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8-08-14 08:23
영국 원전수출의 실체
 글쓴이 : lanova
조회 : 1,739  

사업비 초과로 일본,프랑스 철수고민

그냥 하지 마라 여기다 원전 폐기물까지 

여러분들 세금입니다.

https://news.v.daum.net/v/20180814063006395

영국에서는 발전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재생에너지 등의 비중이 30%에 달해 전기 도매 가격은 원전에 비해 매우 저렴하다. 따라서 원전사업자가 전기 판매로 이익을 내기 위해서는 영국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해야 하는데 CFD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하지만 규제가 까다롭기로 손꼽히는 영국 원전 건설은 사업비용이 얼마나 늘어날지 장담할 수 없다. 현재 사업 추진 중인 영국의 '힝클리 포인트 C' 원전도 건설비용이 당초 21조7000억원에서 28조4000억원으로 불어나 사업자인 프랑스의 EDF도 매우 고심하고 있다. 이에 대해 영국 정부는 CFD 방식에 따라 초과비용을 포함한 건설비용은 모두 사업자 부담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CFD 방식을 고수하는 영국 정부는 힝클리포인트 C 원전 사업(프랑스 EDF)과 와일파·올드버리 원전 사업(일본 히타치)에서 CFD 사업 방식을 놓고 사업자들과 수년 째 마찰을 겪고 있다.

특히 와일파·올드버리 원전의 경우 히타치의 철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영국 정부가 부랴부랴 총 사업비 3조엔(약 29조3000억원) 중 2조엔(약 19조 5000억원)을 대출 형태로 지원할 계획을 밝혔음에도 사업 전망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황이다.

게다가 CFD 방식을 두고 영국 내부에서는 오히려 정부가 보장해주는 가격이 너무 높다며 막대한 보조금 지급과 그에 따르는 정부의 재정 악화를 우려하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 즉, 시공비용이 눈덩이처럼 불어나 적자가 예상되는 힝클리포인트나 와일파·올드버리 원전과 같은 수준의 가격 협상조차도 어려워진 상황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lanova 18-08-14 08:23
   
스테판 18-08-14 09:03
   
원전폐기물까지 책임져야 하고 사업비 한푼도 보장 못받고 그냥 대출...나중에 전기팔아 갚아야함... 그리고 그 사업비 조차도 빠듯하게 책정... 그리고 사업비 충당하기 위해  완공후에  팔아야할 전기도  친환경에너지 전기가격하고 경쟁력도 상실 ...그냥 사업자는 망하고 영국만 꿀빠는 형태.... 안하는게 나아보이네요
공갈왕 18-08-14 09:09
   
영국이나 되는 나라가 자국서 안 만들고 남의 나라 맡긴다는 건 그만큼 뒤가 구리다는 손 안 대고 코푸려는
별명이없죠 18-08-14 09:43
   
일본 도시바도 포기했던 영국원전 사업입니다.
어느 댓글에서는 현 정부 비난하시는분이 아래와 같이 적은 글도 있더군요.

문재인 22조를 날렸다???
영국돈이 아니라, 우리나라 돈 22조로 먼저~ 영국에 원전을 지어줘야 됩니다.
회수는... 30년간 전기세로 찔끔~ 찔끔 걷어야 됩니다.

그런데... 22조에 대한~ 원금보장 조건이 없습니다.
우리돈으로 영국원전을 지었다고, 우리 맘대로 전기세를 올릴수도 없습니다.

더구나 영국이...
이번에 원전을 건설하는 나라가
새로 지을 영국 원전에서 발생하는 사용후 핵연료의 관리 대책을 마련하라고 했습니다.
사용후 핵연료는 우리도 아직... 해결못하고 있습니다.

현재 기술로는 깊은 땅속에...
10만년을 견디는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어서... 10만년동안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10년도 아니고, 1,000년도 아니고, 무려... 10만년을 보관해야 합니다.
저걸~ 뭐하러 수주합니까?

다른 기사보니...
"한국 정부·한전과 영국 정부 간 협상이 난항을 겪는 건 무어사이드 원전 사업 방식 때문이다.
UAE원전 수출의 경우 UAE 정부가 건설비를 전액 부담하는 방식이었지만
(이것도 프랑스가 40조에 견적낸거, 우리가 약 반값인 22조에 덤핑? 수주했죠.
거기에 12조는 우리가 이자물어가면서 빌려줘야 합니다.)
무어사이드 원전은 사업자가 수십조원 건설 비용을 모두 부담해 완공한 뒤,
30여 년간 영국 시장에서 전기를 팔아 투자비를 회수해야 한다.
문제는 영국 정부가 적정한 수익을 보장해주려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익이 난다는 보장도 없습니다.
우리돈으로 먼저~ 남에 나라에 원전을 건설해주고, 오히려 적자가 심하게 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대한민국도 사용후 핵원료를 더이상~ 보관할 장소가 없어서 처리를 못해서 힘이든데...
영국 원전에 고준위 사용후 핵원료까지 우리보고 대책을 세우라뇨?
그냥~ 수주 안하는게, 극히 정상입니다.

지금 현재 우리나라도 핵연료 저장시설이 거의 다찼다고 합니다.

아래 기사를 보면...
1년여 후면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사용후핵연료 때문에 원전 3기를 추가 영구정지해야 할 수 있다는 의미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을 위한 해법이 도출되지 않으면 결국 모든 원전이 멈춰설 수도 있다”
라고 나왔습니다.

[르포]"핵연료 저장시설 벌써 90% 포화" 월성 원전을 가다.
https://news.v.daum.net/v/20180706035020141

원전은 발전소를 만드는것보다...
지진대에서도 절대적인~ 원전에 안정성과,
막대한 양의 방사성 폐기물들을 안전하게 폐기하고, 보관해야 하며...
폐연료봉 등을 보관하는 고준위핵폐기물처리장은 무려~ 몇 만 년의 입지조건이 필요합니다.
무려... 몇 만년을~ 안전하게 보관해야 합니다.

비교기사:
핀란드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 모범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핀란드는 발트해 올킬루오토섬에 영구처리 시설 ‘온칼로’를 짓기 시작했다.
지하 455m에 만들어지는 온칼로는 2023년부터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받아들인다.
이 고준위 방사성폐기물들은... 10만년 동안 묻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