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7-08-01 08:54
KSTAR 예산 삭감? 아님 유지?
 글쓴이 : 해군장교
조회 : 1,610  

문재인 대통령이 탈핵을 선언하면서 원전 개발 비용도
깎아버렸다는거 같은데 그럼 KSTAR도 예산이 대폭 줄어 드는건가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컴퓨터,밀리터리등 자료들을 구경하러 왔습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린박스티 17-08-01 08:57
   
kstar는 원전이 아니라 핵융합 발전이라 예산 삭감 없을 껄요;;

핵융합이 원전의 대체 에너지로 개발되는건데 예산 삭감 할 리가요;;
     
해군장교 17-08-01 09:03
   
원자력 예산을 삭감하면 핵융합도 그 영향을 받는다고 해서
진짠가? 싶어서 물어본거에요
          
뇽가뤼 17-08-01 09:59
   
탈원전에서 가장 혜택보는게 대체에너지 산업이고,

우리나라가 선봉에 있는게 핵융합 발전인데...

같은 원자력이라도... 붕괴가 아닌 융합은 완전 다른문제죠...
Habat69 17-08-01 08:59
   
이미 삭감은 명박이가 한것 같은데?
참치 17-08-01 09:04
   
KSTAR와 같은 핵융합발전은 핵발전소를 대신할 친환경에너지 기술 입죠.

당연히 삭감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예산을 늘릴 겁니다.
서클포스 17-08-01 09:27
   
핵융합 미래 전력의 핵심 기술임..

이거 개발 되면..  제 4 차 산업 혁명이 일어날 정도로 어마 어마한 사건이 될 건데..

사실상 50년 이내는 불가능.. 미래 세대에 저거 개발된 이후라면 모든 에너지로 부터 자유롭게 될것임..
     
ficialmist 17-08-01 09:43
   
50년 이내 불가능은 무엇을 근거로 판단 내리시는거죠?
현재 KSTAR 는 큰 마스터 플랜은 없지만 대략적 상용화 목표를 40년~50년 사이로 잡고
문제 없이 개발&실험 진행되고 있습니다. 전체적인 분위기는 목표대로 아주 잘 되고 있다 입니다.

국가핵융합연구소 블로그 입니다. 관심 있는분들은 읽어볼 글이 많을겁니다
http://blog.naver.com/nfripr
          
미우 17-08-01 10:58
   
미래의 일은 그 때 가봐야 알 수 있는 거긴 한데
현재로는 상용 융합로는 그 정도 걸린다고 보는 게 맞습니다.
시험로인 iter가 건설만 10년에, 2035가 목표인데 계속 지연되고 있고요.
건설만 지금 10년 정도 지연으로 20년간의 시험운용이 이제 2040년대로 밀렸습니다.
운용 성과와 개선 등의 기술로 다른 문제점 없이 40년 중반에 상용 융합로 건설 들어가도 50년대죠.
블로그 내용을 굳이 보지 않더라도 4~50년이 목표라고 적으셨네요. 뛰어든 국가들이 다들 목표는 그 정도로 세우고 있는 걸로 압니다.
뭐 중간에 획기적인 게 나올 수도 더 늦춰질 수도, 서두에 얘기했지만 미래는 그 때 가봐야...
          
아이쿠 17-08-01 13:02
   
이런 신기술이 적용되는 프로잭트는 계획대로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봐야죠
특히 위험하고 이전에 전혀 시도하지 않은 새로운 차원의 기술이라면
수많은 시행착오가 있을것이며 그로인한 시간 지연은 너무나도 당연한 결과죠
핵융합의 본격적 이용은 아직은 머나먼 이야기죠
          
archwave 17-08-01 13:13
   
아무리 긍정적으로 본다 해도
시험가동 수준이 아니라 현존 발전소를 대체해서 실제 전력 생산 (적어도 기저전력 생산) 을 담당하려면 사실상 50 년은 넘게 걸린다고 봐야 할거 같은데요.

KSTAR, ITER 얘네들 방식은 작게 만드는 것은 아예 가망없습니다. 크게 만들어야 하죠. 이 말은 건설하는데도 많은 시간 걸린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KSTAR, ITER 방식이 먼 미래에도 쓰일 적절한 것이라 하더라도, ITER 로 20 년 가까이 만지작거리면서 다음번 실증로 설계 데이타로 삼고, 실증로 만들어서 굴려보고 나서야 실제 실용화할 핵융합로.. 뭐 이런 식이 되어야 할 것은 뻔한 것.

차라리 다른 방식 - 상대적으로 소형으로 만들어도 효율이 나올 수 있는 방식 - 의 핵융합로가 만들어지는 편이 더 빠른 상용화가 가능할지도 모릅니다.

핵융합로 상용화 가능한 기술 개발이 완전히 이뤄지고도 20 년은 걸려야 실제로 대규모 실사용이 가능할테고요. ( 검증하고 설계하고 건설하고 등등.. )

핵융합로 상용화 가능한 기술 개발 --- 이 시점을 주로 말하는데, 이것조차 30 년내로 된다 자신하는 말 못 들어봤습니다.
9걸 17-08-01 17:18
   
쳇 어짜피
태양광 풍력 수력 샌에너지 재생에너지 전부 지금 환경 지역주민들 반대 때문에 하나도 제대로 못하고 있는데 결국 나중에 원전 2~4개정도는 더 만들지요 다음 정권에서 ㅋㅋ지금 문재인 하는거 봐선 ㅋㅋㅋ국민들 싫어함 ㅋㅋㅋ 물론 문재인 지지자들은 싫게고 욕하겠지만 ㅋㅋㅋ
     
사자어금니 17-08-01 21:28
   
뭔 헛소리를 이리 길게도 적어놓는건지...
암튼 베충이 색히들은 ㅋㅋㅋ이 없으면 문장 작성을 못하는것들 뿐이구만~! ㅉㅉㅉㅉ
          
다크사이드 17-08-02 10:58
   
Alert!  비상~~  문베충 한마리 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