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30 22:54
일본 아베가 MB 따라 가는듯 소비세 5 -> 8 % 올림.. 물가 상승 ㄷㄷ
 글쓴이 : 게이츠
조회 : 823  

일본에서  지금 사재기 중이라고 함

담달 소비세 올라서.. 전자제품 부터 시작해서 지하철 요금까지 전부 다 오름...

우리의 mb 가 졸라게 물가 올려서 경제 살려 보겠다고 설치더니 결론은 가계 부채만 늘어남. ㅎㅎ

월급은 그대론데.. 물가만 상승하니 먹고 살수가 있나...

일본 아베가 소비세 올린다고 하니.. 일뽕들 지금 일본 가서 열심히 물건 사시길 ㅎㅎ;;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배신자 14-03-30 22:59
   
작년부터 난리였던 떡밥이죠.
작년에 일본 국회에서 통과시켜서 그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일본내에선 저걸 주제로 싸우고 있죠 ㅋㅋ

물론 인상시기는 올해 4월달에 8%인상
2015년 10월에 10% 인상이었나?
어쨌든 일본 서민들은 죽을 맛일 듯.
걍노는님 14-03-30 23:00
   
아베가 정말 이상한짓만하네요 얼마전까지만해도 엔저 어쩌고 떠들어될땐 언제고 이제와서 참 ㅋㅋㅋㅋㅋ
끄으랏차 14-03-30 23:02
   
얼마전 뉴스에서 본건데

우리나라는 현재진행형입니다.
내년 예산안 책정한걸 보면
일반 국민 대상으로 9조원 가까이 더 세수를 늘려 잡고 있습니다.
웃기는건 법인세는 단 1천억원을 올려 잡았더군요....

국민은 9조원 더 내야 되는데
기업은 세금이 거의 안 오르는 거죠.

그렇다고 우리나라 기업이 지금 힘드냐?
아닙니다.
우리나라 기업들 지금 유보금 비율이 OECD국가중에서도 최상위입니다.
유보금이 뭐냐면 걍 간단히 말해 기업에 남는 돈 얘기하는겁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OECD내 가계 저축율이 바닥인 나라이면서
OECD내 기업 저축율이 최상위권인 나라입니다.

즉 일반 가정은 돈이 없어 저축을 못하는데
기업은 남아 돌아 저축하는 나라인데.
세금은 일반 가정에 더 걷겠다고 하고 있는 형국입니다.

일본 서민은 굶어죽던 말던 사실 그거 따질때가 아녀요
우리나라 서민이 지금 더 급합니다..
     
노트패드 14-03-30 23:07
   
세금은 서민들이 더 내야해요.
세금 환금 다 따지고 보면, 우리나라만큼 서민들이 세금을 안내는 국가도 없음.
우리나라 세수의 90%를 중산층부터 윗 계층이 다 떠받들고 있었던 것.
세금은 국민의 의무니 서민이고 나발이고 세금좀 걷어서, 이미 복지 정책이 시작된걸 받칠 수 있어야함.
한번 복지 정책이 시작되면, 시작된걸 되물릴 수도 없음. 지금까지 세금 안걷던 서민층에게까지 세금 좌악 걷어서 복지 정책 뒷받침 해야해요.
          
관성의법칙 14-03-30 23:11
   
오늘인가? 자세히는 못봤는데 우리나라가 oecd 국가중 gdp대비 소득세를 젤 적게 낸다고 하는거 같던데...
               
Iniesta 14-03-31 01:55
   
그건 전체 비중을 얘기하는거죠. 직접세가 적고 간접세 비중이 높은 편이라... 서민입장에선 조삼모사격이죠. ㅎ 물론 지금보다 근소세 더 걷어야 하겠지만 사실 서민층을 건들기에 소득없는 자영업이나 하위층이 많아서 좀 힘들어요. 결국 그동안의 법인 공제를 없애거나 자본 소득들에서 제대로 파악하거나 신규 취업자가 늘어나야 합니다.
1% 소득세 비중이 높은 나라가 우리랑 미국인데 해석의 차이지 현실을 보면 딱히 좋은 패턴들이 아니죠. ;;
          
Iniesta 14-03-31 01:35
   
그거 강용석이 주장했던건데. 상위 1%소득자를 너무 낮게 잡고 있습니다. 또 자본소득으로 부를 축적하는 경우가 많아 거기서 빠지는 세수가 더 많고요. 서민들 걷어봤자 자영업자와 1500이하 면제 근로자가 너무 많아서 충당하기가 힘듭니다. 대신 유류세 같은 간접세를 많이 걷고 있거든요.
          
끄으랏차 14-03-31 01:41
   
세수비중에서 상위층이 90%라는걸 근거로 서민이 세금을 안내고 있다는
님의 말씀은 근본적으로 잘못된 해석입니다.

90만원을 가진 사람과 10만원을 가진 사람이 똑같은 세율을 적용받아도
당연히 90만원을 가진 사람은 10만원을 가진 사람보다 9배 더 세금을 내는겁니다.

더 많이 가지고 있으니 당연히 더 내죠.
당연히 세수가 상위층에서 더 나오는거죠.

그리고 복지를 허공에 날리는 돈으로 생각하는 관점으로 보시는한
우리나라가 지금보다 백만배 더 잘살게 되도 님 생각은 바뀌지 않을겝니다.

복지는 허공에 날리는 돈이 아닙니다.
기업에 돈 주면 그걸로 산업발전 시키고
국민한테 돈 주면 그걸로 불질러서 장작으로 씁니까?
아니면 땅에 파묻어 버립니까?

국민에게 돈 주면 그 국민은 그 돈으로 기업 제품을 사줍니다.
기업은 그 돈으로 산업발전을 시키는거고요.

돈이 순환되는 과정은 어차피 같아요
시작이 기업이냐 국민이냐의 문제일뿐이지.

지금같이 우리나라 기업들이 돈이 남아도는 시점에서
세금을 기업에게 더 걷지 않겠다면
반대로 기업에게 주던 지원금과 세제 혜택을 복지로 돌려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해야하압니다.

공교롭게도 상위 10% 기업이 한해 받는 법인세 감면액이 9조원 가량됩니다.
즉 내년도 예산에서 국민에게 더 걷겠다는 딱 그만큼입니다.

웃기죠. 내년에 국민에게 더 걷는 세금 9조원은
상위 10% 대기업의 법인세 감면해주는 돈입니다. ㅋㅋㅋ

대대적 복지까지는 바라지도 않어요.
거지가 부자한테 더 잘살아라고 돈 보태주고 앉었는데
양극화가 해결이 되겠습니까?
김구라아님 14-03-30 23:16
   
우리나라 조세부담률은 GDP대비 20%를 약간 밑도는 수준으로 OECD 뒤에서 5등정도인데

근데 법인세도 다른나라에 비한다면 낮은건 사실. 중국이랑 비슷함. 일본은 35% 던가..

그리고 우리나라 시총 상위기업 유보율 높은 것도 사실.

돈잘버는 수출대기업들은 법인세 좀 높여도 될텐데 ... 아니면 저 유보금 좀 쓰게 유보금에 대한 세금 못메기나
     
관성의법칙 14-03-30 23:22
   
그렇군요..
     
끄으랏차 14-03-31 01:48
   
조세부담률의 경우는 그렇게 해석하는건 사실 좀 편향된 해석입니다.
애초에 OECD 국가 상당수는 우리보다 훨씬 복지와 사회구조가 나은 상태이기때문이죠.

예를 들면 독일의 경우 꼭 독일뿐 아니라 대부분의 선진국이 교육비가 공짜에 가깝거나
여하튼 우리보다는 훨씬 부담이 적죠.
우리나라의 경우는 가계지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게 교육비입니다.
사회구조때문에 발생하는 고정지출이기때문에 사실상 세금이나 다를바 없는거죠.

이런식의 차이가 발생하기때문에 조세부담률을 단순비교해서 우리가 적게 낸다 라고
해석하는건 좀 편향된 해석이라고 봅니다.

기업문제는 님 말씀처럼 참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그렇게 내수 몰아주고 사실상의 독과점까지 눈감아주고
세금으로 지원까지 해줘서 키워놨는데.
이제 좀 잘나가면 혜택 좀 고만 줘도 되는거 아닌가요
걔들은 그 혜택 없어도 이제 살만한데
그 혜택은 숨넘어가는 다른 쪽에 돌리는게 맞지 않나요

사상최대이익 미국시장 점유율 1위 세계시장 점유율 1위 라는 타이틀을 가진 회사를
여전히 계속해서 전 국민이 엄청난 혜택을 줘가며 계속 지원해야
존립이 가능하다는게 이해가 가질 않네요.
ringbearer 14-03-31 00:13
   
우리나라는 여러 모로 선진 조세 제도부터 확립해야 뭐라도 될듯 하네요..
쌍민짜응 14-03-31 09:42
   
상위 10퍼센트까지 세금 많이걷고있는걸로 알고있음.. 부동산쪽도 노통때부터 실시했고

문제는상위 1퍼센트의 세금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