아요

생각 쫌......쫌...............제발 생각좀..
                         
마론볼 20-04-07 20:59
   
배민 가입해서 손해보는 거 같으면 탈퇴하고 스스로 해야죠?

왜 배달업체의 가입이 전제되는 겁니까?

배달업체 가입은 결코 강제사항이 아니에요

가입을 해서 이득을 본다면 가입하면 되는거고, 손해를 보면 가입을 하지 않거나 탈퇴하면 그만입니다

그런데 일부 손해를 본다고 그걸 정부가 무료어플을 개발해서 지원하는건 좀 아니죠

지금 댁의 말이 어떻게 보이는지 알아요?

소상공인이 손해보니까 배민이 일방적으로 손해봐야 한다고 말하는 것 처럼 보여요
                         
큐나 20-04-07 21:04
   
아니죠 독과점으로 인한 횡포로 일방적으로 많은 수수료를 올리는 횡포를 부리는 배달앱에 대응 해서 지자체에서 배달앱을 만들어서 자유 경쟁한다는건 좋은 방법일 수 있다고 생각 하는거죠

외면 받지 않을려면 경쟁 해야죠
                         
마론볼 20-04-07 21:05
   
배민의 수수료 정책이 지나치게 불합리하다고 생각하면 가맹자들이 알아서 탈퇴하면서 규모가 줄어들 겁니다

배민의 서비스가 편리한 것은 사실이지만 대체제가 전혀 없는 것은 또 아니거든요

배민이 있기 전에도 이 나라에서는 배달업이 아주 성황이었습니다.

배달시장의 과거회귀가 과연 불가능할까요?
                         
쾌도난마 20-04-07 21:06
   
강제 하진 않았어도 회사가 저흰 "강제하지 않았습니다." 라고 두손 놓고 장사하진 않지요..
어떤 회사도 강제하는 회사는 없습니다. 심리를 유도하거나 행위를 유도하면 했지..

뺨한대 맞으면 다른쪽 뺨도 내놓으라는 예수님 말씀은 철학관련 대화를 원하시는 분과 함께 하심이 좋겠습니다.
뺨한대 맞으면 원인이 뭔지 알고 싶은게 사람 심리고, 그게 잘되는길이라고 분위기를 유도하면 미친짓 같지만 똑같이 뺨때리고 다니는게 사람입니다. 그게 돈이 연결되는 일이라면 더더욱 그렇지 않겠습니까..
                         
큐나 20-04-07 21:11
   
시대에 변해 가야죠 편리한 결재 간편한 주문으로 이미 배달앱은 자리 잡았어요
과거로 되돌아가면 안돼고 더 좋게  발전 해야지 맞는거 아닐까요?

대체제가 현제 없다는게 문제입니다.

배달통 = 배달의민족 = 요기요 전부 같은 독일회사입니다. 독점이지요
다른 대체제는 뭐가 있나요?

불편한 이동식카드 결재?? 현금결재??? 전화주문과 받아 적는 부분에 일어나는 오배송
전에 배달 음식이라고 해봐야 중국집 치킨집??? 이정도 외에는 급하게 안떠오는데

과거로 돌아갈 이유는 없지요 발전 해야죠
                         
마론볼 20-04-07 21:17
   
지금 방법이 잘못됬다면 과거회귀라도 해야죠

안되는걸 계속 잡고갈 겁니까?

대체제 있어요

배달은 직접 하거나 퀵을 이용하면 되고, 광고도 대체수단이 있습니다. 지역 배달책자는 아직도 돌아다녀요.

수수료 내기 싫으면 직접 발로 뛰어야죠

그게 장사 아닙니까?

배달전문업체에 의지하지 않으면 장사가 성립 안되는게 더 이상한거 아닙니까?

그리고 수수료 뻥튀기라고 자꾸 그러는데, 그래서 구체적으로 수수료가 얼마인지는 알고 있습니까? 100원에서 200원이 되도 두배로 뻥튀기 되는거에요. 단순히 퍼센테이지에 낚여서 판단을 잘못하고 있는 것은 아닙니까?
                         
마론볼 20-04-07 21:24
   
내가 지금 좀 찾아봤는데

배민에서 바뀐 수수료 정책중 건당 5.8% 서비스의 경우 월매출 1000만원이면 수수료가 58만원이라네요. 당연히 배달매출만 1000만원 이겠죠?

월매출 3000만원 인 경우에는 174만원이랍니다.

배달부 하나 고용하는 것 보다 훨씬 저렴한건 사실인거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런대로 20-04-07 21:32
   
백화점이 독과점인가여?
독과점이면 해야져.
자본시장 어지렵히는데.
     
블링블링 20-04-07 20:28
   
비교자체부터 틀린...
내일을위해 20-04-07 19:47
   
수수료가 단순히 비싸다고 배달앱을 만들겠다고 말하는 기레기쉐리. 수수료의 높고 낮음이 아니라 독과점의 폐해가 문제란다. 독과점금지조항도 모르는 기레기.
     
마론볼 20-04-07 19:48
   
시 인가 도 차원에서인가 주문서비스를 지원하겠다는 식의 기사가 있긴 했음
구급센타 20-04-07 19:54
   
독과점 담합은 아니되오
클로바 20-04-07 19:55
   
배민 인수를 허가한 것도 공정위고
요기요와 배민의 합병을 심사중인 곳도 공정위 입니다.

그와중에 적자개선을 위한 요금제 개편으로 불만이 커지자 공정위에서 압박을 넣었고
일단 배민쪽에서 한발 물러났죠. 결국 독점의 문제는 공정위가 판단할 문제..

만약 합병에 딴지를 걸지 못하겠다면 정치권에서 입법을 통해서 막아야하는 문제죠.

지자체가 자의적으로 독점으로 규정하고 그걸 막기위해 세금으로 운영하는 무료의 서비스를
이미 적자를 보고 있는 시장에 제공한다? 글쎄요.. 그냥 소상공인 보호하는 취지면 모두 괜찮은 것은 아니지 않나 싶습니다.
하다못해 제로페이 같이 사업상의 목적, 타겟, 수익모델, 공익까지 계산해서 만드는 것이 아니라면 찬성하기 어려울듯.
이름어려워 20-04-07 20:05
   
수수료 비싼거 하고  독점으로 선택권을  제하는 거하곤  다르지
쟈야 20-04-07 20:06
   
지방자치 제대로 하는건데 왜 그럴까? 이재명이 하는게 마음에 안들면 다음 선거때 다른 후보를 뽑으면 되는거지.
Hoding 20-04-07 20:20
   
자유경제시대에 자치단체의 진출은 나쁘지 않습니다.
얼마나 투자를 하느냐에 따라 서비스질도 바뀔텐데 기업쪽이
훨씬 투자나 진행에 수월하지 않을까요?
독과점을 지자체나 정부가 견제해주면 땡큐죠.
당나귀 20-04-07 20:24
   
제재사유에 해당되면 벌금이던 영업정지던 철퇴를 내리는게 공정관리위원회죠...
그 기능이 멈추니까 말들이 나오는거고...
별명없음 20-04-07 20:43
   
홈쇼핑 채널들이 기업 위주로만 돌아간다고..

503 시절에 공영홍쇼핑 만든적도 있는데..

그때도 이렇게 까댔을까...
Kaesar 20-04-07 20:47
   
문정부가 하는 건 무조건 반대하는 헛소리임.

만약 그냥 두었다면, 정부는 뭐하냐, 정부가 나서서 소상공인 도와야 하는 거 아니냐 했을 것임.
smartboy 20-04-07 20:48
   
이거 소모적 논쟁이예요. 돈들여 공공앱 만들고 이거 해봐야 안되는구나라고 느껴봐야 되요
배민이 단순 앱 회사가 아닙니다
마케팅 회사예요
세금 퍼부어 공공앱 만들어봐야 마케팅력에서 절대 배민 못따라갑니다.
공공앱이 나오면 뭐하겠어요?
서울 제로페이 아무도 안쓰잖아요  똑같습니다.
smartboy 20-04-07 20:49
   
시장을 이길 수 있다는 생각 자체가 교만이고 패착입니다.
담양죽돌이 20-04-07 20:56
   
전국백화점을 한군데서 독과점하면 정부에서 당연히 나서야지....
근데 백화점은 사실 독과점 해봐야 백화점 안가고 다른데서 사면되는게 대부분인지라...
Kaesar 20-04-07 21:00
   
시장을 왜 이길 수 없다고 생각하죠?

미국에서 록펠러가 만든 석유재벌, 미국정부가 독과점 금지법 적용해서 7개로 나눴습니다. 그래서ㅡ별명이 세븐 시스터즈, 7개가 지금도 경쟁하고 있어요.

미국 통신대기업 벨사도 독점금지법으로 여러개로 쪼갰습니다. 그래서 생긴 별명이 베이비 벨,

자본주의 종주국 미국도 거의 100년전에 그렇게 했습니다.

시장이 만능도 아니고, 시장경제에서 나온 해가,항상 최적해도 아닙니다. 경제학 개론만 읽어도 다 알 수 있는 상식이지요.

배민? 우선 합병부터 무효화 할 수 있습니다.  걔들이 시장은 아므도 못이겨라고 생각했으면 지금처럼 납작 엎드리겠어요?
smartboy 20-04-07 22:21
   
그럼 시장을 이길 수 있다고요?
시장이란 결국은 소비자입니다.  아무리 공공앱을 잘 만들어도 결국 선택은 소비자가 하는 겁니다.
제로페이가 아무리 소상공인에게 많은 혜택을 준다고 해도 결국은 소비자가 사용을 안하면 말짱 꽝입니다.
제로페이가 과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을까요?
개발하는 세금쓰고, 유지하는데 세금쓰고,  근데 사용율은 저조하고
내가 낸 세금 그런식으로 낭비되는거 보면 정말 피가 거꾸로 솟습니다.

경제학개론 말씀하셨는데 물론 경제학개론에 케이즈학설 당연히 나오죠
하지만 저는 하이에크선생을 진심 존경합니다.  하이에크선생의 책도 한번 읽어 보시길 권합니다.
생각이 많이 바뀔겁니다.
랄라랜드v 20-04-08 05:05
   
정부나 지자체에서 배달앱을 만들어서 배포한다는 취지 자체는 좋음. 실효성이 있나 없나를 떠나서
하지만 결국 경쟁에서 이길수 없음. 브랜드 노출도, 광고빈도, 혜택 등이 민간기업이 압도적임. 다른 어플에서 할인쿠폰 행사 때 소비자들은 혜택없는 공공 배달앱보다 할인행사하는 배달앱을 쓸거임. 그렇다고 공공 배달앱이 세금을 들여서 행사를 할 수도 없음. 평상시에 공공배달앱을 쓰면 사업장에서 혜택을 주거나 해도 어려운게 사실임.

그래서 차라리 정부에서 배달앱 자체에 대한 규제를 하는게 맞음. 전통시장이나 작은가게들과 공정경쟁을 위해 SSM매장에 규제하는것처럼.

그나마 지자체에서 괜찮은 생각을 했다 싶은거는 지역화폐를 지역배달앱에서만 결제 가능하도록 하게 만들면 그래도 나름 경쟁력이 조금 오르진 않을까 싶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