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22 10:18
[펌]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글쓴이 : 닥터노
조회 : 4,380  

Contents

1 개요 

한글로 발음을 구별하거나 온전히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을 나타낸 문서이다. 이곳의 예는 한글만능론의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은 없다'는 주장에 대해 간단한 반례로 사용될 수 있다.

이 항목에서는 한글이라는 문자 체계 그 자체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한국어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화는 고려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 '흔' 등은 한국어에서는 [ɕi], [xɯn]으로 발음되나, 이 항목에서는 /si/, /hɯn/로 본다.

중간발음 개념을 이용하지 말 것. 이 세상에 '애매한 발음' 같은 것은 없다. 한글로 표기하기가 애매한 발음은 있어도.

2 전제 

여기서 말하는 '한글'이라는 맞춤법으로 정리된 '현대 한글'을 뜻한다. 왜 현대 한글로 국한하는가 하면, 현용 맞춤법의 범주를 넘어 '임의적으로 조합된 한글에 특정 발음을 할당하는 경우'을 따지면 '한글'의 범주가 한도 끝도 없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한글의 조합수는 무려 160만을 가볍게 넘어가며, 유니코드에 할당된 다른 모든 문자에 대응시키고도 남을 정도이다.

예를 들어 양순흡착음[1]은 한국어에 없는 소리지만, 이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임의로 'ᄪ'라는 한글 낱자를 쓸 수도 있다. 실제로 이러한 코드에 '이러한 발음을 할당한다'고 임의로 적용하는 사례가 상당히 많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규정화되지 않은 표기' 이외에 개인이나 단체가 '임의로 덧붙인 표기'까지 더하면 논의가 한도 끝도 없어지며, 실제 사회에서 널리 쓰이는 표기가 아니므로 논의하기 어렵다.

3 실례 

  • 장음
    한글로는 장음을 표기할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eye를 뜻하는 '눈'은 단음이고 snow를 뜻하는 '눈'은 장음이나, 현대 한글 표기상으로는 이 둘이 전혀 구분되지 않는다. 따라서 장단음의 구별이 있는 언어(예: 한국어[2], 영어, 일본어)를 한글로 제대로 표기할 수 없다. 한글에도 장음 기호 ː는 분명히 존재하고 국어사전에서도 발음 표시 용도로는 쓰이고 있으나, 표준어에서는 장음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외래어 표기법에도 쓰이지 않는다.
    '누운'과 같이 같은 모음을 두 번 쓰면 장음 표기가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모음의 길이는 음절의 길이만 변하게 하지 음절 수를 변하게 하지 않는다. 한글은 글자 수와 음절 수가 일치하므로, 같은 모음을 두 번 쓰면 장음이 되는 게 아니라 아예 음절이 두 개로 쪼개져서 음절 수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장음을 표기할 수가 없다. (단음 '눈': 1음절, 장음 '눈': 1음절, '누운': 2음절) 게다가 장음이 반드시 두 음절 길이라는 보장도 없다. 또한, 언어마다 장음의 역사가 다르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장음은 모음이 이어지거나 자음이 탈락하면서 장음이 된 것이지만, 한국어의 장음은 성조가 사라지면서 그 흔적이 장음으로 남은 것이다.
    흔히 '으아아아악'과 같이 같은 모음을 연달아 쓰는 것은 단지 한글로 장음 표기가 불가능하다 보니 장음을 여러 글자·음절로 나눠 적은 것에 불과하다. 이는 이중·삼중 자음을 표기할 때 자음 사이에 ㅡ를 삽입하는 것과 비슷하다.
  • 이중·삼중 자음
    한글은 기본적으로 CVC(자음-모음-자음) 구조이기 때문에, 이 구조를 벗어나는 발음은 제대로 표기할 수 없다. (이 역시 훈민정음엔 초성에 어두 자음군이 있었고 심지어는 3중 자음 표기도 있었지만, 현대 한글에서는 없다.) 최대 음절 구조가 CCCVCCCC인 영어를 예로 들자면, strike나 glimpsed는 둘 다 한 음절 단어이지만 한글로 표기할 때는 ㅡ를 붙여 '스트라이크', '글림프스트'와 같이 다섯 음절로 나눠서 표기할 수밖에 없다.
  • 일부 이중 모음
    영어 등의 언어에는 /aɪ/, /aʊ/, /eɪ/ 이중 모음이 존재하고, 이러한 이중 모음은 한 음절로 친다. 하지만 한글로는 이러한 모음을 '아이', '아우', '에이'와 같이 두 음절로 갈라 표기할 수밖에 없다.
  • 성조·악센트
    중국어나 베트남어태국어 등의 언어에는 성조가 있어, 같은 발음도 성조로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를 예로 들자면 吗 ma, 妈 mā, 麻 má, 马 mǎ, 骂 mà는 모두 뜻이 다르고, 모두 성조로 구별된다. 스페인어의 경우 강세 위치로 다른 단어가 되는 경우(예: papa 감자, papá 아빠)도 있다. 하지만 한글로는 성조나 악센트를 표기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구별해서 표기할 수 없다.
    훈민정음 반포 당시에는 성조를 나타내기 위한 '방점(傍點, 세로 쓰기에서 글자 왼쪽에 찍는 점. 가로 쓰기에서는 위나 왼쪽에 찍음.)'이 존재했으며 실제로 얼마동안 널리 쓰였지만, 한국어에서 성조가 사라지면서 방점도 함께 쓰이지 않게 되었다. 이 방점도 평성(찍지 않음), 거성(점 1개), 상성(점 2개), 입성만 있어서 꽤 간단한 성조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설령 방점을 부활시켜서 쓴다고 하더라도 상당히 복잡한 현대 중국어, 베트남어, 태국어의 성조 까지 전부 나타낼 수는 없다.
  • 그 외의 모음들과 자음들(…)
    현재 한글은 한국어를 적을 수 있을 정도의 자모만을 포함하고 있는데, 한국어 모음은 ø(ㅚ의 단모음 발음)와 y(ㅟ의 단모음 발음)를 포함하고 ε(ㅐ), e(ㅔ)를 구분하고 ㅓ를 장단에 따라 다르게 쳐도 10개 조금 넘는 수준이고 당연히 전 세계에서 쓰이는 모음은 이보다 많다. 또한 자음도 한국어에 없는 자음이 많다. 사실 이건 전 세계 어떤 문자에게나 해당하는 말이다. 

3.1 독일어 

  • e. 독일어의 e는 [ɛ]와 [e]로 분류된다. 둘 다 한글로는 '에'로 표기하지만, 사실 후자가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에 해당된다. [e]는 '이'에 가까운 '에' 발음이다. 입을 조금 넓게 벌린 상태에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발음한다. 대부분의 한국 사람들은 이걸 발음하는 데 애를 먹는 편이다. 참고로 주로 e가 장음일 때 [e]로 발음하는 편이다.[3] (e에서 장음 [ɛ]는 없음[4]도 존재한다.]) 하지만 Elefant의 맨 첫 번째 E처럼 단음 [e]도 있으므로 주의할 것. e는 발음도 그다지 쉽지 않은데, j와 결합하면… je는 '예'로 표기하지만, e 발음상 절대 예가 아니다. 그러고 보니 프랑스어 je도 한글로 제대로 표기할 수 없네?
  • 어미의 e와 -el, -en. 이 경우 e는 [ə]이다. 약한 e로 분류된다. 한글로는 그냥 '에'라고 표기하지만, 실제 발음은 '으'도, '어'도, '에'도 아닌 뭔가를 약하고 짧게 발음한다. 발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가바람. -el과 -en은 [ə]와 마찬가지로 단어의 어미에만 존재한다. [ə]와 그 뒤에 붙은 자음을 함께 발음하는 방식. '엘', '엔'으로 표기하지만 [ə] 발음상 정확하지 않다. 특히 -en은 'n처럼 [ə] 발음이 아예 생략되기도 한다(…).
  • -er. [ɐ]로 표기한다. 한글로는 '어'로 표기하지만, 실제 발음은 '아'에 가까운 '어'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서 '어르', '에르' 등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간혹 미국식 영어에 익숙한 사람이 이걸 발음할 때 미국식 영어 발음대로 발음하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 그나마 영국식 영어의 -er가 조금 정확한 편.
  • ch. IPA로는 /x/로 표기한다.[5]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에서 '흐'가 정확히는 바로 이 발음이다. 과거에는 '하'로 표기됐으나, 지금은 '흐'로 바뀐 상태다. 아랍어에도 비슷한 발음이 다수 있다. 어린아이가 ㅅ 발음을 하려다 잘 안 돼서 ㅎ에 가깝게 발음되면 대충 비슷하긴 하다. 아니면 '아햏햏'에서 '햏'의 ㅎ 받침을 억지로 살려서 발음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대충 비슷한 발음이 나올 것이다. 이 발음을 굳이 한글로 표기하자면 쌍히읗(ㆅ) 정도가 적당할 듯하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는 쌍히읗을 쓰지 않으므로 여전히 현대 한국어에서 표기할 방법이 없다.
  • pf. p와 f를 빠른 속도로 연달아 발음한다. 이를 한글로 표기하기엔 애매하지만 흔히 'ㅍ'으로 표기하고 있는 편.
  • r. 지방마다 발음하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지만 크게  끝을 윗니와 가까운 입천장에 대고 떠는 것(바이에른, 오스트리아 등 남부 방언)과 프랑스어와 유사한 구개수음으로 나뉜다(표준독일어 및 북부 방언). 프랑스어의 r과는 달리 'ㅎ'과 유사한 소리를 내진 않는다. 성대의 떨림에 충실한 편.
  • z. 발음 기호는 /t͡s/이고, 이는 일본어 つ의 자음 발음과 같다.
  • ö. 장음일 경우 /øː/, 단음일 경우 /œ/. 입술을 둥글린 상태에서 '에'라고 발음한다. 프랑스어에도 같은 발음이 존재한다. 1980년대까지는 ㆉ를 써서 표기했다.
    한국어의 'ㅚ'가 원래 /ø/ 발음이었지만, 한국어가 변해 가다 보니 발음이 바뀌어서 지금은 대다수의 화자가 /we/라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지금도 높은 연령대의 사람들은 이 발음을 독일어의 ö처럼 낸다.
  • ü. 장음일 경우 /yː/, 단음일 경우 /ʏ/. 입술을 둥글린 상태에서 '이'라고 발음한다. 프랑스어에도 같은 발음이 존재한다.
    한국어의 '위'가 원래 /y/ 발음이었지만, 한국어가 변해 가다 보니 발음이 바뀌어서 지금은 대다수의 화자가 /wi/라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지금도 높은 연령대의 사람들은 이 발음을 독일어의 ü처럼 낸다.

3.3 베트남어 

  • 어두의 /ŋ/
    베트남어는 어두에 /ŋ/ 발음이 올 수 있고, 이는 주로 ng로 표기된다. 하지만 한글로는 어두의 /ŋ/를 표기할 방법이 없어 '응'으로 표기하거나 표기를 포기하는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가장 흔한 베트남어 성씨인 Nguyễn(IPA /ŋʷjə̌ŋ/, 발음 듣기)조차 한글로 표기할 때 별의별 표기가 속출한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른 표기는 '응우옌'이나, '응웬', '구엔', '누엔', '누구엔', '누그엔' 등의 표기도 보인다. 자세한 것은 Nguyễn 항목 참고.

3.6 영어 

  • f, p / b, v 발음
    f, p는 ㅍ, b, v는 ㅂ으로 표기할 수 밖에 없다. 초기 한글에는 분명히 비슷한 발음을 표기하는 글자도 있었으나 정작 한국어에서 그 발음들이 차차 사라지면서 해당 낱자들이 쓰이지 않게 되었다. f, v 발음을 p, b 발음과 구분하기 위해서 ㅇ을 앞 또는 아래에 붙인 겹자음(ㆄ, ㅸ)[6]도 있었지만 역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지석영의 《아학편》(1908)이나 이종극의 《모던조선외래어사전》(1937)에서는 f와 p, b와 v를 다루는 데 자모를 만들어서 구분했다. /v/에는 ᅄ, /f/에는 ᅋ을 사용했다. 이 표기는 <들온말 적는 법>(1948)에도 적용되었다.
    표기하려는 시도가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 발음이다. 비록 한글로 쓰지는 않지만 f 발음을 살려서 읽는 경우가 많이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홈쇼핑 쇼호스트들이 '파운데이션'을 'fㅏ운데이션'으로 읽는다거나. 1박 2일 2013년 10월 27일 방송에서는 f를 한글 자음처럼 써서 '커피'를 '컬fㅣ'로 표기하였다.
  • r, l 발음
    r, l 역시 ㄹ로 쓸 수밖에 없다. 그러나 r도 l도 모두 초성 ㄹ과는 다르다. 종성 ㄹ은 l과 비슷하고, 초성 ㄹ은 r로 들리는 탈락된 t(water의 t)와 발음이 비슷한 /ɾ/이며, 원래의 r 발음(/ɹ/)과는 다르다. 가령 lolli는 '롤리', lorry는 '로리'로 쓰게 된다. 

    위에서 설명한 <들온말 적는 법>에서는 l 발음을 ㄹ 겹자음 ᄙ로 표기해서 r과 구분하여 썼고, <소년 1:1 50>에서는 ㅇㄹ을 겹자음으로 써서 초성에 오는 r 발음을 나타내는 데 썼다.
  • j(IPA /d͡ʒ/), z 발음
    j와 z는 꽤 큰 차이가 있는 발음이나, 한글로는 똑같이 ㅈ으로 표기된다. <들온말 적는 법>(1948)에서는 /z/와 /ʒ/를 ‘’를 써서 표기했다. ㅿ의 음가는 /z/와 같았다고 여겨진다. 사실 /z/는 /s/와 조음 위치, 조음 방법이 모두 같고 유성/무성 여부만 다른데, /z/와 ㅈ은 조음 위치, 조음 방법이 모두 다르다. 즉 /z/는 ㅈ보다는 ㅅ에 더 가까운 발음인데, 어째서 ㅈ으로 적게 됐는지는 아는 사람이 추가바람.
  • yi(IPA /ji/) 발음
    /i/와 /ji/는 발음이 다르지만, 한글로는 똑같이 '이'라고 표기할 수밖에 없다. /i/와 /ji/의 차이로 구분되는 단어는 year과 ear, yeast와 east 등이 있다. 경구개 접근음 /j/는 모음인 /i/와 발음이 비슷해서 '반모음'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둘 사이의 구분을 못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j/는 엄연한 자음이고 /i/와는 다른 발음이다. /ja/는 '야', /je/는 '예', /jo/는 '요' 등으로 표기할 수 있지만, /ji/는 한글로 표기할 방법이 없다. 물론 한국어에서는 /j/가 특정한 모음하고만 조합되기 때문에 저런 식의 표기가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국어를 표기할 때는 지장을 초래한다.
  • /wu/ 발음
    /j/와 마찬가지로 양순 연구개 접근음 /w/는 /u/와는 발음이 다른 반모음이다. 물론 한국어에서는 /w/가 특정한 모음하고만 조합되기 때문에 저런 식의 표기가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외국어를 표기할 때는 지장을 초래한다.
    영어에서 조동사로 허구한날 쓰이는 단어 would의 발음 /wʊd/에 이 음절이 들어간다. 한글 '우드'를 읽듯이 읽으면 절대 안 된다! 물론 조동사니까 일반적으로는는 약화된 형태인 /wəd/로 발현하기는 하지만.
  • th 발음
    치 마찰음으로, 무성음(/θ/, thing)과 유성음(/ð/, the)의 두 가지 발음이 존재한다. 그런데 단어에 따라 발음이 달라서 어떤 낱자로 써야 할지 애매한 경우도 많을 뿐더러, 특히나 /θ/ 발음의 경우에는 발음 자체가 한국에서 발음하는 것과 너무나 달라서 적절한 단어를 쓰기가 어렵다. 굳이 가장 비슷하게 쓰자면 반치음(ㅿ) 정도라고 볼 수도 있을 테지만(보통 ㅅ/ㅆ으로 쓴다) 역시 쓰기에 애매하다.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ㅅ을 쓰도록 되어 있으며, 실생활에서는 s와 구별하기 위해서인지 ㅆ을 쓰는 경우가 많다. eth(ð) 발음의 경우는 대개 ㄷ으로 쓰인다. 그래서 Theodore의 경우 시어도어, 테오도르, 테오도어 등 별의별 표기법이 속출한다. 일단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시어도어'. 마찬가지로 Jonathan, Nathan, Matthew 같은 이름도 흔히 '조나단', '나단', '매튜' 등으로 잘못 쓰는 경우가 허다하나 표기법에 맞는 표기는 '조너선', '네이선', '매슈'이다.
    인터넷에서는 th를 한글 자음처럼 빌려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thㅏ랑해요 방송에서는 노홍철의 영향으로 ㅆ으로 표기하고 그 옆이나 위에 [θ]를 써 주거나, 아예 th를 한글 자음 삼아 표기하기도 한다.
  • /ɔ/ 발음
    /ɔ/는 후설 원순 중저모음으로, law의 aw나 auto-의 au에 해당하는 발음이다. 이 발음은 '오'(/o/)와는 다른 발음으로, 한국어[7]에 없는 발음이다. 만약 있다면 제주어에서는 비슷하게나마 존재한다. 삼재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기본모음 ㆍ(아래아)가 그것으로 비록 평순 모음이지만 조음 위치가 동일하므로 가장 비슷한 발음이라고 할 수 있다. 단지, 현재 한글로는 주로 '오'로 표기하는데, 이 때문에 발음과 뜻이 다른 law(/lɔ/)와 low(/loʊ/)가 모두 '로'라고 표기되어 서로 구분되지 않는다.
  • ᇋ은 조선어문법제요(강매, 1921)에서 초성에서 영어의 /dɹ/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쓰였다.
  • ᅂ은 종성에서 영어의 /ŋd/ 발음을 나타내는데 쓰였다.
  • ㅍㅌ은 종성에서 영어의 /pt/ 발음을 나타내는데 쓰였다.
  • ㄱㄴ은 조선어학(박승빈)에서 종성에서 에스페란토의 /gn/ 발음을 나타내는 데 쓰였다.

3.7 일본어 

  • ざ, ず, ぜ, ぞ에서의 z 발음. IPA로 표기하면 /za/, /zɯ/, /ze/, /zo/로 한국어의 ㅈ 발음과는 다르게 한국어의 ㅅ의 자리에서 그대로 나가는 유성음이며, 화자에 따라 무성음화되어 ㅅ로 들리는 경우도 있다(단 じ([d͡ʑi]/[ʑi])는 구개음화가 일어나 한국어 '지'와 같은 자리에서 조음되어 한국어 유성음 ㅈ([d͡ʑ])과 비슷하다. 물론 섣부른 대응은 곤란하다). 참고로 한국어 '자'는 무성음일 때 ちゃ, 유성음일 때 じゃ에 해당한다. 저 앞에 언급된 <들온말 적는 법>에 의하여 옛 한글 표기법을 사용하자면 ᅀᅡ, ᅀᅳ, ᅀᅦ, ᅀᅩ 정도로 표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통용 표기가 ざ를 '자'에, じゃ를 '쟈'에 대응시키는 것은 근거가 없다. ㅈ, ㅉ, ㅊ 다음의 이중 모음 항목도 참고.
  • つ. 중국어의 s, c, z와 같은 자리에서 조음된다. 훈민정음의 동국정운식 표기법을 쓴다면 ᅎᅳ(치두음 즈)에 해당할 발음이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표기할 방법이 없다.
  • ん가 日本(にほん)처럼 단어 맨 끝에 올 때는 IPA 상에서 /ɴ/으로 표기되는 발음이 된다. /ŋ/ 발음보다 더 깊은 곳까지 혀가 구부러져, 혀 뒤가 목젖에 접근 혹은 접촉하며 소리가 난다. 하지만 한글로는 둘 다 ㅇ 받침으로 표기할 수밖에 없다.
  • ふ. [ɸɯ]로, /hu/가 아니라 /fu/에 가깝다. 이는 は행의 음가가 /p/에서 /h/로 변해갔던 과정의 잔재인데, 한국어에서 [f]의 음소적 지위에 관하여라는 논문의 12쪽에 따르면, 한국어 화자의 76%는 이 ふ 발음을 [f]로 인식한다고 한다. 하지만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하는 한글로는 그냥 '후'라고 표기할 수밖에 없다. 예: じさん(富士山) → 지산くおか(福岡) → 쿠오카




출처-엔하위키

=>일단 전제를 깔고 가야하는 게 어떠한 문자도 모든 외국어를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는 문자는 없음

한글은 한국어를 발음하기 위해 만들어진 최적의 글자일 뿐 이를 외국어로 표기하기 위해선 한계가 존재함

예를들어 한글이 히라가나/가타카나보다 우수하다는 것은 한글이 보다 많은 표기방법으로 발음을

 정확하게 적을 수 있다는 것 임   (ex:Mcdonald를 한글로 표기한다면 맥도날드가 되고, 히라가나/카타카

나로 표기한다면 마-끄도-나르도가 됨)

한글이 히라가나/가타카나보다 맥도날드를 정확하게 표기하는 것은 분명 한글이 히라가나/가타카나보다 우

수하다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나

그렇다고 한글이 영어를 정확하게 표기한다고는 볼 수 없다.

왜냐면 위에 나와있듯이 영어엔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이 존재하기 때문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ffffffffffffffffffff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게이츠 14-03-22 10:24
   
중요한 핵심 요약..

한글로 모든 발음을  표기 할 필요가 없다...

결론.. 필요할때는 확장해서 표기 할수도 있다.. 위의 결론은 현재 사용중인 현대 한글 개념 내에서 통용됨

그렇지만.. 한글에서는 사용되지 않지만.. 굳이 한글로 표기 하라고 하면 " 이론적으로 표기 " 가 가능하다.

즉 위의 내용은 현대인이 실사용하는 현대 한글 개념에서는 표기 못하지만.. 이론적인 한글 의 확장성으로

보면 필요 할때는 가능하다는 것이다..
게이츠 14-03-22 10:26
   
즉 한글로 모든 발음을 표기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현대 한글에서는 발음을 표기 할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모든 발음을 반드시 한글로만 표기 해야 한다고 규정 한다면..

그냥 한글에서 확장 시키면 모두 가능하다.. 즉 한글은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확장해서 발음 불가능한

표기도 가능하게 할수도 있다.. 그러지만 사용도  안할 것이기 때문에 안하는 것일 뿐이다..
     
닥터노 14-03-22 10:30
   
한글을 확장시킨다는게 뭐죠?
          
8086xt 14-03-22 10:35
   
여기서 말하는 '한글'이라는 맞춤법으로 정리된 '현대 한글'을 뜻한다. 왜 현대 한글로 국한하는가 하면, 현용 맞춤법의 범주를 넘어 '임의적으로 조합된 한글에 특정 발음을 할당하는 경우'을 따지면 '한글'의 범주가 한도 끝도 없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이론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한글의 조합수는 무려 160만을 가볍게 넘어가며, 유니코드에 할당된 다른 모든 문자에 대응시키고도 남을 정도이다.

이거요.
1theK 14-03-22 10:38
   
맥도날드라고 쓴다고 Mcdonald 발음을 정확히 표기 가능한게 아니죠. 한글은 한국어 표기를 위해 만든 글자입니다. 창제 초기엔 중국어나 만주어 표기까지 가능하게끔 하려 자모음도 있었고 성조 표기도 있었으나 실용성이 없어서 소실됐죠. 또한 분절음운만 생각하는데 성조나 강세같은 비분절 음운도 한 언어의 표기체계 요소이니 더더욱..
배신자 14-03-22 10:38
   
반대의 경우는 생각 안하나요?
당연히 한글로 모든 발음을 표기할 수 없고
한국어에 최적화 된 것도 사실이지만

반대로 알파벳으로 한국어 표기를 하면 어떨까요?
고작 350개 밖에 발음기호가 없는 알파벳으로 7000개의 발음을 표시할 수 있는 한글을
다 표현해낼 수 있을까요?

강남 -> gangnam 이라고 쓰면 영어발음은 갱남이 되고
            kangnam 이라고 쓰면 영어발음은 캉남이 되어버림

즉, 영어를 한글 발음으로 표기하는게 더 표현범위가 넓을까요?
한국어를 알파벳으로 표기하는게 더 표현범위가 넓을까요?

한글로 모든 발음을 표현하는건 애초에 불가능하지만 다른 어떤 글자보다 표현범위가 광범위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임.

반대의 경우도 따져서 생각해 봐야죠
자유생각 14-03-22 10:39
   
한글은 장음표기를 못한다는 주장은 너무 나간 것 같다.  같은 식으로 보면 영어는 악센트 표기를 못한다는 이야기와 다를 바 없는 거니까.  장단음 같은 건 일본어처럼 몇 개 안되는 발음으로 다양한 구분을 해야하는 언어에서나 중요하게 보이는 것일 뿐이다.

장단음 표기나 악센트 같은데 문자를 할당하는 건 글자의 낭비고, 굳이 장단음 구분이 필요하다면 발음기호처럼 별도의 기호를 사용하는게 차라리 낫다고 본다.
즐거운상상 14-03-22 10:40
   
예전에 지금은 없어진 자음과 모음을 이용한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적은 있습니다만,  지금 사용하고 있는 한글로는 한계가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1theK 14-03-22 10:41
   
ㅂ,ㄷ 같은 자음은 한국어에선 무성음이지만 영어에서 b,d는 유성음이라는 차이 등등 음운적 차이도 있고..
그래서 부산은 Busan으로 해야 하는게 맞다 Pusan으로 표기하는게 맞다는 등 논란이 있는거죠..
즈베즈다 14-03-22 10:44
   
모든 문자는 약속임
특정 문자에 특정 발음을 내기로 약속하는 것

한국어에도 한글을 읽는 방법이 정해져있는 것처럼
특어 문자(알파벳의 배열)에는 특정 외국어 발음에 맞춰진 읽는 방법이 각각 존재하는데

반대로 한국어 발음을 알파벳으로 옮겨놓으면 한국인과 미국인의 발음은 다르게 날 수밖에 없음
언어마다 알파벳을 읽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그러니까 외국어 문자를 한글로 옮겨놓고 그것을 한국어 발음에 맞춰진 읽는 방법으로 소리낸 다음
한글은 외국어 발음을 표기할 수 없다고 말하는 꼴인데 애초에 그 외국어는 한글로 표기하는 방식이 존재하지 않음
그 특정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하는 방법을 만들어놓고 나서야 한글로 표기할 수 있냐 없냐를 따져야 하는 것

알파벳은 전세계에서 쓰지만 각 나라마다 담아내는 발음은 제각각인 것처럼
한국 사람이 한글을 읽는 방식으로 외국어 발음을 담을 수 없다고 주장하는 건 말이 안 되는 얘기
닥터노 14-03-22 10:48
   
참고로 한국어에 없는 소리라 한글로 적기 어려운 단어의 예를 들면 일본어의 つ 죠.


[펌]
일본어 ‘つ/ツ(tsu)’는 ‘쓰’로 적는다.


‘つ’의 자음인 [ts]는 무성 치경 파찰음이다.

우리말(한국어)에는 이와 일치하는 소리가 없다.

비슷한 소리로 ‘ㅊ’, ‘ㅉ’와 ‘ㅆ’가 있는데 ‘ㅊ’, ‘ㅉ’는 경구개 파찰음, ‘ㅆ’는 치경 마찰음이다.

즉, [ts]는 ‘ㅊ’, ‘ㅉ’와 조음 방법은 동일하지만 조음 위치가 다르고,

‘ㅆ’와는 조음 방법이 다르지만 조음 위치가 동일하다.

그렇다면 ‘つ’의 표기를 무엇으로 정해야 할 것인가는 전체의 체계에서 살펴보아야 할 문제이다.

‘た’행에는 세 개의 자음이 있다.

‘た、て、と’의 ‘t’와 ‘ち’의 [tʃ] 그리고 ‘つ’의 [ts]가 그것이다.

[t]는 우리말 ’ㄷ’과 유사한 소리이고 [tʃ]는 ‘ㅈ’또는 ‘ㅊ’와 유사한 음이다.

그런데 [tʃ]와 [ts]는 서로 다른 소리이므로

우리말에서 동일한 자음으로 표기하는 것은 옳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ts]와 유사한 소리인 ‘ㅊ, ㅉ’와 ‘ㅆ’ 가운데

[tʃ]와 구분되는 ‘ㅆ’로 표기하는 것이 전체의 체계로 보아 합리적이다.

이에 따라 ‘ち’와 ‘つ’의 표기는 각각 ‘지, 치’와 ‘쓰’로 정하고 있는 것이다.
     
즈베즈다 14-03-22 10:52
   
つ를 한글(한국어 발음에 맞춰진 한글)로 표기할 수없는 이유는 つ발음이 한국어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임
          
닥터노 14-03-22 10:53
   
제일 첫 줄에 썼는데요
               
즈베즈다 14-03-22 10:55
   
모든 문자는 약속이라는 것을 간과하면 안 됨

한글로는 표기할 수 없는 발음을 운운하는 것은
'한국어 발음을 내도록 약속한 읽기 방법에 맞춰진 한글'로
모든 언어의 발음을 표기하려고 하는 이상한 발상임
그렇게 되려면 한국어 자체에 모든 언어의 발음 방식이 담겨 있어야 가능한 얘기

이건 한글의 문제가 아닌 한국어에 그런 발음이 없기 때문에 생기는 일임
그런 발음을 쓰지 않기에 그런 발음을 내는 문자를 약속할 수가 없기 때문이라는 얘기

특정 외국어를 한글로 표기할 수 있는 약속을 만들어놓고 나서야
그 외국어를 한글로 담아낼 수 있냐 없냐를 따져야 함
                    
닥터노 14-03-22 11:12
   
제 말이 그말이죠. 어떤 외국어를 한글로 저기 어려운 이유가 한국어에 대응되는 "정확한"

발음이 없기 때문이죠. 제가 위에 다 쓴 글을 훈수듯이 쓰셨네 ㅋㅋㅋ
                         
즈베즈다 14-03-22 11:13
   
애초에 그런 약속이 없는데 그런 발음을 못 낸다고 지적하는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요
이해를 못 하시네
                         
닥터노 14-03-22 11:25
   
님이야 말로 이해를 못 하시는듯 하신데...

지금 님말은 한글에 한국어에 없는 임의의 발음을 할당하면 외국어도 정확히 표기할

수 있다는 거죠?

제 말은 애초에 그러한 약속이 없기 때문에 한글을 외래어로 정확히 표기 못 한다구요.

그리고 글의 전제를 보세요

2 전제 ¶
여기서 말하는 '한글'이라는 맞춤법으로 정리된 '현대 한글'을 뜻한다.

즉 제가 쓴 글은 모두 현대 한글을 말해요. 제가 왜 이런글을 썼는지 "전제"를 잘 보시길..
                         
즈베즈다 14-03-22 11:45
   
애초에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니까 한글로도 표기가 없는 거라고요
'우리가 쓰는 한글'로 모든 발음을 표기가 가능하게 하려면
한국어에는 모든 언어의 발음들이 담겨 있어야 된다는 말이 되거든요

님 말을 정리하면 '한국어 발음을 담아낸 한글로는 영어를 표기할 수 없다'
그러니까 이 말은 영어를 읽는 방식으로는 한국어를 표기할 수 없다는 말하고 똑같아요
근데 로마자로는 한국어도 표기가 가능하거든요?
마찬가지로 한글도 약속을 새롭게 하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겁니다

'한국어 발음에 약속된 한글'로 외국어를 표기할 수 없다는 얘기는 무의미하다는 거예요
알파벳처럼 외국어마다 발음을 담아낸 방식을 새롭게 만든 뒤에야 지적 가능하다는 거죠
한글도 얼마든지 새롭게 확장, 적용할 수 있고요

님 얘기는 결과적으로 한글에 대한 지적이 아닌 한국어에 대한 지적이 되는거예요
하늘꽃초롱 14-03-22 12:00
   
한글로서 발음이 필요하게 된다면 확장해서 만들면 됩니다.
꿣/쓝/뗧  <= 이런 글자 발음해 보세요.(표기할수가 없어서가 아니라 한국어 발음에 필요하지 않아서 안쓰는 것 입니다)
발음에 필요하다면 얼마든지 글자를 확장하여 만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