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8-06-01 14:45
최저임금보다 중요한 몇가지.
 글쓴이 : 라면공장장
조회 : 1,114  

최저임금이 중요하지 않다는거 아닙니다.
허나 현 시점에 더욱 실효성 있는것은

1. 부동산 임대료
자영업(일반 소상공인.요식업.의류업계열)을 창업 또는 양도앙수시 제일 큰 비용이 임대료입니다.
이것은 줄일수도 없고 한달 고정비용으로 계속 소모되는 비용으로
일반 자영업자들이 제일 고려를 많이 하는 부분입니다.
이게 비정상적인 구조로 예를 들면 가로수길이 있습니다.

2. 외노자
대한민국 땅 생산계열에서 외노자를 안쓰는 기업(제품)은 없습니다.
단순 노무직이라도 국내 사람을 써야 내수 경제에 도움이 되지 외노자가 벌어들이는 수익은 국채가 외국으로 빠져나가 오히려 내수 경기를 죽이게 됩니다.
또한 5년 기준으로 노동비자로 들어와서 일하고 본국으로 가는데
5년 텀으로 신규인원을 새로 뽑고 알 가르치고 한국말 가르치고 금전적으로는 이득이지만 생산적으로 비효율적이죠.

3. 산업구조상 현재 중소기업이 외노자를 쓸수 밖에 없는 대기업의 가격 후려치기 및 기술 빼돌리기(대기업의 횡포)
이거는 뇌피셜이라고 할수 있지만.
실제 삼x에서 행하고 있는 실태를 보면 알수 있습니다.
A중소기업의 특허를 빼앗기 위해 B중국 업체에서 A업체에 기술 파견을 강제로 보내고
B기업의 기술이 어느정도 발전 했으면 A업체랑 가격경쟁을 시키면서 단가를 후려치고
A기업을 도산 시킨 후 특허 기술을 싼 가격으로 구입.

이런 산업 구조를 바꾸지 않는 이상 대한민국은 발전하기 힘들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라면공장장 18-06-01 14:48
   
이거 말고 다른 고견이 있다면 댓 부탁드려요.
최저임금 이야기가 나와서 급작스럽게 생각나는대로 쓴거라
두서없이 적엇내요
미이뚜기 18-06-01 14:56
   
하다못해 종업원 1명있는 동네식당을 가도 최저임금 올랐다며 1000원씩 올려 받는 통에 짜증나더군요.
     
라면공장장 18-06-01 15:00
   
어떻게 보면 건떡지가 생간거죠
타호마a 18-06-01 15:00
   
평등평등을 외치시는 공무원분들및 대기업분들 . .. 대체휴일 .. 무급휴일로 ....

2/3 는 무급이거늘 .. 쉬는날 챙겨먹을거 다드시고 .. 노총에서 상여금 기본임금 .. 따지는거 보면 ..

상대적 박탈감이 ..
     
라면공장장 18-06-01 15:01
   
국회의원 명예직으로 최저임금으로
개개미 18-06-01 15:25
   
부동산 임대료는 말씀하신대로 특정 지역에 몰려 있는 특성이라 최저임금보다는 중요성이 조금 떨어지는거 같습니다..

음 제가 생각하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 가장중요한 것은.

대기업의 자본귀족주의 탈피 및 대기업의 다단계식 부의집중화를 부셔야 한다는 점과...
중소기업의 졸부근성.. 그리고 사원들을 개처럼 부리는 그 쓰레기 같은 의식부터 고쳐야 할거 같습니다.
월급 80만원 주면서 사람이 없어서 못구한다는 그런 쓰레기들 말입니다..

근데... 무엇보다..
기득권이 본인들의 손해를 어느정도 감수할 수 있어야 한다는 마인드가 없으면... 다 소용없죠...쩝;;
     
라면공장장 18-06-01 15:31
   
그렇죠. 기득권의 근시안적 마인드가 오히려 독이 될껀데.
나만 잘사면 되지. 나만 아닌면 되지. 라는 마인드가 한 몫하는것도 맞죠
모라카노 18-06-01 15:46
   
님 의견에 더해서 노조가 강화되어야 합니다. 다만 노조가 자기 기업의 이익만 추구하는게 아니라, 전체 경제의 이익을 위해서 행동해야합니다. 가령, 수출 대기업 노동자들이 스스로 자기 임금을 깍아서, 내수의 중소기업 노동자들의 임금을 올리는 것을 말합니다.
모라카노 18-06-01 15:47
   
또 하나는 노동시장의 유연화 입니다. 실업급여에 대한 사회적 논의에 노총이 가장 앞서서 나서야 합니다.
     
라면공장장 18-06-01 15:51
   
이슈게의 대모 모라님께서 댓을 달아주실줄은 ㅎㅎㅎㅎ

노조도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동자 편에서 닐을 해야지 자신의 이득만 챙기려는 노조는..
여러모로 썩은 물이 많내요
모라카노 18-06-01 15:52
   
또 다른 한가지는 불로소득을 줄이고, 노동소득을 올리는 정책을 해야합니다. 제 개인적으로 한국은, 보유세까지는 잘 몰라도... 종부세에 대한 논의는 이제 해야한다고 봅니다.
     
라면공장장 18-06-01 15:55
   
불로소득의 대표가 땅과 건물이죠.
독일처럼 정부의 신뢰도가 높자 않아 세금에 대한 거부감이 큰게 한 몫한다고 봅니다.

투명한 정치 경제 언제 쯤이면 가능할까요?
닥생 18-06-02 00:54
   
부동산 임대료?
유명한 동네, 역세권 아닌 곳에서는 임대료가 문제가 아니라 인건비가 문제인데요?
월세는 100-150 사이면 떡을 쳐요. 물론 역세권 제외.

임대료를 구체적으로 다른 선진국(우리도 선진국임)에서는 어떻게 하는가요? 구체적으로요.

하긴  임금에 대해서 그것도 못 줄 정도면 "망하고 뒈져버려라" 라고 얘기하면 끝이겠네요.