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6-07-29 20:45
개인적으로 화났던 jtbc 보도
 글쓴이 : Sulpen
조회 : 1,831  


글은 처음 써보는거 같네요. 명쾌한 결론은 없습니다만 그냥 jtbc 보도중 화나는게 있어서 제 나름대로 지적해 보았습니다.


사실 이전 jtbc 논란보도(http://news.jtbc.joins.com/html/510/NB11280510.html 7/27 20:41)는 약간의 편향성 정도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내용적으로 보았을때 대부분 팩트였고 팩트를 보여준 방식이 왜곡되었다는 거에 화가 난거지만 그건 기존의 jtbc에 대한 기대치가 높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화가난 측면도 있다고 봅니다. 다른 뉴스보도에서 저정도 팩트 왜곡은 일상적인 수준이니까요. 다만 기존에 오역보도로 인해 한번 이미지가 추락한 상태에서 다시 한번 이런 사건이 터져서 더 배신감을 느끼게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아마 이 보도 뒷부분이겠지만 이런 보도가 연속되었더군요.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1280509&pDate=20160727 7/27 20:43

여전히 jtbc를 신뢰하던 저조차도 이 보도를 보고는 화가 나더군요...


애초에 위의 두 기사를 연관시켜 생각해보면 메갈을 공격하는 사람이 일베라는 프레임을 씌우려고 하는걸 거의 확신할 수 있습니다. 윗보도까지는 이해하지만 이게 데스크를 통과했다는게 너무 이해가 안가네요.


개인적으로 위의 뉴스에서  5월이전의 여혐 트렌드를 보여주고, 6~7월만 따로 떼어서 메갈과 일베라는 트렌드를 보여주는게 너무 왜곡됬다고 느껴서 검증의 필요성을 가졌고, 위의 보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과거 5월 강남역 살인사건에서 jtbc 팩트체크에서 사용했던 네이버 트렌드를 사용했습니다(다음 빅데이터는 사용하는 방법을 모르겠네요)


네이버 트렌드(http://datalab.naver.com/ca/step1.naver)는 간단하게 네이버에서 해당 단어로 검색된 상대적인 검색 빈도를 보여준다 정도로 해석하면 될듯합니다.

검색기간은 2012년 11월~2016년 7월.


먼저 뉴스에서 언급했던 대표적인 여혐단어 김치녀, 삼일한(이건 일베용어), 한남(여시 시절부터 사용되던 남성 비하발언)의 비교

네이버트렌드(삼일한, 김치녀, 한남).png

한 집단에서만 사용되던 단어(삼일한, 한남)에 비해 확실히 김치녀 라는 표현이 일반적으로 많이 쓰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의외로 2015년 중순부터 검색이 감소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일베에서 사용되던 삼일한이라는 표현도 사용이 감소되고 있고, 한남이라는 표현의 검색빈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습니다.


둘쨰로 여혐이라는 단어를 김치녀, 한남과 비교한 검색

네이버트렌드(여혐,김치녀, 한남).png

신기하게 여혐이라는 단어는 2014년 6월 이전에는 검색된 적이 없습니다. 여혐논란이 일었던 5월에 검색이 폭주하고 딱히 7월에 와서 김자연 성우사건이 벌어졌음에도 그다지 검색빈도가 폭주하지 않는 모습이 독특합니다. 한남과 여혐이 거의 비슷한 검색빈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셋째로 위에 2개에서 비교적 강력한 검색어였던 김치녀라는 단어와 메갈, 여혐의 비교

네이버트렌드(여혐, 김치녀, 메갈).png

여혐이라는 단어가 5월에 다음에서 게시글이 많았다고 보도했었지요?

그런데 그것보다 훨씬 앞서서 메갈 문제 제기가 선행되었었고 여혐이라는 단어보다 훨씬 많은 지분을 차지한게 메갈인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메갈이 마치 이번 사태만의 문제라는식으로 통계를 6~7월만 보여주는데 메갈에 대한 문제제기는 전년도부터 이어져온 거라는걸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김치녀, 여혐같은 단어보다 훨씬 중요하게 다뤄진 문제지요.


다음은 메갈, 메갈리안, 메갈리아 같은 정확히 통일되지 않은 단어에 대한 비교

네이버트렌드(메갈리안, 메갈리아, 메갈).png

위에서 그렇게 강력해 보였던 메갈도 메갈리아라는 원래 명칭에는 밀리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7월에 오면서 메갈리아=/=메갈리아4 라는 말이 불거지면서 그냥 합쳐서 메갈로 검색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직까진 메갈리아라는 원래 그룹에 대한 명칭이 많이 쓰이고 있네요.


마지막으로 그렇게 강력해 보이는 메갈리아라는 단어와 일베, 오유의 비교

네이버트렌드(일베, 메갈리아, 오유).png

6~7월에 메갈리아 사태가 커지면서 '메갈리아'를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일베 게시물이 증가한다구요? 일베를 너무 과소평가하시는군요. 일베는 메갈리아 사태와 관련없이 꾸준히 일베활동을 하는거지 메갈과 왜 일베를 연관시키는지 모르겠네요.

혹시나 이걸보고 또 일베가 오유보다 크다고 말하시는 분이 있을 수 있지만 similarweb 분석에서 디시, 인벤, 뽐뿌, 클리앙, 오유, 나무위키 등이 일베보다 접속 횟수가 높은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네이버 주요 검색자가 일베가 많은거고 디시나 오유는 네이버 사용비율이 낮은거 뿐입니다. 디시(최대 커뮤니티 사이트)는 오유보다도 네이버 검색 비율이 낮습니다.


결론

1. 네이버 검색결과만 가지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마찬가지로 다음 게시글 수로 일반적인 경향성을 말할 수 없다. 검색결과나 게시글은 그냥 경향성이나 트렌드를 보여주는거지 그걸로 어떤 현상이 증가했다 감소했다고 판단하는건 통계를 이용한 선동일 뿐이다.

2. 여성혐오 발언이나 남성혐오 발언들이 개별적으로는 많이 사용될지 몰라도 딱히 검색빈도는 전혀 높지않다.

3. 여혐이나 메갈리아 같은 사회적인 문제의 검색빈도에 있어 여혐이라는 단어의 검색빈도는 굉장히 낮은편이고 의외로 메갈리아는 이번 사태(5월, 7월) 이전에도 높은편으로 견제의 대상이었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4. 메갈을 일베랑 엮으려고 하는건 진짜 바보짓이다. 도대체 왜 일베랑 계속 메갈을 같이 엮는지 이해불능


개인적인 의견

통계를 활용하는건 좋지만 저런식으로 통계를 활용하는건 그냥 왜곡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하려면 똑같이 1~7월에서 비교해야 하는데 하나는 1~5월 비교하고 다른 일베, 메갈은 6~7월만 비교한다? 와 진짜 jtbc에게 엄청나게 실망했다. 어떻게 보도지침을 통과했는지 이해가 안갈 수준의 편협한 통계를 활용한 기사를 이렇게 민감한 시기에 보도하다니요... 하... 이제 어떻해야 할지도 모르겠네요. 길 잃은 양이 된 느낌입니다.


ps. 위 검색 결과는 네이버 트렌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제 말만 믿지 마시고 각자 나름대로 통계자료를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한국인입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yang 16-07-29 21:06
   
그간에 이미지가 죄다 깨져나가던
꾸리끄 16-07-29 21:23
   
그쵸...차라리 거드리질 말지...
서클포스 16-07-29 21:34
   
jtbc 뉴스 자유게시판에도 좀 올려 주세요 ㅋ..

http://news.jtbc.joins.com/Etc/NewsFreeboard.aspx
     
Sulpen 16-07-29 21:43
   
jtbc 아이디가 없어서 안되네요 ㅜㅜ
jtbc 뉴스팩트를 열심히 시청하는 애청자입니다. 개인적으로 화는 나지만 여전히 뉴스팩터는 애정을 가지고 볼 예정입니다. 개인적으로는 jtbc 논란보도가 번졌는데도 막상 자유게시판 조회수가 가생이 조회수보다 낮다는게 안타깝긴 합니다...
푸컴 16-07-29 21:49
   
jtbc가 정의인가요? -> 다른 언론이 너무 편파였으니, 상대적이었던 것이라 생각됩니다.
jtbc에는 편파적이지 않는 사람들만 있나요? -> 거기도 일반적인 비율로 사람들이 포진해 있을겁니다.

당연한 결과 아닐까요? 특정분야에 있어서, 자신들의 생각에 맞추어 뉴스를 기획하려고 하겠죠.
많은 사람들이 듣기 좋은 뉴스를 내보내면 그것이 정의로 균형으로 보일수도 있습니다.

극보수들 입장에서 봣을때, 조선이 과연 정의와 균형일겁니다.

마찬가지로 언론과 뉴스는 편파, 균형을 보도한다는것 자체가 어려운 일일겁니다.
어쩜 JTBC도 그 방향을 정의당 처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고 있었는데,
그동안 그것을 보지 못했을수도 있습니다.

어떤 언론이든 정보만을 봐야지, 팩트체크 같은 관점을 봐서는 않될것입니다.
이게 무서운거죠.

A라는 기준이 정의롭고, 공정하며, 균형이 있어라고 생각하고 믿으면,
그 A라는 기준이 잘못된 기준을 제시해도
A가 기준이 되어 그것이 공정하고, 균형이라고 생각하는 모순이 올수도 있습니다.
그 A라는 기준이 정의, 공정, 균형이라고 믿어버리는 시간이 길면 길수록
위험도는 증가하게 되겠죠.
     
Sulpen 16-07-29 22:13
   
그렇지요. 이번 사태로 이런 시각을 가지게 된 사람들이 늘어나게된거 같습니다. 팩트체크에는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지만 보도까지 그러면 안되는건데 아쉬운 부분이지요.
          
푸컴 16-07-29 22:37
   
네, 절대적인  진실, 팩트, 공정, 균형이라고 믿고 보면 위험한것이니까요.

그 정보를 듣고, 그 판단의 개인의 몫이니까요.
JTBC는 절대 균형이야라고 보니까, 멘붕이 오는거죠. ^^

제네도 이시대의 어용언론중에 하나지만,
그나마 볼만한 곳이야 정도로 생각하면 가려서 보고, 받아들이겠죠.

그런 의미에서 161?년뒤의 정정보도라는 부분은
정말 잘포장된 느낌의 뉴스였죠.
몽골메리 16-07-30 02:24
   
조선이나 국민일보측 기자에게 기사제보 할 수 있습니다.
일전에 JTBC가 오보를 냈다는 기사를 쓴 기자

국민일보;김상기 기자 kitting@kmib.co.kr
이투데이;장하정 기자 haha9400@etoday.co.kr
헤럴드경제(온라인뉴스팀)onlinenews@heraldcorp.com

찾아보면 더있겠지만, 관심있는 기자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메일계정만 있으면 기사제보 가능 할 것 같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