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9-12-12 18:40
집값 폭등을 잡으려면 뭘해야 할까요?
 글쓴이 : 여리47
조회 : 845  

저는 1순위로 다주택자를 잡아야한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현재의 주택임대사업자 정책은 합법적 다주택자를 양산해서 주택 공급을 줄이는 실패한 정책이라고 봅니다
서울엔 주택이 부족한게 아니라 주택소유 편중이 문제 같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도나201 19-12-12 18:44
   
부동산업을 없앤다.

전부 시청에서 부동산업을 일임하게 한다.

이거면 사실상 끝남.
뭐꼬이떡밥 19-12-12 18:44
   
그래봤자
주택소유자들 못살겠다고 아우성칠게 뻔하고

그냥

국민에게 기본급으로 매월 1억씩 주면 모두 집을 살수 있을듯 싶어요
     
여리47 19-12-12 18:46
   
헉 제가 아는 어느분과 비슷한 말을 하시네요.
혹시 그분인가?  ^^
위대한열쇠 19-12-12 18:45
   
실패했다고 애기는 못함

주택임대사업자 혜택 준다고하고 1세대 2주택자부터 양도세혜택이랑 비과세 없애버림

2020년부터 1세대 1주택도 2년 거주 안하면 9억초과분 양도세 혜택 10퍼센트인가?

20퍼센트 밖에 안해줌

그래서.. 스발 이번년동안에 건물 팔아야하는데

13억에 산거 15억에 팔려는데 총 6억에 대한 양토세를 내야하니 x같음

임대사업자 사이로 정부가 뒷통수쳤다고 애기나옴

근데 서울 집값은 제가 볼때 아직은 안정적임.

더 오르면 더 오르지 못잡음

다른 선진국보다는 아직 싼편

중심가만 아파트 10억 이상하지 그외는 5~6억정도함
     
왕두더지 19-12-12 18:56
   
5-6억 깨진게 올해임..  비강남권 24평도 보통 6-7억임.
서울아파트 중위권 가격이 십억 가까이 됨.
          
위대한열쇠 19-12-12 19:07
   
ㄷㄷ 작년까지만해도 5~6억정도였는데 더 올라버렸네..스발

원룸 다가구 괜히 투자해서 아파트나 투자랄걸
               
슈락샤 19-12-12 19:29
   
양도소득세란게 가격이 오른거에 대한 세금으로 알고있습니다만,
13억에 샀는데 15억에 팔았을 때 2억의 자본이익(?)을 얻었는데 양도소득세가 6억이라니요???
다른 세금까지 합친다고 해도 6억은 좀 이해가 안가는 금액이군요. 혹시 다운계약서... 쿨럭
     
morningstar 19-12-12 20:04
   
34평형 이상은 평균 10억 정도 합니다. 가산디지털단지 지역을 제외하는 대부분 8억 이상은 합니다. 서울 집값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을가요? 지금 추세라면 2~3억 정도 더 오늘고 떨어질 겁니다. 이런 사이클이 계속 반복되고 있죠. 서울 집값 잡는 방법은 단 하나입니다. 서울의 기능을 하나하나 지방으로 이전해야죠. 서울 이 좁은 곳에 우리나라의 모든 에너지가 농축되어 있어 에너지를 분산 시키지 않는 이상 서울 집값 잡기 힘들죠. 물론 이전도 쉽지 아니 거의 불가능할 겁니다. 기존 인프라를 대신할 지역에 천문학적인 세금이 투입되어야 하고 기존 기득권층이 절대 용납을 안할테니까요. 적절한 규제와 완하가 상황에 맞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지금 정부는 어느정도는 잘하고 있다고 봅니다. 부동산 거품이 날라가기 전에 잡았으니까요
     
영계백수 19-12-12 20:22
   
저기.... 성남이 역세권 대충 6억부터 시작해요
브랜드 아파트는 더하고......
제꺼가 올초까지 3억5천~3억8천였는데 지금 4억5천~4억8천해요..... 24평인데....
성남이 보통 거의 5~6억대에요
     
Irene 19-12-12 23:53
   
양도 이익이 2억인데 무슨 6억에 대한 양도세를 내나요?
          
위대한열쇠 19-12-13 10:55
   
?? 고가주택 9억이상하는건 9억까지 비과세고 그 이후로는 세금을 내야하는게.아닌가요?
전 부동산한테 그렇게 들었는데...
샤루루 19-12-12 18:47
   
총대매고 10~20억 이상 주택에 대해서 종부세 엄청쎄게 때리면 해결
     
위대한열쇠 19-12-12 18:48
   
주위 건물주한테 물어보니 1세대 2주택 고가주택 종부세 400만원정도 나왔다고함 ㄷ
          
합도리 19-12-12 18:56
   
1년 400만이면 건물주한테는 껌값도 안 됨.
원룸 월세도 그거보단 비쌈 -_-
               
위대한열쇠 19-12-12 19:06
   
근데 공실 생각하면 그러면 어느정도 타격 받음.. 지방쪽 임대사업은 망이고..

서울도 공실률 많이 오름
왕두더지 19-12-12 18:58
   
거래세로 집값 잡는건 불가능... 왜냐하면 거래세는 전가하면 그만..
더 오른다는 생각을 가지면 거래세 전가하고 팔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되고 결국 거래세는 무용지물

결국 집값 잡는건 보유세율 높이는것뿐임.
가지고 있을수록 세금 많이 내게 하면되고 특히 주택 소유수에 비례해서 중과세 하면 다주택자를 잡을수 있음.
강철의거인 19-12-12 19:02
   
일본처럼 재산세 존나게 때리면 됨
달빛이사랑 19-12-12 19:23
   
요새 50억짜리 부동산 갖고 있는 자칭 "서민"들이
종부세 폭탄 맞았다는 글들이 많이 올라오고 있죠 ㅋㅋㅋ

이걸 보면 기대만큼은 아니지만 실패한 정책은 아닙니다.
ZzipYo 19-12-12 19:30
   
일부러 거품을 조성했다가 터쳐버리는건 어떨까요?
3년 상환 무이자로 주택담보 대출을 한 2년동안 막 풀어버리는 겁니다. 그럼 좋다고 집 있는 사람이 대출받아 집을 살테고 그집을 담보잡혀 또 대출에 대출로 수요가 늘으니 집값은 천정부지로 뛰겠죠. 그리고 3년후 재산세 거래세 대폭 인상에 금리를 확 올려버리면 어지간한 졸부들은 못 버티고 팔게되겠죠. 그럼 점점 매물은 늘어날테고 매물이 늘수록 가격은 점점 떨어지고 ... 떨어질만큼 떨어졌다 싶을때 재산세 거래세는 유지하고 금리만 적당히 조절하면...
음... 부작용이 너무 크려나요? ㅋ
     
위대한열쇠 19-12-12 20:12
   
xx 많이 할듯
당나귀 19-12-12 19:34
   
다주택자 두들겨서 집 모두 내놓게하면 무주택자들은 그냥 갖나요?
집값 잡는거와 주거안정과는 다른 정책이죠. 부동산 폭락하면 주거가 안정되고 다들 집살까요?.

정책이 매부터 드는건 조심해야죠. 보유세 두들기면 서민들 집 안살라고 할겁니다,,, 악순환이죠..
     
푸른마나 19-12-12 20:51
   
집가격이 미쳐서 안사는거지 집가격이 빡세게 10년정도 모아서 살정도면 대부분 남의집에 세들어서 살려고 안합니다...
물론 지역에 따른 정책이어야죠...부동산 가격이 비싼 서울권은 빡세게 쪼여야 되고... 부동산 가격이 싼 지방은 약간 풀어야죠..
midrange 19-12-12 20:19
   
집 보유수에 맞춰서 종부세 누적되도록 해야됨.
1채 2%, 2채 5%, 3채 10% 등등...
구르미그린 19-12-12 21:30
   
대한민국 역사상 집값 하락한 경우는 딱 2개
1) IMF 같은 엄청난 경제위기
2) 노태우 정부의 주택 200만호 건설.... 인데

이제는 경제위기 벌어져도 각국 정부가 돈을 막 풀어 자산가격 폭등이란 결과가 나온다는 걸
경제를 좀만 공부한 사람이면 (웬만한 자산가들은) 다 아는 사실이라
진짜 경제위기 와도 IMF 시절처럼 폭락할 가능성 없습니다.

결국 답은 하나. 서울 주변에 아파트 대량공급입니다.

한국처럼 전국 대도시 주변을 그린벨트로 다 묶은 나라는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운 만큼

그린벨트 다 풀어 아파트 + 공공임대주택 대량건설하고 외국인 대량이주 정책 중단해야

저소득층, 무주택자, 청년세대 숨통이 트입니다.
구르미그린 19-12-12 21:35
   
2년전 3년전에도 "아파트 대량공급해야 한다"고 언론, 인터넷에서 많은 사람들이 말했는데
문재인 정부 인사들이
"아파트 더 지으면 투기꾼, 토건족들만 좋다" 면서 아파트 대량공급 정책을 밍그적거리면서
집값 잡을 타이밍을 놓쳤습니다.

지금 한국 부동산 시장은 엄청난 공급부족 상태, 노동 시장은 엄청난 공급과잉 상태인데
2000년대 이후 계속 정책을 만들고 여론형성 주도하는
586세대 정치인, 지식인들이 시장 상황을 거꾸로 인식하고 그런 인식을 기반으로 부동산/노동/외국인 정책을 펴니
정책이 현실과 엇나가고
그 결과 저소득층 무주택자 청년세대가 갈수록 후달립니다.

인구 1000명당 주택수는 한국이 370채, 일본이 500채, 거의 모든 OECD 국가들이 400채 후반대에서 500채 정도입니다.
지금 15~64세 인구는 일본이 한국 2배인데, 임금근로자 수는 일본이 한국 3배입니다.

2017년 유시민이
"일본이 인구 줄어 집값 떨어지고 취업 쉬워졌듯 한국도 곧 그렇게 될 것. 문재인 정부가 공무원 더 뽑든지 해서 어떻게든 몇년만 넘기면 무주택자 청년세대 숨통 트일 것"이라고 주장했고
여당지지자들도 그런 논리에 입각해 정책 옹호했고
요새도 유튜브에 유시민과 같은 주장을 하는 댓글이 많이 보이는데

지금 같은 정책 추세가 쭉 이어질 경우 유시민 전망은 완전히 틀립니다.
자유공간64 19-12-12 22:13
   
아파트 가격주도는 강남 재개발 1가구 1주택이 하고 있음...요즘 비과세 로또
다주택은 가격 상승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합니다...방향을 잘 모르는 듯
수도권은 평당 천만원도 널렸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