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23-08-01 13:07
초전도체 내가 말한 그대로 미국 국립연구소가 발표함
 글쓴이 : 유전
조회 : 5,105  

제목: 극저온 초전도체와 상온 초전도체의 공통점
필명: 유전   2023.07.29 14:11:24 조회 71 추천 2 

"연구진은 납을 이용해 상온에서도 초전도성을 가지는 물질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인산구리를 925도의 고온에서 10시간 구워 얻은 물질을 산화납, 황산화납과 섞어 다시 725도에서 24시간 반응시켰다. 그 결과 납을 기반으로 하는 아파타이트라는 구조가 만들어졌다. 아파타이트 구조는 육각 기둥의 모양으로 원자가 배열이 반복된 형태다.

이렇게 만들어진 납-아파타이트 구조는 비대칭적인 형태를 보였다. 아파타이트 구조는 납 원자 10개로만 만들어지면 대칭 구조를 갖는데, 일부 원자가 구리로 바뀌면서 형태가 일그러진 것이다. 그 결과 부피가 0.48%가 줄며 수축이 일어났고, 그 결과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

유전(mindbank) : 극저온 초전도체도 당연히 극저온이 되는 과정에서 수축이 일어난다. 위 상온 초전도체도 위와 같이 수축이 일어나면서 초전도체가 된 것이다. 하지만 다시 "초전도성이 유지되는 임계 온도를 측정한 결과 127도에 이른다고 분석했다"는 말과 같이 상온이 아닌 상대적 고온이 되면 수축된 물질이 다시 서서히 팽창하면서 초전도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마찬자기로 극저온 초전도체도 서서히 수축이 된 상태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내다가 기온이 올라가는 임계점에서 수축되었던 물질 자체가 팽창을 하면서 초전도성을 잃게 되는 것이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singularity&no=188682&page=1
 미국 국립연구소 발표



유전: 처음 발표때 부피가 줄었다는 것 보고 아 드디어 성공했구나 했다. 원래 부터 누군가 이렇게 될 거라고 기다리고 있었지. 08.01 12:36:59

ㅇㅇ(183.96): 걍 프레스로 누르면 안되냐 ㅋㅋ08.01 12:39:12 

ㄴ 래머: 그게 고압초전도체지 - dc App08.01 12:40:50

ㅇㅇ(115.161): 형님 전문가심?? 지리네 08.01 12:45:20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ㅇㅇㅇㅇㅇ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유전 23-08-01 13:17
   
잘못 올라간 본문 링크 수정함. 아래 활성 링크 크릭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hesingularity&no=188682&page=1
 미국 국립연구소 발표
유전 23-08-01 16:03
   
임계온도를 얼마나 높게 끌어올리느냐가 바로 기술력의 차이임.
왜냐하면 한국은 임계온도 127도로 발표됐으니까 그 미만 환경 가령 포항제철 고로 바로 옆에서는 불가능 하겠지만 조금 떨어진 사람이 작업하는 공간에서 한국은 설치물이 계속 작동하는데 비해 미국은 20도 정도로 임계온도가 발표됐으니까 여름에 밖에만 나가도 초전도체 기구가 작동 불능이 됨.
그게 기술력의 차이 이자 제품 순도의 차이. 127도면 끓는 물 속에서도 작동한다는 소리.
마시마로5 23-08-01 17:42
   
에휴..자존감을 찾으려면 좀더 겸손해지시고 나가서 대화도 좀 나누시고..
     
유전 23-08-01 18:04
   
니가 왜 나를 걱정하는데? 니 앞날이나 신경 쓰고 나에 대해서는 신경 꺼라. 주제 파악이나 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